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부르는 숲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고나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그것은 책을 읽었다고 할 수 없다는 공자님 말씀을 떠올린다면, 분명 나는 이 책을 잘 읽은 것이 틀림없다. 저자가 경험한 미국 동부의 3500킬로미터가 넘는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비록 걸어갈 순 없다 하더라도 나는 이곳 나의 땅 한국의 백두대간을 종주하리라는 결심을 굳히게 만들었으니 말이다. 한달에 한번 정도 산을 찾아가는 나에게 있어 백두대간은 그야말로 꿈이다. 한라에서 백두까지 진정한 국토종단의 길을 떠나기 위해서라도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까지 이끈 이 책은 그만큼 사람을 걷게 만드는 매혹적인 힘을 갖고 있었다.
그 매혹의 중심에선 저자의 유머감각이 있다. 중간중간 피식 웃음을 흘리거나 박장대소하지 않고는 페이지를 넘길 수 없을만큼 재미가 있다. 또한 자연의 파괴에 대한 가시돋힌 비판을 큰 목소리로 외치지 않아도 얼마나 현실이 안타까운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자연예찬만으로 가득찬 책은 결코 아니다. 문명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을 드러냄으로써 그들이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즉 자연만의 또는 인간만의 세상을 꿈꾸고 있는 것은 아닌 것이다.
고산준봉, 맑은 호수, 사나운 곰과 독이 가득찬 방울뱀, 별을 보며 잠드는 비박 등등 마치 동물의 왕국과 같은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다가도 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사람들의 이야기임을 깨닫게 한다. 트레일의 즐거움이나 싫증, 괴로움을 결정하는 것은 자연 그 자체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사람에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메리 앨런이라는 여자를 만나면서 느끼는 짜증과 한 부자를 통해 행복감을 맛보기도 한다. 특히 자신과 동행한 고교동창생에 대한 그의 감정의 변화는 따뜻한 인간미를 엿볼 수 있다.
주인공 일행이 비록 완주에는 성공하진 못했지만 그들이 그 험한 트레일을 시도했다는 그 자체만으로 나에겐 흥분으로 다가왔다. 그들의 발걸음 발걸음 하나하나가 바로 행복한 걸음걸이였음을 확신한다. 나도 분명 그런 행복한 걸음을 걸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