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 모종을 이식하는 할머니들의 손이 바쁘다. 단조로운 작업에 힘을 북돋워주는 것은 수다다.

이래저래 떠다니던 수다는 어느덧 외국인 며느리들 이야기로 접어들었다.

"저 아래 집에 러시아 며느리가 새로 들어왔다며? 그런데 밥도 할 줄 모른다네~"

"뭐, 밥하는 거야 배우면 되지. 애나 잘 낳으면 되는거여"

"그래도 살림은 해야지. 저기 ㅇ ㅇ 네 베트남 며느리는 손이 야무지던데."

"뭐니뭐니해도 돈 잘 벌어오면 최고 아니여?"

할머니들에게 외국인 며느리는 더이상 신기한 일이 아니다. 또 며느리의 덕목에 대한 관점도 당신들의 삶의 경험에 비추어 다양해졌다. 다문화가족은 전체 가구중 1.6% 정도 차지한다고 한다. 현재 결혼의 10%, 출생아의 5.1% 정도가 다문화가정이라는 통계치가 있다. 

실제 딸내미의 친구들 중 절반이 넘는 아이들이 다문화가족의 아이이다. 물론 학급의 절반 가량이 다문화가족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조금 많은 편이기는 하다. 베트남, 필리핀, 중국, 일본 등 국적도 다양하다. 거의 대부분 어머니쪽이다. 아이들과 학교간 또는 학원 선생님간의 소통에 어려움이 조금 있다. 주위에서 아주 작은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다. 할머니들이 외국인 며느리들을 스스럼없이 받아들이는 것처럼 다문화가족 또한 우리에게 스스럼없이 받아들여질 날이 올 것이다. 그 과정엔 할머니와 같은 넉넉한 품이 필요하다. 두 팔을 벌려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직도 아침이면 물이 언다. 하지만 봄의 기운을 꺾을 수는 없는건가 보다. 쑥과 냉이가 초록빛을 뽐낸다.

 

 

3월 17일엔 적양배추와 콜리플라워 모종을 얻어서 정식했다. 다소 이른감이 들지만, 아침 추위를 견뎌준다면 오히려 더 강하게 자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지난해에도 열흘 쯤 일찍 심은 콜리플라워가 병충해없이 잘 자란 기억이 있다. 올해는 그때보다 일주일가량 더 빠른 것 같다. 냉해를 입을까 조금 불안하지만 잘 버텨주기를 기대해본다. 지난해와 다른 점은 이랑과 고랑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지난해엔 평지 그대로에 퇴비와 숯을 조금넣어 키웠다. 그러다보니 뿌리가 땅 속 깊이 박히질 못했다. 생땅을 긁어둔 곳이었던 탓에 딱딱했기 때문이다. 흙이 건강하게 될 때까지, 즉 부드러움을 갖출 때까진 이랑과 고랑을 만들어 작물을 키울 생각이다. 올해엔 퇴비만 조금 뿌린 상태다.

 

 

 

 

도라지와 더덕 씨앗도 파종했다. 고구마와 야콘도 심어두었다. 이것들은 이동식 간이 비닐하우스에서 추위를 이겨낼 것이다. 다만 고구마와 야콘은 원예용 상토에 묻어두었다. 어떻게 자랄지 지켜봐야 한다. 일반 흙이 아닌 상토에서도 잘 자라준다면 이 방법을 써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성 싶다. 작은 비닐하우스라지만 추위를 완전히 막아주진 못한다. 조금 일찍 심자는 생각으로 파종했기에 잘 지켜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혜의 심리학 - 나의 잠재력을 찾는 생각의 비밀코드
김경일 지음 / 진성북스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삶의 목적을 행복에서 찾는 사람들이 많다. 즉 '행복해지고자 하는 것'이 내가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 이유인 것이다. 그런데 이 행복이란게 도대체 뭘까.

이 책은 행복의 비결(?)을 가르쳐준다. 그 가르침은 인지심리학에서 출발한다. 인간의 뇌가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부터 시작해 행복에 이르는 또는 행복을 만드는 길을 말한다.

먼저 인간의 행동은 크게 두 가지 동기에서 비롯됨을 말한다. 접근동기와 회피동기. 이 두 가지 동기는 숲이냐 나무냐이자, 계획이냐 검토냐, 목포냐 구체적 실행계획이냐 등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즉 목표를 세울 때는 접근동기로, 구체적 실행계획을 세울 때는 회피동기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지만 동기와 행위의 어긋남이 없어 일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접근과 회피를 잘 활용해 살아가는 것, 행복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행복을 위한 접근과 회피 동기의 적용이라는 어려운(?) 말 보다는 딱 한마디 <비교>라는 단어에 집중하게 된다. 내 삶이 행복해지려면 비교를 하지 마라. 비교란 흔히 우리가 말하는 타인과의 비교뿐만 아니라 시간의 비교, 즉 과거의 나와 비교를 해서도 안된다는 점이 기억에 남는다. 지금의 나를 대하고, 나의 행위 그 자체에 몰입되어질 때의 충만감이 행복일 수 있겠다. 과거의 나와, 타인과 비교하는 즉시 우리는 불행과 우울에 빠질 수 있다. 바로 지금, 나의 행위에 접근하고 타인과 과거로부터 회피하는 것, 행복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웹툰이 원작?

드라마의 재기발랄함에 혹시 웹툰이 원작이 아닐까 찾아보았다. 하지만 웬걸? 드라마가 원작이었다. 김혜자의 옛 광고를 패러디한 모습이라거나, 도라에몽 할머니의 화수분 같은 몸빼바지, 눈이 보이지 않는 할아버지의 가공할만한 지팡이 신공(?) 등등. 톡톡 튀는 연출의 재미가 돋보인다. 물론 이 재미에는 김혜자의 귀여운 연기가 큰 몫을 차지한다.

2. 웃음과 함께 감동!

<눈이 부시게>는 그냥 재미있는 드라마가 아니다. 그 속에 감동도 넘쳐난다. 가족과 친구를 사랑하는 마음은 물론이거니와 정과 의리 등 사람들의 외로운 이면에 숨겨진 사람과 사람을 잇는 만남의 온도가 느껴진다.

3. 청춘과 늙음

이 드라마의 핵심적인 대사를 하나 꼽으라면 "너도 늙어봐라"가 아닐까. 늙는다는 것의 의미와 청춘의 소중함을 혜자를 통해 절절히 느끼게 된다. 지금까지 나이를 먹어가면서 한 번도 늙어가고 있다는 자각을 하지 못했다. 나의 정신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뭄뚱아리는 어떤가. 하나둘씩 삐걱대고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몸의 늙어감이 생활의 조건을 바꾸게 하고, 그 변화가 정신마저 나이들게 하는듯하다. 정신과 육체의 괴리. 아마 그것의 차이가 커지는 것이 바로 나이듦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4. 기억

1,2부를 보지 못하고 어느덧 10회까지를 시청했다. 10회 혜자가 알츠하이머임이 밝혀진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이야기가 과연 현실 속에서 벌어진 일이었는지를 의심하게 만든다. 기억을 잃는다는 것. 그것은 단순히 기억 자체만을 잃는 것이 아니다. 나라는 <생각>은 기억의 집합체이다. 물론 그 기억들은 왜곡 투성이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기억들이 사라진다면 나 또한 사라지는 일이다. 혜자는 사라지는걸까.

ps. 노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보다 따듯하게 바뀌기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自然이란 스스로 그러함이다. 농사는 이 <그러한> 것 중 인간에게 이용될만 한 것을 선택해 그 성질을 극대화하는 작업이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이 작업을 위해 인간은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왔다. 너무나 힘이 들어가는 일이다보니 점차 그 힘에 기계와 화석연료가 많이 쓰이게 되었고 이젠 <스마트>한 것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런데 <스스로>의 성질을 이용해 그러함을 얻을순 없었을까. 즉 외부 에너지의 투입을 최소화하고 자연이 갖고 있는 변화의 힘을 이용한 농사란 불가능힐 것일까.
지속가능함을 생각한다면 이런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바람과 햇빛, 물, 풀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땅이 생명의 힘을 키우는 힘을 활용하는 것이며,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힘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난해 심었던 나무들은 그야말로 풀과함께 자랐다. 퇴비를 비롯해 비료, 살충제, 살균제 등등 아무것도 투입되지 않았다. 방치에 가까윘다. 몸이 아픈탓에 벌어진 일이긴 하지만 스스로의 힘을 <이용>하지 못하고 스스로 그러하게 버려둔 셈이다. 그러다 보니 나무들의 성장이 더디다. 올해는 스스로의 힘을 갖추도록 살짝살짝 힘을 쓸 계획이다. 그 첫번째는 퇴비다. 흙이 힘을 가질때까진 (예상으론 3~5년 정도) 퇴비를 조금 넣어줄 것이다. 흙이 살아나는동안 퇴비 조차 넣지 않아도 건강하게 잘 자랄수 있도록 환경을 디자인하고 만들어갈 생각이다.
일명 머리로 농사짓기다. 게으르고자 하는 얼치기 농부의 꿈이다. 그나저나 비야 쏟아져라!

 

 ※3월 9일 블루베리 1주당 3kg, 체리나무 1주당 4kg 친환경 퇴비(흙살림 균배양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