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미션 임파서블:파이널 레코닝> 25년 5월 17일 개봉. 2시간 49분. 15세 이상 관람가. 첩보, 액션, 스릴러. 시리즈물 중 8편. 1996년 1편 개봉. 물에서 하늘에서 죽을 고비 넘기며 시간과 싸우다. 결국 위대함은 <타이밍>이니까. ★★★★ 8점/10점
2. 7편이었던 전작 <미션 임파서블:데드 레코닝>과 이어짐. 전 세계의 디지털 정보망을 점령해 버린 인공지능 NTT. NTT는 자신의 생존과 지구의 통제를 위해 인간을 제거할 계획이다. 그 계획 중 하나가 바로 핵무기. 전 세계 핵무기를 손에 넣고 동시에 핵 미사일을 세계 곳곳에 발사시키려고 한다. 미국은 NTT의 계획을 알아차리고 전 세계에 핵무기가 터지기 전에 다른 국가의 핵무기고를 없애고, 이를 미국의 소행이 아닌 NTT의 소행으로 덮기 위해 미국 내 소도시 하나도 핵마사일로 희생할 생각이다. NTT가 핵무기를 발사하기 전에 이단 헌트와 그의 동료는 NTT를 제거해야 한다.
*** 이것도 스포일러일 수 있겠다.
3. <미션 임파서블> 8편인 <파이널 레코닝>은 제목에 파이널이 들어가면서 이 시리즈의 마지막이라는 이야기가 떠돌고 있다. 주인공인 톰 크루즈의 나이도 60이 넘어 지금까지 보여준 스턴트를 계속하기가 쉽지 않다는 생각도 한 몫 한다. 영화를 보고 나서 든 생각은 9편이 안 나오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 도대체 어디서 8편이 마지막이라는 소문이 떠돈 것일까. 톰 크루즈의 입에서 직접 나온 말이 아니라면 시리즈의 끝은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지 않을까 싶다. 영화의 긴장감을 더 한 것 중 하나는 시리즈가 끝이 날 지도 모른다는 소문이었다. 즉 이단 헌트가 죽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영화를 더 쫄깃쫄깃 만들어 주었다.

4. <미션 임파서블>의 트레이드 마크는 아찔한 스턴트 액션이다. 톰 크루즈가 직접 모든 액션을 소화한다. 미친 속도감으로 그의 얼굴이 일그러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쾌감이 있다. 이번 8편에서도 이런 속도감이 등장한다. 바로 1943년식 보잉의 복엽기에서 벌어지는 비행기 쟁탈전이다. 공중에서 비행기를 옮겨 타고, 조종석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과 탈출 장면은 아찔아찔하다.

더불어 미친 속도감과 정반대의,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수중 장면도 압권이다. 실제 54키로그램이나 되는 잠수복을 입고 촬영했다는 잠수 장면은 리얼타임과 가까워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특수 잠수복을 입고 잠수함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 정도. 잠수함에서의 활동은 거의 실시간 중계마냥 이어진다. 이것이 어떤 이에게는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수중 장면이 주는 압박감을 표현하기에는 제격이지 않았나 싶다. 또한 속도감이 사라지고 수중에서의 둔탁함으로 인해 다소 지겹다는 평가도 많지만, 바로 이런 둔탁함이 긴장감을 더욱 끌어올렸다고 할 수도 있겠다.
5. 이번 <파이널 레코닝>에서 간과되어진 액션은 바로 격투씬이다. <미션 임파서블>의 또다른 장점은 격투씬에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어떤 액션 영화보다 훨씬 타격감이 실재적이다. 거의 대부분의 액션 영화는 카메라 트릭과 편집은 물론 배우들의 합을 맞춰 실제 주먹과 발이 닿는 것처럼 격투 장면을 보여준다. 즉 실제 치고 받고 하지 않고서 치고 받고 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액션씬은 이런 합과 트릭이 눈에 보인다. 그럼에도 극중 몰입의 정도에 따라 실제 액션으로 여기게 될 수도, 다소 엉성하게 보일 수도 있다. <존 윅>은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배우들의 합이 잘 맞아 떨어졌다고 인식하면서도 숨가쁜 전개로 액션의 탁월함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미션 임파서블>의 경우에는 계속되는 숨가쁜 전개가 아니지만 짧고 강렬한 격투 장면이 조금의 어색함도 없이 매끈하게 전개된다.
6. 문제는 러닝타임이다. 3시간에 가까운 이야기이기에 다소 지루할 수 있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특히 중반까지는 지금까지 시리즈의 떡밥을 회수하고 설명하는 한편, 얼굴을 알지도 못하는 이들을 위해 음지에서 일하는 이들에 대한 찬양이 이어진다. 이렇다 할 액션 장면 없이 회상과 말이 주가 되다보니 다소 지루해질 수 있다. 하지만 <미션 임파서블>을 좋아했던 사람들이라면 이 시간마저도 그다지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7. 훌륭한 소매치기와 위대한 소매치기의 차이는 <타이밍>에 달려 있다. 이 타이밍은 8편 내내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잠수복을 입고서 펼치는 액션 장면도 잠수복 내 산소량 때문에 시간이 제한되어졌다는 것. 비행기 액션도 미국이 핵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또는 NTT가 핵 미사일을 발사하기 전에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는 것. 제한된 시간이 주는 긴장감이 폭발한다. 게다가 NTT를 잡기 위해서는 몇 백 만분의 1초도 안 될 눈 깜짝할 새보다 짧은 타이밍을 요구한다.
사랑도 행운도 실은 타이밍이 아니었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