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1장부터 6장까지는 히타이트가 어떻게 시작되고 멸망했는지의 과정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정리해 두었다. 그런데 워낙 기록으로 남은 내용이 적은 쪽의 역사라 이렇게만 쓰고 나면 책이 너무 얇아져 버린다. 그래서인지 7장부터 13장까지는 본편의 역사보다는 다양한 히타이트의 문화적 측면들에 관한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정리해 두었다. 법과 군사, 종교, 도시 건축과 일상생활 같은. 물론 이런 내용들 역시 남아있는 기록 자체가 적기 때문에 아주 자세한 학술적 연구물이라기보다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추정해 나가는 스케치 정도에 가깝다.
개인적으로는 그 중에서도 9장이 눈에 들어온다. 그래도 사람들이 히타이트라는 이름을 좀 아는 이유는 (거의 최초로) 철기를 사용한 제국이라는 이미지 때문이다. 그런데 직접 히타이트 유적 발굴 현장에서 일하기도 했던 저자는, 남아있는 유물의 양과 질로 볼 때, 고대 히타이트가 특별히 철기 문명을 앞서서 세웠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 당시의 철기는 일종의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히타이트는 사실 청동기 제국이었다는 것. 흥미로운 설명이다.
또 하나 관심이 있었던 부분은 성경에 나오는 헷 사람들과의 연관성 부분인데, 이쪽은 성경 기록 이외의 다른 문서 자료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학문적 입장에서 저자는 히타이트와 “헷 사람”의 연결 가능성을 좀 낮게 보는 느낌이다. 물론 그게 관련이 없다는 뜻은 당연히 아니고, 연결지을 수 있는 다른 자료가 아직 부족하다는 의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된다.
구약성경에서는 이들 헷사람을 가나안 종족 중 하나로 묘사하는데, 밧세바의 남편인 우리야가 바로 이 헷 사람이었다. 연대상 다윗 왕국이 BC 11세기 말에 해당하고, 아나톨리아의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한 것이 BC 1200년 경이었으니, 멸망 후 여러 갈래로 흩어진 히타이트의 일족이 가나안 쪽으로 남하해 살았을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