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더월드 - 심해에서 만난 찬란한 세상
수전 케이시 지음, 홍주연 옮김 / 까치 / 2025년 7월
평점 :
까치글방으로부터 #도서협찬 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달의 모든 분화구에 이름이 붙고 화성의 3차원 대화형 지도를 아이폰으로 볼 수 있게 된 지금도, 해저의 80퍼센트는 상세한 지도조차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수심 200미터 아래의 바다라고 정의되는 심해는 지표면의 65퍼센트, 생물이 사는 공간의 95퍼센트를 차지한다. 심해는 단지 우리가 사는 지구의 한 부분이 아니라 지구 그 자체이다.”
무더운 여름, 더위를 잊고자 시원하고 멋진 모험의 세계를 책으로 떠나보고자 하는 분들이 선택할 것만 같은 이 책에서 바다! 저자가 이르는 바다의 깊은 곳인 심해의 중요성을 환기하게 하고자 저자는 위와 같이 말한다. 심해가 지구 자체라고? 그다지 이런 표현만으로는 깊이 다가오지 않는 말이다.
하지만 마리아노 해구였던가? 특정 해구를 지칭하며 저자가 한 말에서는 느낌이 다르다. ‘마리아노 해구를 경험한 사람보다 달을 탐사한 사람이 더 많다’는 말이다. 바다는 우리가 언제든 돌아볼 수 있는 우리 근처에 있지만 이곳을 탐사하는 것도 달처럼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과연 피서지란 목적 외에 바다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르네상스에서 근세의 사이 어느 녁에 망누스라는 사람이 [카르나 마리나]라는 지도를 완성했다. 9개의 목판으로 가로 1.7미터, 세로 1.2미터로 인쇄된 초대형 지도에는 당시의 대륙에 대한 상식과 해양에 대한 상식으로 이곳에서는 조심하고 경계하라는 뜻으로 바다 이곳저곳에 바다 괴물이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1823년 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조차 “적절한 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특정 수심 아래 바다는 측량이 불가능하다”고 기록했다고 한다. 이러다 19세기 중반 해저에 전신 케이블을 깔기 위해 해저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생겼고 해양에 대한 탐사와 지구 과학은 그제서야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이즈음부터 시작된 바다에 대한 연구와 해양 탐사를 위한 기술 개발들은 20세기가 되어 심해 탐사를 위한 잠수정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세계대전 당시 잠수함이 동원되어 함선과 선박들이 침몰한 바다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본서에서는 전쟁 관련 잠수함의 일화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순수한 탐사 목적의 잠수정들과 해양 탐험가들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바다를 육지보다 더 끔찍이 사랑하는 탐험가들의 일화, 초심해 해저 1만1000미터에서 잠수정의 엔진이 고장 나는 이야기, 심해에서 발견되는 [카르나 마리나]에서나 등장할 법한 심해 생명체들 이야기, 심해에서 마주친 검은 주머니 같은 것을 찌르자 화염처럼 회오리치며 퍼져나가는 심해 세균들에 대한 일화, 공공의 보물인 이 바다를 사고팔아 심해에서 채굴하는 이들에 대한 고발 같은 이야기, 난파선에서의 발굴과 인양에 대한 모험, 초심해 1만1000미터에서 떠다니는 ‘친’히 ‘환경’을 파괴하겠다는 슬로건과도 다를 바 없는 친환경 비닐봉지 이야기가 모험과 신비에, 기업과 일부 인간들의 만행과 환경문제까지를 아우르고 있기도 하다.
이 저작에서는 심해의 각층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들과 모험이 바다를 비롯한 지구는 결코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새삼 일깨우며, 단연 인간만이 주연이고 지구도 바다도 다른 생물들도 조연에 불과하다는 자만이 얼마나 실소가 이는 단언인지 돌아보게도 한다.
본서를 통해 시원한 바다와 그 속에 암연 같은 바닷속을 채운 숱한 생명체와 남다른 모험들을 통해 잠시 일상의 갑갑함을 잊을 수도 있고 그 모험들을 통해 인류의 방향성과 환경 문제를 아울러 돌아볼 수도 있다. 이 심해의 모험담으로 인해 ‘지구에서의 모험이 결코 우주 탐사만 못 할 것이 없구나’ 하는 감상도 일게 된다. 이 책과 함께 바다를 더욱 사랑하게 되는 이들도 분명 적지 않을 것이라 단언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만약 별들이 1000년에 한 번씩만 나타난다면, 인간이 어떻게 그 존재를 믿고 숭배하겠으며 눈앞에 나타난 신의 도시에 대한 기억을 대대로 보존하겠는가!” “(하늘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으면서도 닿을 수 없기 때문에 틀림없는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본서에서 랠프 월도 에머슨의 별과 하늘을 경외하는 듯한 위의 발언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덧붙여도 될 것 같은 말이 있다면 “저 깊은 대양의 아래인 심해도 우리에게는 또 다른 우주가 아니겠나?” 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우주, 우리 가까이 있는 이 우주가 궁금하신 이들이라면 이 책과 꼭 한 번은 만나보셔도 되지 않을까 싶다.
#언더월드 #수전케이시 #심해 #바다 #바다생물 #바다이야기 #과학책 #과학책추천 #모험 #탐사 #발굴 #환경 #서포터즈3기 #까치글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