그런데 이 힘들고 어려운 필사가 취미가 되면 마술에 빠진 것처럼 재미있어진다. 이런 마술을 부리는 건 만년필이다. 부장님 취미에 끌려 나가 산에 오르는 게 아니라 벼르고 별러 산 새 등산화를 신고 등산을 할 때처럼 말이다. 순백의 종이에 파란 잉크가 뾰족한 펜 끝으로 샘솟듯 흘러나와 힘들이지 않고 방향만 바꾸어 주면, 종이에 스며들어 사각사각 써지는 글씨가 한 줄, 두 줄 차곡차곡 쌓여 한 페이지가 되면, 한 폭의 그림 같다. - P156

"허허허 그걸 누가 모르냐고. 그 비싼 만년필이 없단 말이지."

이런 말씀을 하신다면 그건 옛말이라고 전해 드리고 싶다. 시내의 큰 문구점에 가면 커피 한 잔 값에 잘 써지는 만년필을 구할 수 있고, ‘치맥‘을 한 번만 참으면 평생 함께할 수 있는 만년필도 살 수 있다. 잉크는 집구석 어딘가를 잘 찾아보면 한두 병쯤 있을 것이고, 없다고 해도 잉크가 그리 비싼 물건이 아니니 금세 구매할 수 있다. 노트는 180도로 잘 펴지고 뒷면 비침이 없는 것을 고르면 된다. 사실 필사의 즐거움을 위해 굳이 비싼 만년필을 구할 필요는 없다. 어떤 만년필이든 1883년에 만들어진 워터맨의 방식을 따르고 있고, 쓰면 쓸수록 점점 좋아지기 때문이다. 결국은 오래 써서 자기 손에 길이 난 만년필이 가장 좋다는 이야기다. - P158

나는 주로 파커45를 사용했는데, 파커45는 가볍고 펜 끝은딱딱한 편이었다. 너무 저렴한 만년필 중에 뚜껑이 깨지거나 밀폐도가 떨어지는 것, 클럽이 끊어지거나 탄력이 떨어지는 제품들이 있는데, 요즘 문구점에서 이런 물건을 취급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고를 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단지 필사를
할 때누 가늘게 써지는 게 좋다는 말을 해 주고 싶다. - P159

만년필 펜촉 굵기는 EF, F, M, B, BB 등으로 
구분하는데 필사를 한다면 가장 가는 EF 펜촉을 사면 된다. 펜촉의 굵기를 구분하는 알파벳은 그리 어려운 의미가 아니다. F는 ‘fine‘으로 가늘다는 의미다. M은 ‘medium‘으로 중간, B는 ‘broad‘로 넓다는 의미다. EF는 ‘extra fine‘으로 ‘아주 가늘다‘라는 말이다. BB는 넓은 것이 두 개이니 ‘매우 넓다‘는 뜻이다. 그런데 ‘fine‘은매우 적절하게 선택된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에게는 ‘좋다‘는 의미가 더 익숙할 텐데, 필기구는 종이라는 한정된 공간안에 많은 글을 정확하게 써야 하기 때문에 가늘고 뾰족한 것이 좋은 대접을 받았다. 그런 면에서 ‘가늘고, 좋다‘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는 ‘fine‘은 필기구로서 만년필의 본질을 보여주는 절묘한 단어가 아닐까 싶다.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펄프헤드 - 익숙해 보이지만 결코 알지 못했던 미국, 그 반대편의 이야기 알마 인코그니타
존 제러마이아 설리번 지음, 고영범 옮김 / 알마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익숙하지 않은 소재의 에세이라 처음엔 그 생소함에 당황스럽지만 섬세한 묘사와 생생한 상황 설명으로 인하여 결국 미처 알지 못했던 미국 문화의 속살을 일부 나마 경험하게 된다. 다양한 주제와 연관된 자료와 여러 장르의 음악을 검색하며 읽었던 시간을 기억할 것이다. 올해 읽은 최고의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년필 탐심》 박종진 지음

만년필로 예쁘고 멋있게 글씨를 써보고 싶어 약간의 무리를 해서 유선형의 통통한 워터맨 만년필을 사놓았다. 그런데 작년부터 치료를 받아도 낫지 않는, 계속 아프고 잘 구부러지지 않고 속썩이는 오른손 가운뎃 손가락 때문에 제대로 써보지도 못하고 서랍 안에 고이 모셔두고 있다.

답답한 마음을 달래려 책을 빌려왔다.


探心탐심 깊이 살펴보려는 마음

인문이
녹아든 물건

"너 몇살이니?""
"연세가 어떻게 되세요?"

사람들끼리 나이를 알아보는 법은 간단하다. 그냥 물어보면 된다. 그러나 대답을 할 수 없는 동물이나 물건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소나 개의 나이는 이빨의 모양과 마모 정도로 따져 볼 수 있다. 1966년 석가탑을 보수하다 발견된 현존 최고목판 인쇄본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연대를 751년 이내로 보는 것도 당시 사용된 종이와 서체, 쓰인 글자 등을 연구하여 알아낸 결과다. - P16

만약에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1919년 6월 28일을 다룬 영화가 있다고 하자. 승전국 영국의 수상 로이드 조지 Lloyd George, 1863~1945 가 서명하는 장면에 통통한 유선형만년필이 등장했다면 고증이 잘못된 것이다. 유선형 만년필은 1929년 쉐퍼의 밸런스 모델을 통해 처음으로 선을 보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로이드 조지는 웨일즈어가 새겨진 금으로 만든 워터맨 만년필로 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만년필은 복제되어 당시 유럽에서 가장 안목 높은 수집가로 유명했던 메리 왕비(영국의 왕 조지 5세 왕비)에게 전해졌다. 대공황을 배경으로 1933년에 만들어진 영화  <킹콩>이라면 모를까 191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
는 유선형 만년필이 등장해서는 안 된다. 여담이지
만 영화 <반지의 제왕>을 연출한 피터 잭슨Peter Jackson 감독의 2005년 작 <킹콩>에는 만년필이 등장하긴 하지만 쉐퍼 밸런스는 아니었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2. 마지막 웨일러
그래서... 밥 말리 앤 웨일러스의 연주 라이브를 찾아 들어보았다. 유튜브에 다양한 버전으로 나와 있었다. 나도 자메이카 음악은 처음 들어보는 거였다. 1950년대 말에 시작된 스카Ska, 1966년 출현한 장르인 록스테디Rocksteady, 레게 음악이 자메이카의 음악이었단 걸 알았다.
레게라니.. 스카라니... 이 책이 아니면 결코 알지 못했을... 음악들...
여러 곡을 들ㅇㅓ 볼 수 있었다. 듣다보니 좋아할 만한 곡들이었다!
Stir It Up
Don‘t Touch the President
Let Him Go
Battering down SEN-tence...

어제 마지막 14장인 페이턴스 플레이스(1960년대1964~1969에 방영된 인기 TV시리즈)를 읽고 지루해서 패스했던 ‘11. 알려지지 않은 시인들‘로 돌아와 다시 읽었다. 다시 읽으니 또 잘 읽혔다. 하하... 다시 읽다보니 알게 된건데 시詩와 시인들에 관한 에세이가 아니라 블루스,흑인 음악의 음반과 소리를 찾아 여행한 사람들에 대한 거였다.
우리 라디오 듣다보면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라는 코너를 듣게 되는데 거기서 우리 어머니, 할머니들이 들에서 밭에서 집에서 힘들고 고달프고 어렵고 슬프고 즐겁고 기쁠때 부르던 노동요, 노래들을 채집한 소리를 들려주는 건데 그게 생각이 났다.
생으로 들을 수 있었던 목소리들이 정말 좋았다. 대학때 전공 공부할 때도 우리의 민요나 소리를 채집하는 분들이 남겨놓은 소중한 기록문학인 구비문학에 대해 배운 게 생각이 났다.
새삼 기록의 소중함을 배운 시간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그걸 생각하니 이 11장을 다시 읽길 잘했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난 블루스 음악과 흑인 음악에 대해서 문외한이지만 말이다.
작가님 말대로 이건 분명 가치 있는 일이다.




12
마지막 웨일러

2010년 7월 초, 나는 밥 말리의 첫 밴드였던 웨일러스의 마지막 멤버 버니 웨일러를 만날 수 있기를 바라며 자메이카로 날아갔다. 버니 웨일러가 누군지 모른다면 이 글을 읽는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분명 모를 것이다. 그리고 아는 이들이라면 이런 중요한 인물을 새삼스럽게 찾아야 한다는게 어처구니없게 들릴 것이다. - P424

어떤 경우가 됐든, 이건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었다 ㅡ웨일러스가 BBC의 음악 프로그램 <올드 그레이 휘슬 테스트The Old Grey Whistle Test>에 나와 <스터 잇 업 stir It Up>을 연주하는 영상을 찾아보라. 1973년에 있었던, 그들의 제대로 된 첫 번째 투어였다. 
버니는 밥의 왼쪽에서 스네어드럼으로 하나둘 반복되는 액센트를 넣으면서 고음부를 노래하고 있었다. 그는 술이 달린 자주색 아랍식 모자Shriner‘s fez에 추상적인 라스타파리안 무늬가 들어간 스웨터 베스트를 멋지게 차려입고 있었다. - P425

버니 웨일러를 만나는 건 내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파이프 드림pipe dream‘이었다. 내가 실제로 파이프를 들고 있는 동안 꾸었던 꿈이니 문자 그대로 파이프 드림이라 할 수있겠다. 나는 자메이카 음악에 대해 아는 게 없지만, 창의성이라는 면에서 자메이카 음악의 수준이 높다는 건 확실해보인다. 어쩌면 섬이라는 특수성 덕분인지도 모르겠다. 고립은 때로 이런 밀도를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를 생각해보라. 많은 면에서 낙후된 곳이지만, 한 세기에 예이츠, 베케트, 조이스가 나왔다.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 P4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의 이면 - 개정판 문학동네 한국문학 전집 32
이승우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특유의 사변적이고 끝없이 미로를 헤매는 듯한 서술 방식에 더하여 독자의 마음을 짓누르는 어둠의 무게˝ 때문에 온전히 읽어 내기도 만만치 않았고 거기에 덧붙여 나의 감상을 쓴다는 것은 애시당초 불가한 일임을 읽으면서 이미 알았다. 이승우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볼 마음이 생겼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을 2024-09-14 17: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승우 작가가 묵직하지요^^

은하수 2024-09-14 19:41   좋아요 0 | URL
네., 그점이 또 전 너무 좋네요^^
다른작품으로 곧 다시 만나고 싶어요^^

다락방 2024-09-19 09: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승우 작가는 저의 국내작가 패이버릿 입니다. 너무 좋아요!

그레이스 2024-09-19 13:40   좋아요 1 | URL
저두요

은하수 2024-09-19 13:46   좋아요 1 | URL
이승우 작가님의 자타공인 1번째 마니아님이시잖아요~~^^
리뷰쓰기 힘든 작가 중 한분이시구요 ㅠㅠ 이 작가님에 관한 한 전 앞으로도 읽기에만 힘써야 할 듯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