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일일드라마 <미우나 고우나>가 인기를 끌면서 그 주인공들 또한 관심의 대상이다. 특히 나선재라는 캐릭터에 대한 이야기가 시끌벅적하다.
일일드라마를 볼만한 처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또 자주 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선재에게 관심이 쏠리는지 궁금하다. 잠깐 본 드라마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을 끄는 건 봉수아라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명절 때 고향집에 내려가면 하는 일이 드라마 보는 것이다. 부모님은 저녁 때가 되면 텔레비젼에서 나오는 드라마를 시간순서에 맞추어 채널을 돌려가며 보신다. 부모님과 대화를 피하고 싶을 때도, 또는 반대로 부모님과 대화를 하고 싶을 때에도 이 드라마는 가장 큰 효과를 가져다준다.
각설하고 그 많은 드라마 중 부모님의 사랑을 제일 많이 받는 것은 미우나 고우나 였다. 물론 이 드라마 방영 시간대가 황금시간대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쩃든 그 드라마를 보면서 이해하지 못할 캐릭터로 선재를 꼽으신다. 도대체 그 성격과 태도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난 선재보다도 수아에게 관심이 쏠렸다. 어른들은 그냥 철부지 며느리라고 치부해버리고 넘어가지만, 수아는 정말 논쟁의 여지가 있는 많은 생각거리와 이야기거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지켜봤던 수아는 이 시대 결혼이라는 제도의 의미에 대해 돌아보게끔 만든다. 설날 제사를 지내기 위해 친정집으로 가겠다는 수아. 난 내 할아버지를 모시고, 남편인 선재는 선재의 조부를 모시는게 당연하다는 생각. 그래서 같은 시간에 제사가 이루어진다면 궂이 함께 있을 필요없이 각자의 집에서 각자 따로 제사를 지내겠다고 말한다.
또 한번은 카드로 인한 말썽. 시아버지 월급보다 더 많은 카드 영수증. 하지만 그 카드는 친정집에서 대주는 것이다. 내가 시댁에 피해 안 끼치고 친정 집 돈으로 마음껏 쓰겠다는데 무슨 문제인가라고 주장하는 수아.
수아의 이런 행동은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말도 안되는 처사이기 때문에 충격을 주었다기 보다는 말이 되기 때문에 충격이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해 차원을 넘어 공감할 수는 없다.
도대체 수아의 기존관념을 뒤엎는 이런 행동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수아는 결혼이라는 제도가 개인과 개인을 넘어 집안과 집안의 관계맺기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듯하다. 그럼에도 그 자신은 개인이라는 울타리보다는 자신의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행동의 준거로 삼는다. 수아가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가족이라는 든든한 배경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결혼을 통해 새로운 가족, 새로운 관계가 탄생했음에도 이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는 어디를 찾아보아도 없다. 그녀의 결혼은 자신의 가족이 선재의 가족과 혼연되지 않고 잠시 거주하고 있는 것뿐이다. 그래서 수아에게 이혼은 큰 일이 아니게 된다. 그저 잠시 옮겼던 자리에서 자신의 자리로 다시 돌아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관념. 즉 나 또는 내 가족이라는 누군가 넘어올 수 없는 담을 가진 정체성은 현재를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심중에 모두 도사리고 있는 것들이다. 배타적 관계속에서 드러나는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나 가족이 가족일 수 있는 이유로 인해 자아는 굳건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려한다. 그래서 어떤 관계에 의해 그 자아의 그림자가 흔들리는 순간 자아는 외부로부터 도망을 가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려는 퇴행을 보여준다.
수아는 이 흔들리지 않는 자아의 표상이다. 그래서 일견 이해가 되면서도, 그것이 마땅한 자세가 아니라는 점에서 공감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마땅한 자세라는 것은 옛부터 내려오는 가치관이나 전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 마땅함은 현재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 오고감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습 그 자체일 뿐이다. 그래서 수아의 굳건함은 불편하다. 수아의 굳건함이 현대인의 한 단면을 비추고 있을뿐만 아니라, 그 마땅함이 이 시대에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점에서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