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이란 참 오묘하다.

지난해 풀을 뽑지 못해 허리춤까지 올라왔던 것을 벨 수도 없어서 그냥 눕혀놓은 덕분에 올해는 골 사이 풀이 많이 나지 않았다. 눕혀진 풀이 멀칭 역할을 한 것이다. 워낙 빳빳한 풀들이라 썩어서 퇴비가 되려면 2~3년은 걸리지 않을까 싶지만 그 덕에 자연멀칭이 됐으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그래도 블루베리 주위에 난 풀들은 무럭무럭 자라 블루베리 나무 주위를 감싼다. 5월과 6월 사이 손으로 잘라주거나 뽑기를 세 번이나 했다. 중간중간 가문 시기엔 물도 주면서. 아무튼 풀이 적게 난 덕분인지는 모르겠으나 벌레도 많지 않았다. 물론 벌레도 손으로 잡아 짓눌러 죽이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비료는 아예 주지도 않고 그나마 퇴비도 소량 준 탓에 나무가 빨리 성장하진 못하고 있지만,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듯하다. 그리고 비료는 물론, 농약, 제초제 한 방울 들어가지 않은 블루베리 밭에서 열매가 익어가는 모습을 보니 너무 뿌듯하다.

 올 해 처음으로 수확을 해보니 대충 작은 용기 3개 정도 분량은 나오는 듯하다. 크기도 굵고 당도도 괜찮다.

주위에 참새들이 워낙 많아 새 피해를 입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아직까지 블루베리 맛을 보진 않았는지 큰 피해는 없다. 위의 사진 정도로 한 두 번 쪼아 먹은 흔적이 몇개 있을 뿐이다. 약을 안 친 밭이다 보니 먹을 벌레가 많아서일까.....

지난해 2년생 묘목을 심고 올 겨울을 나면서 7~8% 정도 얼어죽었지만, 나머지는 건강하게 자라 이렇게 달콤한 블루베리 열매를 주는 것이 기특하다. 앞으로 수확을 한 달 정도 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계속 풀뽑기와 물 주기 등 관리만 잘 한다면 꽤 수량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내가 키운 블루베리. 더군다나 약 한 방울 가지 않은 것. 그냥 따서 바로 입으로 쏙 집어넣고 맛을 음미해보는 재미가 솔솔하다.

 

 

아참, 지난해 다섯 그루 정도 심었던 복분자는 한 그루만 살아남았지만 기특하게도 꽃을 피우고 열매까지 내준다. 

스스로 키워내고 맺어주는 자연의 힘을 고스란히 몸으로 느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래 <비경운> 즉 땅을 갈지않고 텃밭을 가꿀 요량이었는데, 부지런하신 부모님께서 아파서 누운 자식을 대신해 땅을 다 엎어주셨다. ㅜㅜ

땅을 갈지말고 놔 두라고 했지만, 땅을 갈아야 농사짓는 것으로 알고 계신 부모님은 기어코 삽을 드신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올해는 경운된 땅에서 텃밭을 가꾸어야 할 모양새다.

지난달 심어두었던 양배추, 브로콜리, 케일은 그럭저럭 잘 자라고 있다. 이들은 모두 싹을 심어서 모종을 직접 키워낸 것들이다.

사진 왼쪽의 고추는 모종을 얻어다 심었다.

밑 부분에 맨흙 부분은 오크라 씨앗을 심은 부분이다. 모종을 키워서 심는 것이 아니라 직파(자랄 곳에 바로 씨를 심어 기르는 방법)했다. 오크라는 옮겨심기보다는 직파하는 것이 좋다고 해서 해본 것인데 좀처럼 싹이 올라오지 않는다. 씨앗값도 꽤 비싼데.... 오크라는 고추와 닮았는데 그 씨앗은 커피 대용으로 쓸 수 있다고 한다. ^^

 

오이 모종도 직접 키워서 옮겨 심었다(정식). 오이는 덩굴성이라 타고 오를 것을 만들어줘야 한다. 지주대를 박고 오이망을 설치했다. 그런데 오이망을 처음 설치하다 보니 어설프다. 밑에까지 닿지 못하고 허공에 대롱대롱. 오이가 좀 자라면 망 쪽으로 유인해야 할 듯싶다.

오이 옆에는 인디안 감자(아피오스)를 심었다. 물에 이틀 정도 담가두어 싹을 낸 후 직파했다. 그런데 이 아이도 좀처럼 싹을 흙 밖으로 내밀지 않고 있다. 

 

 

남은 공간에는 수박과 참외, 옥수수를 심었다. 수박과 참외는 덩굴을 뻗어갈 공간을 놔두고 그 끝자락에 옥수수 모종을 심었다. 이들 모종은 모두 구입한 것들이다. 수박, 참외는 모종 1개당 1,000원으로 꽤 비싸다. 참외의 경우 하우스 재배가 대부분이다보니 진짜 제철인 여름에 먹는 일이 별로 없다. 잘 키워서 먹어볼 요량인데, 수박에 비해 모종이 부실한 편이다. 땅에 활착(뿌리를 잘 내려 살아남는 것)하지 못하고 여리여리한 것이 불안하다.

이외에도 호박도 경사진 면에 조금 심어놨다. 물주기가 다소 불편하지만 경사진 곳의 풀들을 억제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10개 가량 심어놨는데 반 정도는 잎을 따먹는 용도로 쓸 계획이다.

 

그나저나 아픈 다리가 나아야 좀 더 작업을 해 나갈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군가 뒤에서 야구방망이로 종아리를 때리는 듯한 충격이 전해졌다. 뒤를 돌아봤다. 아무 것도 없었다. 그럼 도대체...

왼발을 들어 한 걸음 올리려는데 극심한 통증과 함께 전혀 힘을 주지 못하겠다. 어라? 순간 불길한 예감이 스쳐갔다.

병원에 가보니 종아리 근육 파열. 그나마 다행이라고나 할까. 운전은 하라고 왼발을 다쳤나보다 생각한다. 회복은 하라고 완전파열이 아닌 부분파열. 그래도 한 달 가까이 절뚝거릴 생각을 하니 아찔하다.

그나마 얼굴에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건 딸내미의 종이 카네이션 ^^

앞으로도 원하는 것 많이 해달라는 뜻으로 이해할련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씨앗 속에 온 우주가 담겨있다.

 

 

쉼 속에 온 평화가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은 종자를 직접 받아(채종) 쓰는 대신 종자회사의 종자를 사거나, 아예 모종을 구해서 심는 경우가 많죠. 그러다 보니 농산물의 꽃을 구경하는 것은 신기한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특히 채소 종류는 더욱 그렇죠.
멀리서 보아도 아름다운 꽃이 있어 가까이 가 보았습니다. 게걸무가 꽃을 피웠네요. 게걸스럽게 먹을 정도로 맛있다고 해서 붙여진 게걸무는 토종무입니다. 비영리 국제기구인 슬로푸드에서 선정한 맛의 방주에 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맛의 방주는 전통 먹거리 종자를 보호하고 종 다양성을 지키면서 그 지역의 전통음식과 문화를 보전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게걸무는 일반 무보다 수분함량이 적은 대신 단단하고 매운 맛도 강하다고 하는데 아직 맛을 보진 못했어요. 이번에 종자를 받으면 집 앞에 심어서 꼭 맛을 보고 싶네요. 일단 꽃구경부터 실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