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7월 19일 소나기 23도~32도


연일 불볕더위에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줄줄 흐른다. 이런 더위에도 풀들은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정말 대단하다. 



블루베리 나무들은 어느새 풀 속에 파묻혔다. 30~40키로는 더 딸 수 있을 것 같던 열매들도 풀 속으로 사라졌다. 



올해 블루베리밭의 풀을 세 차례 베면서 드러나는 참사? 미처 따지 못했던 블루베리 열매들이 땅에 다 쏟아져 있다. 대부분 새나 벌레들이 건드려놓아서 비바람에 힘없이 떨어진 것들로 보인다. 하지만 꼭 참사인 것만은 아니다. 이 열매들이 썩어서 양분이 되어줄 테니 말이다. 



문제는 풀 속에 파묻혀 있으면서 벌레들이 신이 났다는 것이다. 블루베리잎까지도 먹어치운 흔적들이 이곳저곳에서 보인다. 이렇게 잎을 뺏겨버린 블루베리가 잘 자라날 수 있을지 걱정된다.



하지만 모든게 문제 투성이인 것은 아니다. 새 가지를 내놓고 쑥쑥 자란 블루베리도 몇 그루 마주칠 수 있다. 풀을 버텨내고 잘 자라준 블루베리는 정말 기특하다. 이 나무들의 새가지를 잘라 삽목을 하면 풀 속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블루베리가 되는건 아닐까 상상해본다. 


풀을 베면서 드러나는 블루베리 상태 속에서 절대적으로 좋은 것도, 반대로 절대적으로 나쁜 것도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베어진 풀들은 다시 흙으로 돌아가 블루베리의 양분이 되어 줄 것이다. 자연은 순환이라는 범주 안에서 계속 변화할 뿐이며, 그 변화의 과정이 인간의 마음에 드느냐는 결코 염두에 두지 않는다는 것을 깨우친다. 다만 인간의 마음에 들도록 힘을 가하는 작업이 바로 농부의 일일 뿐임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7월 15일 소나기 21도~33도


올해 블루베리청을 한 병 만들면서 지난해 만들었던 블루베리청이 생각났다. 병을 보니 7월 2일이 적혀 있으니 벌써 1년이 지났다. 뚜껑을 열어보니 약간 시큼한 냄새가 난다. 무더운 여름을 두번 가까이 넘기다보니 알코올로 넘어가기 일보 직전인 모양새다. 



1.8리터 병에 담근 것을 모아보니 600에서 700미리 정도가 나온다. 탄산수로 희석해서 맛을 보니 다행히도 먹을만 했다. 혹시나 알코올로 넘어가 먹기 불편하진 않을까 걱정했는데 말이다. 아무래도 무더위에도 온도가 30도를 넘어가지 않을만한 발효를 위한 장소가 있으면 좋겠다. 땅굴을 깊에 파서 저장고로 쓰면 좋을텐데 마땅한 곳도 여력도 지금은 없다. 



청을 붓고 남은 블루베리 열매가 아까워서 잼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하지만 이미 속에 있던 수분을 다 빼앗겨버린 상태여서 블루베리를 짓이겨도 물이 나오질 않아 잼은 힘들어보인다. 블루베리를 믹서기로 다 갈아서 만들면 가능할 듯 싶지만, 글쎄.... 그냥 청 담그기로 사용한 것으로 만족하는게 나을 성 싶다. 


아무튼 땀을 잔뜩 흘리고 나서 블루베리청을 탄산수에 섞어 마시면 올 여름 갈증은 조금 풀리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7월 13~14일 맑음 23도~34도


까치와 까마귀들이 잔치를 벌였던 복분자 나무. 자세히 보니 가지에 달린 열매보다는 땅에 떨어진 열매를 더 많이 먹은 것 같다. 과숙되어 떨어진 열매에서는 새콤한 냄새가 진동한다. 이 냄새가 새들을 부른듯하다. 



새들이 잔치를 벌이고 난 복분자 나무에서 잘 익은 복분자 열매를 20개 정도 땄다. 생으로 먹기엔 다소 많고 청을 담그기에 너무 부족하지만, 복분자주를 담그기에는 괜찮은 양이다. 지난해에도 복분자주를 담궈서 올해 친구가 찾아왔을 때 맛있게 먹은 추억이 있다. 그때는 복분자를 40여 개 정도 담갔었는데, 아주 진한 맛이 우러났다. 올해는 그 절반 정도의 복분자만 넣어서 술을 담그게 됐다. 


먼저 복분자에 설탕을 살짝 묻혀 하루를 묵힌 후, 즙이 빠져 나온 상태에서 소주를 부었다. 



색이 예쁘게 우러난다. 복분자 열매가 가라앉은채로 있는 것과 위로 뜬 것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잘 모르겠다. 지난해에는 색이 굉장이 진했는데, 아무래도 복분자 열매가 적어서인지 오미자가 우러난 듯한 선명한 색을 띤다. 


술이 익어 친구가 찾아오고 함께 마실 생각을 하니 참 좋다. 올해처럼 내년에도 서로 건강하게 복분자주를 기울일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7월 13일 맑음 24도~34도


장마라고, 뜨겁다고, 갖은 핑계를 대며 블루베리밭에 들어가지 않은지 수일. 이제 끝물이라며 마무리 수확을 조금 해볼까 블루베리밭을 찾았다. 수확을 하느라 풀을 베지 않고 있어서 풀을 헤치며 걸어가야 할 판이다. 족히 1주일은 딸 것이라 생각하며 블루베리 열매를 잡는 순간, '낭패다'라는 단어가 머리를 관통했다. 



아마도 괜찮았을 열매는 새가 부리로 따 쪼아 먹었고, 멀쩡하게 보이는 것도 막상 손으로 잡으니 물컹하다. 너무 과숙되었거나, 장맛비에 녹아내린 탓으로 보인다. 아마 벌레 피해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아무튼 눈으로 보이는 열매의 절반 이상은 거두어들이지 못할 지경이다. 게으름이 부른 참사라고 할까. 하루도 거르지 않고 풀을 베면서 조금씩 수확했더라면 하는 후회가 든다. 새들이 포식하는 거야 어쩔 수 없지만, 이 맛을 알고 내년에도 좋은 맛집이 있다며 친구들을 불러서(^^;) 자꾸 찾아올까봐 겁이 난다.


별로 건질것이 없지만 그래도 부지런히 따모으니 냄비 한 솥으로 잼을 만들 양은 되어보인다. 



이번에는 장기보관용으로 잼을 만들었다. 먼저 블루베리를 믹서기에 갈았다. 



냄비에 가득 채운 후 중불로 저어줬다. 



설탕은 조금만. 블루베리와 설탕이 7:3 정도가 되도록 부어주었다. 블루베리가 당도가 있어서 설탕이 많이 들어갈 필요가 없다. 자작자작 해질때까지 저어주었다.



그리고 보관이 오래가도록 레몬즙을 몇 방울 떨어뜨리고 저어주기를 30분. 어느 정도 잼 모양을 갖추자 불을 껐다. 



잼용 병기를 구입해서 열탕으로 소독을 했다. 



정성스레 담그니 250미리 병으로 6병은 족히 나왔다. 선물용으로 괜찮아 보인다. 선물을 받는 기쁨도 크지만, 이렇게 더운 날 불 앞에서 땀 흘리며 잼을 만드는 것은 선물을 주는 기쁨도 만만치 않게 크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맛있게들 드시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7월 12일 맑음 찌는듯한 더위 21도~33도


블루베리 수확도 이번주면 끝이 날듯하다. 이번주 수확하는 것은 장기 보관용이다. 일부는 냉동실에 넣어두고, 일부는 가공작업에 들어갔다. 



일을 간편하게 하고 싶어서 수확한 블루베리를 씻어서 끓일 냄비에 바로 넣었다. 



블루베리에 설탕을 묻히고 물이 나오기를 기다렸다. 



네다섯 시간이 흐르고 물이 조금 나오기 시작하자 블루베리를 으깼다. 자작자작 블루베리즙이 꽤 나와 불을 지폈다. 30여 분 정도 끓이면서 블루베리를 더 으깨주었다. 


시중에 파는 잼만큼 쫀득쫀득하게 하려면 두어시간은 졸여야 할 듯싶다. 하지만 이 더위에 불 앞에서 블루베리를 젓고 있자니, 땀이 줄줄 흐른다. 적당한 선에서 마치자는 생각으로 30여 분만에 불을 껐다. 쫀득하진 않지만 적당히 먹을 정도의 잼은 된 것 같다. 


프랑스 후식 요리로 콩포트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과일과 설탕, 물을 넣고 5분 정도 끓이고 레몬 등을 첨가하는 요리다. 과일을 으깨지 않고 살아있는 채로 끓인다. 만들기는 잼보다 간편하지만 보관은 오래가지 않는다. 이틀 안에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하지만 잼은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1~2년 보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첨가제를 넣지 않는한 빨리 먹는 것이 좋다. 이번에 만든 잼은 일종의 잼과 콩포트 사이라 할 수 있겠다. 과일이 조금 살아있으면서 조금 더 보관이 가능한 정도. 



잼을 식힌 후에 소독한 유리용기에 담았다. 양이 넉넉해서 몇 달 정도는 거뜬히 먹을 수 있을듯하다. 설탕이 많이 들어가지 않고 잘 익은 블루베리를 듬뿍 넣어 만들어서 그런지 향이 진하다. 빵에 발라 먹을 생각을 하니 군침이 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