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
윤상욱 지음 / 시공사 / 2012년 3월
평점 :
제목이 도발적이다.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누군가 농담식으로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다고 하던데, 이것은 웃음을 유발하지만, 이 책의 제목은 무언가 씁쓸함을 자아낸다.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니, 앞의 아프리카와 뒤의 아프리카가 분명 다르게 쓰였을테고, 우리가 알고 있는 아프리카는 앞의 아프리카라고 할 수 있고, 우리가 모르고 있는 아프리카는 뒤의 아프리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렇담, 이 책의 지은이는 무엇을 알려주려고 할까? 바로 우리가 알지 못했던 아프리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아프리카, 타잔의 고향으로 기억하든지, 아니면 부시맨으로 기억하든지, 그렇지도 않으면 내전이 일어나고 있는 피의 대륙으로 기억하든지, 뿌리에서 느꼈던 노예의 고향으로 기억하든지, 하여튼 우리가 알고 있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그 일부를 가지고 우리는 아프리카를 다 아는 양 하지 않았던가 반성이 되게 하는 책이다. 게다가 요즘에는 봉사활동을 하러 가는 곳으로 알려져 있고, 얼마전에 세상을 쓴 이태석 신부로 인해 더욱 알려지기도 했던 대륙이 바로 아프리카다.
검은 대륙으로, 또는 붉은색의 대륙으로 아프리카를 떠올리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아프리카에 대해서 차근차근, 하나하나 알려주고 있다. 기존에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아프리카에 대해.
서구의 관점에 치우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아프리카주의에 치우치지도 않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아프리카의 역사와 환경과 정치사황, 경제 상황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덕분에 아프리카에 대해서 알고 있던 기존의 지식들에 새로운 지식들을, 그리고 우리가 알아야 할 지식들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총 5개의 장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1장 왜곡된 정체성에서는 우리가 아프리카에 대해 지니고 있던 인식을 새롭게 해주고 있으며, 2장 빈곤과 저개발에서는 왜 아프리카가 그많은 자원들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살기 힘든 대륙이 되었는가를 객관적인 시각에서 알려주고 있다.
3장 독재와 폭력에서는 아프리카의 정치 상황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는데, 이 대륙에서 왜 이토록 독재자가 많은지, 국경선은 왜 이렇게 형성이 되어 종족간의 갈등이 심화되는지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지금까지 먼 대륙으로만 느껴졌던 아프리카가 우리의 삶과 그리 멀지 않음을, 이 장에서 알 수 있다. 얼마 전에 우리도 소말리아 해적으로부터 고통을 받지 않았던가. 그리고 이 일은 아직도 진행 중이지 않은가. 그러나 그들이 해적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이 책을 읽으면 알게 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그리 쉽지는 않음을, 또 무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고 할까.
4장에서는 심성과 편견이라고 해서 아프리카를 아프리카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 그럼에도 아프리카도 자신들이 변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우쳐야 한다고 한다. 아무리 아프리카 전통이라고 인권이라는 관점에 맞지 않는다면 고쳐야 한다는 사실. 이것은 보편적인 사실이다. 이를 잘 말해주고 있는 장이다.
5장에서는 그럼에도 아프리카의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어려움을 겪은 대륙답게, 이제는 그 어려움을 서서히 극복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이제는 지구촌이 된 세상에서 어느 대륙이 힘들게 살고 있다는 사실은 다들 힘들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게 하고. 이 장에서는 자원뿐만이 아니라, 식량 문제에 대해서도 아프리카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해주고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기본은 바로 식량이기 때문이고, 이를 슈마허의 중간기술(우리들은 적정기술이라고도 한다)과 연계시키면 검은 대륙, 붉은 대륙인 아프리카가 다시 녹색 대륙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야기하고 있다.
나에게 아프리카는 언제나 녹색 대륙이다. 검은 대륙은 서구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륙이라고 하고, 붉은 대륙은 내전으로 점철된 아프리카 과거-현재의 대륙이라면, 녹색 대륙은 과거-미래가 결합된 앞으로 우리 앞에 전개될 대륙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아프리카에 대해 지니고 있던 단편적인 생각을 수정할 수 있고, 또 아프리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내용들로 가득 찬 책.
그래, 우리가 알고 있던 아프리카가 과연 아프리카였을까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다.
덧글
내용 이해와는 별 상관이 없지만 211쪽은 글의 내용과 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 글 내용에서는 르완다애국전선과 무세베니 대통령은 투치족이라고 나와있는데, 표에서는 후투족으로 나와 있다. 그리고 1994년에 투치족 정부 수립이 이루어졌다고 했는데, 표에서는 후투족 정부수립으로 나왔다. 글 내용이 옳다고 생각하는데, 표의 내용이 수정되어야 한다.
350쪽에 1970년대 말 모택동의 흑묘백묘론을 연상시킨다고 했는데, 흑묘백묘론은 등소평(덩샤오핑)의 이론이라고 알고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