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5번 도로 위에서 - 2004년 제36회 여성동아 장편소설공모 당선작
이경숙 지음 / 동아일보사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케이블 방송에서 나온 이민 상품이 불같이 팔려나가는 나라. 한때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었고 지금은 캐나디안 드림을 꿈꾼다고 할 수 있을까? 아무튼 내가 디디고 있는 이 땅을 벗어나 살고자 하는 사람들은 아직도 많다. 그리고 단지 이 땅을 벗어나는 것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실상은?
여기 미국에 이민간지 30년이 된 한 여성작가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소설이 있다. <475번 도로위에서> 인생은 그다지 화려하지도 즐겁지도 않다. 그렇다고 뒤돌아본 모든 것이 후회스러운 것도 아니다. 그저 그곳에선 이곳과 다르지만 또한 너무나도 닮아있는 그저 그런 삶이 있을뿐이다. 세탁소 운영으로 돈 좀 벌었건, 교수로 있건, 의사로 있건 이민 간 사회의 상류로 들어간다는 것은 어려울뿐더러 한국인은 한국인끼리 모여살게 마련이다. 미국 속의 또 다른 한국이랄까? 하지만 분명 다른 것은 그곳의 삶은 한국이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이 아니지만 한국적 정서 속에서 몸부림치는 사람들. 그래서 살기가 더 팍팍한 그들.
책을 읽어가면서 점차 동정이 가는 인물이 있다. 주인공 서경보다는 오히려 그의 남편에게 시선이 쏠린다. 고지식한 사람. 믿었던 자식에게 실망하고 기대했던 제자의 죽음을 맞이하는 그는 항상 자신이 옳다고만 생각했는데 한순간 용서를 빈다. 용서를 빌고 용서하는 마음. 마음 속 깊숙히 성자를 숨겨놓자.
어울려 사는 것이 갈대뿐이냐는 마종기 시인의 시처럼 어깨를 부대끼고 산다는 것은 그 어깨를 빌려주고 빌리는 믿음과 정이 있어야지만 따스한 온기를 전할 수 있다. 그것은 한없는 애정을 바탕으로 한 신뢰가 있어야 한다. 이리 저리 흔들리는 외로운 갈대는 서로 모여있을때 서로가 버팀목이 되어 바람에 꿋꿋이 버텨낸다.
행복은 유토피아에서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미국이 유토피아인 것도 아니다. 행복은 사람에게서 얻어질 것이다. 내가 행복했던 순간을 떠올리면 그 속엔 사람의 미소가 있다. 체온이 느껴지는 말, 그리고 마음을 녹여주는 미소. 행복의 나라로 떠나지 말자. 행복한 사람이 되자. 행복한 사람이 모여 사는 곳, 그곳이 유토피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