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 더 아름다운 삶을 위한 예술의 뇌과학
수전 매그새먼.아이비 로스 지음, 허형은 옮김 / 윌북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제목이 굉장히 흥미로운 도서이다. 과연 뇌와 예술이 어떤 관련이 있길래 뇌가 힘들 때 갈만한 곳으로 미술관을 추천하는 것일까? 꽤나 과학적인 근거가 제시되어야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기에 더욱 궁금했던 책이 바로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이다.
이 책은 무려 존스홉킨스대학의 뇌과학자와 구글 디자인 아티스트의 콜라보로 밝혀진 뇌 과학 메커니즘, 뇌 과학의 비밀을 담고 있는데 우리가 왜 아름다운 것들에 끌리는지에 대한 뇌과학에 근거한 설명이 제시된다는 점에서 제목은 책에 담긴 내용을 종합적이면서도 함축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셈인 것이다.

지금은 예술 감상에 있어서도 대중성이 극대화되어서 진입 장벽도 낮고 접근성은 높아졌는데 이 책은 이런 예술의 어느 한 분야가 아니라 미술, 음악은 넓은 범위에서 예술이라 분류할만한 것들을 할때, 또는 감상에 한정되더라도 그 런 활동에서 우리의 뇌가 어떤 변화를 겪고 이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데 결론적으로 보면 확실히 이 과정을 통해 회복과 치유, 나아가 건강한 삶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주 가까운 예로써 미술 치료라는 말만 보아도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예술이 갖는 힘은 단순히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은 물론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인데 특히 음악을 잘 활용하면 수업 내용에 대한 기억력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기억에서 중요시 되는 장기기억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기억에의 영향을 기업의 마케팅에서도 예술분야가 충분히 활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단순히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부분이 되는 것이다.
분명 도움이 될거란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뇌과학에 근거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안다고 생각했던 내용에 확신을 갖게 해주는 책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