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미로 한 밥은 말고 현미로 밥을 하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쌀을 불리는 것에서부터 뜸을 들이는 것까지 모두가 공이다. 신기하게도 이렇게 많은 시간을 투자한 밥은 그 먹는 시간도 많이 걸리게끔 된다. 현미를 백미먹듯이 먹었다가는 아마도 소화가 잘 안되 배가 고생할 것이다. 그래서 꼭꼭 씹고 또 씹어 먹어야만 하는게 현미다.

무척 다행히도 이렇게 현미를 꼭꼭 씹다보면 그 맛이 우러난다는 것이다. 씹으면 씹을수록 단 맛이 나는게 기분이 좋다. 그리고 이빨에 씹히는 그 질감은 부들부들한 백미와 비교할 수조차없다.

이렇게 꼭꼭 씹어 제 맛이 우러나는 것은 꼭 현미만은 아니다. 내가 가지고 있던 생각의 깊이도 꼭꼭 씹어야지만 제대로 여문다. 꼭꼭 씹고 씹혔을때 나라는 사람도 맛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rk829 2004-09-13 1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학교 공부로 만성 위염을 얻었는데 의사선생님이 꼭 현미밥을 먹어야한다고 하셨습니다. 멋진 분이시니 안산 다농마트쪽 사랑의 병원 내과 과장님을 찾아가보시고 김예린 학생(캐나다에있는 매년오는)이 고마와하고 선생님같은분과 결혼하신 분은 좋겠다고 좀 전해주세요. ^^ 시간낭비는 아니겠지만 싫으시면 안하셔도 되고 해주시면 고맙습니다~ ㅋㅋㅋㅋㅋㅋ

2004-09-13 1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부자의 그림일기
오세영 지음 / 글논그림밭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희재의 <간판스타>가 희생에 대해 이야기했다면 오세영의 <부자의 그림일기>는 분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영화처럼 줌인과 줌아웃, 패닝으로 짜여진 만화의 한컷 한컷은 글보다도 훨씬 많은 감정을 담고 있다.  몽타쥬 기법과 같은 장면의 충돌없이도 서서히 감정을 격앙시키는 컷의 구성은 탁월하다.

어쩔 수 없는 환경이나 사회적 제도, 역사의 흐름속에서 한 개인으로서 맞닥뜨리게 되는 참을 수 없는 분노, 그러나 그것은 누구를 향해 폭발되어지는가?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몸을 판 어머니의 화상으로 일그러진 얼굴, 원시인처럼 거친 근육으로 표현되어진 경쟁사회속의 타인들, 끌려가는 아버지때문에 또 그리고 세월이 흘러 아들때문에 토악질을 해대야 하는 주인공,  가난하기에 왕따 당하는 딸을 위해 손을 꼭 쥐고 세상을 향해 외치는 어머니 등등. 주먹을 뻗어 닿는 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결국 분노를 터뜨릴 대상이 되어 버린다. 가족과 동료를 향한 거침없는 분노. 실은 세상을 향한 분노여야 옳다. 그렇기에 한 컷 만화 속의 뒤틀어져버린 관계들은 더욱 서글프게 다가온다. 

누가 우리의 얼굴을 일그러지게 만드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화기를 들었다 다시 놓는다.

왜 전화를 안 받는거지? 혼자 생각하며 자꾸 망설여진다.

발신자 표시가 있게 된 후론 쉽게 전화를 걸 수가 없다.

분명 내가 전화를 건 것을 알텐데.... 

상대방이 전화를 안 받는다는건 도대체 무슨 의미란 말인가?

 

자꾸만 작아져가는 자신을 바라보게 된다.

전화는 이제 이렇게 사람을 작게 만들어버린다.

 

잔인한 4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간판스타 - 이희재 단편집
이희재 지음 / 글논그림밭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1980년대 가난한 사람들의 지난한 삶들이 녹아 있는 만화책이다. 단란주점에서 일하는 아가씨, 쓰레기 리어카를 끄는 청소부 아저씨, 운수도 무지하게 나쁜 택시운전사, 일약 등단과 돈을 한꺼번에 쥐고자 했던 룸펜, 딸로 태어난 설움을 간직한 막내딸 끝지 등등.

흔히 밑바닥 인생을 읽어가다 보면 그들을 그 자리에 서게 만드는, 그리고 더 이상 벗어날 수 없는 늪과 같은 사회에 대한 분노를 먼저 느끼게 마련인데, 간판스타는 오히려 눈물을 머금게 만든다. 그 굵직한 필체의 그림 속에서 이렇게도 연약한 마음의 파장을 일으킨다는 것에 경외감을 느끼게 만들 정도다.  경숙이, 황씨, 끝지가 보여주는 희생적인 삶, 자신을 버림으로써 가족을 살리고자 했던 그들의 마음에 눈물이 울컥 치밀어 오른다.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덕목중엔 희생도 분명 포함되어 있을터이다. 아마 그래서 우리 주위엔 바른 사람을 찾아보기 쉽지 않을지도 모른다. 내가 이렇게 눈물을 머금는 것도 그것이 누구나 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님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난 내 주위엔 정말로 희생하는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다. 자신의 꿈만을 향해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실재한다면 희생이란 단어는 사전에서 사라져버리지 않겠는가? 희생은 사회가 강요하는 것이다. 못난 사회를 아름답게 가려보기 위해 수많은 미담을 만들어낸다. 사회 자체가 아름답다면 아름다운 이야기는 사라질지 모른다. 난 더 이상 황씨나 경숙이와 같은 사람들이 사회에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아름다운 마음은 영원히 간직하되 그것이 지금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지 않기를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icare 2004-04-22 1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덕의 강요.악덕보다 더 싫은 것입니다.왜 약자에게만 예절과 미덕을 강요하는지...
잘 읽고 갑니다.
 

이희재 <간판스타>

 

끝도 없이 펼쳐져 있는 저 푸른 하늘 말이다.

니 것 내 것이 아닌 우리의 하늘인 기라.

끝도 시작도.

니 것 내 것 구분도 없는 우리 모두가 누려야 할 하늘이란 말이다.

 

 

대동강 물도 팔어먹었다던 봉이 김선달. 지금은 그렇게 물을 팔아먹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생수를 사 먹어야 하는 걸 자연스럽게 느껴버리는 곳.

언젠가는 저 푸른 하늘도 팔어먹지 않을까 싶다. 돈 있는 사람만이 푸른 하늘을 볼 수 있고 가난한 이들은 매연 속에서만 살아가야만 할지 그 누가 알겠는가? 자연은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그 무엇임과 함께 우리 모두가 함께 누려야 할 공동의 자산임을. 그래서 길에서 자라나는 풀 한포기, 꽃 하나 함부로 꺾어서는 아니됨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