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 어떤 세상에서도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김제동과 전문가 7인이 전하는 다정한 안부와 제안
김제동 외 지음 / 나무의마음 / 2021년 3월
평점 :
잘 알려진 방송인 김제동이 물리학과 건축학, 천문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대일로 한 인터뷰를 책으로 엮었다. 책에는 각 주제별로 수십 페이지의 분량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몇몇 인터뷰 말미에 실려 있는 내용으로 봐서 족히 너덧 시간 이상의 대화가 진행되었던 듯하다. 인터뷰이들과의 안면, 혹은 친분이 있었다고는 해도 인터뷰어로서의 김제동의 능력이 십분 발휘되는 기획이었던 것 같다.
각 인터뷰이들은 자신들의 전문 영역의 이야기를 쉽게 풀어내면서, 자연스럽게 인문학적 고민들과 엮어간다. 여기에 김제동이 던지는 좋은 질문이 한 몫을 한다. 전반적으로 겸손하게 자신의 전문 영역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그 안에 담겨 있는 인문학적 함의들을 제안하는 방식이라 읽기에 편하다.
예컨대 물리학이나 천문학 등의 과학 전공자들은 한결같이 과학이 갖는 ‘잠재적 진리 주장’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서 연구를 해 나간다고 반복적으로 대답한다. 인간이 연구하는 모든 분야가 이런 잠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걸 인정할 때 비로소 제대로 된 대화가 시작될 수 있는 게 아닐까 싶다.
다양한 전문 영역에서 활동하는 대화의 상대들이 여럿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좀 더 관심이 가거나, 더 집중하게 되는 부분이 사람마다 다를 것 같다. 또 자칫 대화의 수준이나 전개의 편차가 생길 수도 있었는데, 이 부분을 진행자로서 김제동이 잘 이끌어 낸 것 같다.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들이 이어진다는 말.
그래도 어느 정도 호불호는 나뉠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마지막 대화가 가장 집중이 되지 않는 내용이었는데, 이야기 전체가 고 신영복 교수에 대한 회고와 찬양으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건 알지만, 내 경우에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어서다.
오래 전 그분의 북 콘서트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는데, 개인적인 감상은 하나의 종교의식을 보고 나온 듯하다는 느낌이었다. 마치 경정을 대하듯 그분의 책 구절을 낭독하고 감동을 나누고, 그분의 생애를 묵상하거나 그분에 관한 일화를 간증하고, 심지어 그분을 위한 노래를 찬송하듯 불러대는 게, 너무 익숙하면서도(매주 참여하는 예배 순서였으니까) 어색했다(다른 자리와 다른 대상을 향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그런데 이 챕터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계속 이어지고 있었으니...
반면 과학자들과의 이야기는 오히려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지극히 문과적으로 살아온 내게 과학은 쉽게 손 댈 수 없는 천재들의 영역 뭐 이런 느낌이 얕게나마 덮여있는 부분인데, 그런 과학의 영역을 인문학적으로 풀어내니 흥미도가 높아진다. 또, 기본소득과 관련된 설명 중, 그것이 사회주의가 아니라 지극히 자본주의적 아이디어라는 지적도 인상적이었고.
딱 교양으로 읽을 만한 인문학 책으로 적합한 수준과 주제를 담고 있는 책이다. 이미 방송 등에서 얼굴을 잘 알린 인터뷰이들이 많이 나와서 조금은 쉽게 마음 먹고 들어갈 수도 있을 것 같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