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3. 18 약한 비 후 갬


어제는 하루 종일 서서 일을 했다. 그 통에 잠깐 짬을 내서 달리는 게 불가능. 평소 하루 종일 앉아만 있다 서서 있으려니 허리가 많이 아팠다. 그러나 저러나 하루 쉬고 다시 달리려는데 비가 조금씩 내린다. 거의 그쳐가는 모양새라 주저하지 않고 밖으로 나왔다. 길에 빗물이 고여 있는 곳이 드문드문 있다 보니 달리는 데 방해가 될 듯 하지만 그렇다고 못 달릴 이유는 없어 보인다.



오늘 달리기는 다리가 무거운 정도가 아니라 온 몸이 무겁게 느껴진다. 게다가 흙탕물을 피하고 조심조심 달리다 보니 속도가 영 나지 않는다. 초반부터 쉽게 지친다. 그래도 힘겹게 달려본다. 

어깨통증은 조금 덜한데, 왼쪽 장딴지와 오금, 허벅지 부분이 당기는 느낌이 든다. 어제 일 한 것을 생각해보면 조금 무리하는 건 아닌가 걱정도 든다. 전력질주 대신 목표 거리 만큼만 달리자는 자세로 천천히 뛰었다. 

다행히 2.9 키로미터 목표는 달성했다. 속도는 어제보다 키로미터 당 8초 정도 떨어졌다. 5분 19초 피크를 달성하고 나서는 점차 내리막길.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거리를 꾸준히 늘려가고 있으니, 3키로미터 정도 뛰고 몸이 익숙해지면 속도도 자연스레 올라가지 않을까? 뭐, 그렇다고 속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해서 큰 일인 것도 아니잖은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 3. 16 안개, 맑음


다리가 무겁다. 왠지 피로가 누적된 듯한 느낌이다. 걸을 때는 그다지 느껴지지 않지만, 뛸 때는 갑자기 천근 만근 추를 단 것 같다. 하루 건너뛸까 잠깐 생각했다가, 이런 컨디션에서도 뛰어야지 생각하며 걸음을 옮겼다. 


  

어제도 발은 무거웠지만, 그만큼 힘을 더 내야지 생각하며 발걸음을 옮겼다. 그리고 힘을 낸 만큼 발걸음은 잘 떼어졌다. 하지만 오늘은 무거운 발걸음이 좀처럼 떼어지지 않는다. 내가 뛰고 있는 것인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정말 걷는지 뛰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통증은 어제와 비슷하다. 왼쪽 어깨와 쇄골, 그리고 양쪽 발 종아리 아래가 아프다. 


오늘 아침은 안개가 자욱하다. 안개 속을 달리는 기분은 남다르다. 몽롱한 느낌이 든다. 목표는 2.5키로미터였지만, 이왕 무거운 걸음을 옮겼으니 뛸 때까지 뛰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목표보다 300미터를 더 뛰었다. 거의 걷다시피 뛰었다고 생각했는데, 속도는 그제만큼은 나왔다. 달리는 속도가 어느 정도 몸에 붙은 모양이다. 속도는 올리진 못해도 거리는 꽤 늘렸다. 3키로미터를 15분 안에 뛴다면 좋겠지만, 오늘 뛰어보니 2.8키로미터에 15분 정도의 수준이라 여겨진다. 일단 3키로미터까지 뛰어보고, 이 정도 거리에서 속도를 올려볼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3월 14일


이틀간 내린 빗방울은 메말랐던 대지를 적시기에 충분한 듯하다. 블루베리 묘목을 키우고 있는 화분도 모처럼 빗물을 듬뿍 머금었다. 



겨울을 이겨내느라 힘이 들었을텐데, 얄밉게도 묘목 곁에 풀이 더 잘 자란듯하다. 묘목은 겨우 목숨을 부지하는 정도라면 풀은 그 기세를 마음껏 펼친 모양새다. 어디서 떨어진 풀 씨앗들인지 모르겠지만, 종류도 다양하다. 묘목과의 경쟁에서 풀들이 우세를 떨칠 듯하니, 아무래도 뽑아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이 풀들이 워낙 뿌리를 깊게 내려버린 탓에 자칫 흙과 함께 묘목까지 통째로 뽑힐려고 한다. 이런.... 

수고스럽더라도 뿌리는 놔두고 위 줄기부분만 잘라내야 하려나. 날이 풀리고 있으니 조금 더 지켜보면서 결정을 해야할 듯 싶다. 묘목이 자라는데 방해만 끼치지 않는다면 그냥 놔두어도 괜찮을테지만 말이다. 풀과의 싸움이 벌써 시작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 3. 15 흐린 후 맑음 아침 최저 1도


아침 컨디션이 좋지는 않다. 그래도 달려야지. 잠깐이라도 고민을 하는 순간 갖가지 핑계거리가 떠오를 것이다. 그래서 일단 무조건 달린다. 



컨디션 탓인지 발이 무겁다. 그래서 오히려 무거운 발을 어떻게든 옮겨야 되겠다는 심정으로 힘을 더 주었다. 오르막길에서는 뛰는 건지 걷는 건지 모를 정도였다. 어깨통증은 그럭저럭 참을만했다. 다만 퇴비 뿌리고 나서의 후유증인지 달리기로 인한 것인지, 종아리 아랫부분이 살짝 아프다. 특히 몇 년 전 종아리 근육이 파열됐던 왼쪽 종아리 아래가 조금 더 아프다. 못 뛸 정도는 아니지만, 조금 신경이 쓰인다. 


살짝 차가운 기운이 도는 이른 아침에 뛰니 기분은 상쾌하다. 기록을 보니, 오호라! 발이 무겁다고 느꼈는데도 불구하고 가장 빠른 속도였다. 5분 19초. 거리도 이젠 2. 5키로미터에 가까워졌다. 이제 목표를 조금 더 높게 잡아보아야 할까. 이번 달 안에 3키로미터에 5분 10초 정도까지 한 번 달성해보고 싶다. 그렇다고 절대 무리는 하지 않고서. 자~ 달려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2-03-15 13: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잘 달리시네요. 저도 작년에 반년 정도 달렸는데 거리가 잘 늘어나지 않더군요. 워낙 달리기에 잼뱅이라. 봄이 왔으니 저도 슬슬 준비해야겠네요.

하루살이 2022-03-15 14:04   좋아요 0 | URL
@잉크냄새 님. 달리기 하기 좋은 계절같아요. 여름이 되면 너무 더워서 힘들테니 말이죠.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그냥 할 수 있는만큼만 달리고 있습니다. ^^
 

22. 3. 12. 맑음



산수유 꽃망울이 터졌다. 노란색 꽃봉오리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모습이 귀엽다. 지난해에 비해 거의 한 달 가까이 늦게 꽃망울이 터진 셈이다. 정말 바로 눈앞에서 기후변화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게 된 듯하다. 올해 산수유 개화 시기를 적는 것은 내가 살고 있는 곳의 기후가 어떻게 요동치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지난해 겨울이 시작될 때 따듯했던 기후 탓에 꿀벌들이 겨울 휴식에 들어가지 않고 활동하다가 얼어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탓에 남부지방의 꿀벌 40% 정도가 사라졌다고 한다. 양봉업자들은 꿀벌 값이 너무 많이 올라 양봉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르겠다고 한숨이다.


그런데 반대로 겨울이 끝나갈 무렵 영하 10도를 밑도는 강추위로 꽃들의 개화시기가 다소 늦어진 모양새다. 정말 갈피를 못잡을 정도다. 과연 지구는 언제까지 이런 기후변화를 견뎌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