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에 미친 16인의 조선 선비들 - 조선 최고의 공부 달인들이 알려주는 학문의 비법
이수광 지음 / 해냄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시대와 나라를 막론하고 어디에나 공부잘하던 사람들은 있기 마련이다. 그중에서도 이 책은 우리나라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그 당시에 한 공부 했다는 분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과연 얼마나 유명했길래 책에 소개될 정도였을까?
현재도 공부 좀 한다는 사람들의 수기는 서점가에서 날개 단것처럼 팔려 나간다. 흔히 그 책 볼 시간에 한자라도 더 공부하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공부의 달인들을 밴치마킹해서 자신에게 도움이 될만한 방법들을 적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더욱이 현대의 우리들에게도 알려질 정도의 인물이라면 그분들의 공부비법을 알아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런 의미로 총 16명의 선비들이 나온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16명의 비(非)선비인들의 공부이야기가 나온다.
공부에 미친 16인의 조선 선비들에는 성리학의 대가로 불리던 선비들 점필재 김종직,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남명 조식이 나오며, 시대의 억압에도 굴하지 않았던 여성 선비들인 빙허각 이씨, 난설헌 허초희, 금원 김씨, 정일당 강씨가 나온다. 그리고 실학이라는 학문으로 조선 개혁에 앞장섰던 선비들인 다산 정약용,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 유득공이 나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신분에 굴하지 않고 일부 계층에게만 허락되었던 학문에 정진했던 시인 이언진, 역관 성재 고시언, 천민 선비 박돌몽, 청장관 이덕무와 같은 선비들이 나온다.
특히 스스로 자신을 '책 읽는 바로'라 불렀던 간서치(看書痴) 이덕무의 이야기는 책읽기를 게을리하고 멀리하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총 32명의 학문정진에 관한 일화와 그들의 작품들을 담아내고 있는 이 책에서는 무엇보다도 우리가 궁금해하는 공부 비법 또한 알려주고 있다. 다음에서 그 비법들을 소개해 보겠다.
훌륭한 스승을 만나야 한다
학문은 진실을 위한 것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빠르다
공부는 태도가 중요하다
어릴 때부터 공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남보다 백배 더 공부하라
읽고 또 읽어라
어머니의 교육철학이 중요하다
스스로 경계하라
독서는 실천을 위한 것이다
공부도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이상과 같이 책속에 나와 있는 비법들을 보면 남들보다 더 많이 공부하고 독서를 많이 하며, 그 학문에 정의와 진실이 담겨 있도록 공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단 학생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학생의 신분을 벗아난 이들은 흔히들 공부할 시간이 없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정일당 강씨의 경우 부엌에다 책상을 놔두고 집안일을 하면서도 공부를 했다고 하니 시간이 없다는 말은 비겁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공부는 특권층의 전유물이였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누구라도 공부할 수 있다. 물론 가진것이 많아 그 기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과거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시대에 비하면 우리는 수많은 기회를 가진 사람이다. 그리고 공부에는 다 때가 있다고들 말한다.
그러므로 이 책속에 소개된 많은 이들의 공부에 대한 열정을 통해서 지금 나의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아 보는 계기가 될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