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들은 대부분 올바르게도

역사에 대한 진보주의적 견해와 관련된 꿈,

우리가 계속 열심히 노력하기만 하면

결국 단번에 새 예루살렘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는 그 헛된 꿈을 버렸다.

요한계시록에 따르면,

거룩한 성은 하나님께로부터 내려와야 한다.


- 미로슬라브 볼프, 라이언 매커널리린츠, 『행동하는 기독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 어떤 세상에서도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김제동과 전문가 7인이 전하는 다정한 안부와 제안
김제동 외 지음 / 나무의마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알려진 방송인 김제동이 물리학과 건축학천문학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대일로 한 인터뷰를 책으로 엮었다책에는 각 주제별로 수십 페이지의 분량으로 정리되어 있지만몇몇 인터뷰 말미에 실려 있는 내용으로 봐서 족히 너덧 시간 이상의 대화가 진행되었던 듯하다인터뷰이들과의 안면혹은 친분이 있었다고는 해도 인터뷰어로서의 김제동의 능력이 십분 발휘되는 기획이었던 것 같다.


각 인터뷰이들은 자신들의 전문 영역의 이야기를 쉽게 풀어내면서자연스럽게 인문학적 고민들과 엮어간다여기에 김제동이 던지는 좋은 질문이 한 몫을 한다전반적으로 겸손하게 자신의 전문 영역의 한계를 인정하면서그 안에 담겨 있는 인문학적 함의들을 제안하는 방식이라 읽기에 편하다.


예컨대 물리학이나 천문학 등의 과학 전공자들은 한결같이 과학이 갖는 잠재적 진리 주장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서 연구를 해 나간다고 반복적으로 대답한다인간이 연구하는 모든 분야가 이런 잠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걸 인정할 때 비로소 제대로 된 대화가 시작될 수 있는 게 아닐까 싶다.



다양한 전문 영역에서 활동하는 대화의 상대들이 여럿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좀 더 관심이 가거나더 집중하게 되는 부분이 사람마다 다를 것 같다또 자칫 대화의 수준이나 전개의 편차가 생길 수도 있었는데이 부분을 진행자로서 김제동이 잘 이끌어 낸 것 같다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들이 이어진다는 말.


그래도 어느 정도 호불호는 나뉠 것 같은데개인적으로는 마지막 대화가 가장 집중이 되지 않는 내용이었는데이야기 전체가 고 신영복 교수에 대한 회고와 찬양으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이다물론 그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건 알지만내 경우에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어서다.


오래 전 그분의 북 콘서트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는데개인적인 감상은 하나의 종교의식을 보고 나온 듯하다는 느낌이었다마치 경정을 대하듯 그분의 책 구절을 낭독하고 감동을 나누고그분의 생애를 묵상하거나 그분에 관한 일화를 간증하고심지어 그분을 위한 노래를 찬송하듯 불러대는 게너무 익숙하면서도(매주 참여하는 예배 순서였으니까어색했다(다른 자리와 다른 대상을 향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그런데 이 챕터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계속 이어지고 있었으니...



반면 과학자들과의 이야기는 오히려 신선하고 재미있었다지극히 문과적으로 살아온 내게 과학은 쉽게 손 댈 수 없는 천재들의 영역 뭐 이런 느낌이 얕게나마 덮여있는 부분인데그런 과학의 영역을 인문학적으로 풀어내니 흥미도가 높아진다기본소득과 관련된 설명 중그것이 사회주의가 아니라 지극히 자본주의적 아이디어라는 지적도 인상적이었고.


딱 교양으로 읽을 만한 인문학 책으로 적합한 수준과 주제를 담고 있는 책이다이미 방송 등에서 얼굴을 잘 알린 인터뷰이들이 많이 나와서 조금은 쉽게 마음 먹고 들어갈 수도 있을 것 같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가 특이한 세상에서는 ‘특이’조차 뛰어넘는 무리수가 필요한데,

말이 되면서도 기발한 상상을 내놓는 일은 어렵다.

이럴 땐 차라리 말도 안 되는 것을 내놓고

그것이 말이 되도록 논리를 만들어 독자를 설득하는 것도 방법이다.


- 김동식, 『초단편 소설 쓰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리랜서의 자부심 소설Q
김세희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하얀은 프린랜서 기자다기자라고 하면 사건 사고를 따라 다니며 보도하는 사회부나 정치부 기자만 생각할 수도 있지만하얀은 말 그대로 잡지를 비롯한 다양한 지면을 채울 수 있는 글을 쓰며 생활하고 있다언론고사리고 부르는 시험에 통과해 큰 신문사에서 일했지만공황장애가 생기면서 퇴직을 하고 시작한 일이다.


그런 하얀이 결혼을 앞두고 한 지방 교대의 학보 출간 50주년 기념 전시회 기획 의뢰를 받는 이야기로 소설은 시작한다소설은 하얀이 맡은 전시회 준비 이야기를 중심으로그녀의 과거와 현재 이야기가 함께 풀려 나간다.



프리랜서라는 일은 시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동시에 안정적이지 못한 일감 상황과 상대적으로 적은 수입으로 인한 경제적 불안감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여기에 하얀의 어머니가 느끼고 있는, ‘자랑할 수 있는 간판을 잃어버리게 된다는 무형의 손실도 있고.


하얀 역시 자신의 현재 처지에 대해 온전히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병 때문이라고는 하지만어머니와 비슷하게 대형 신문사에서 퇴직한 것을 경력의 후퇴로 여기는 마음도 있고넉넉하지 못한 경제적 상황 속에서 결혼을 준비하면서 느끼는 현실적인 고민도 문제였다하지만 그녀가 맡은 전시회 준비 중 알게 된 최영희라는 인물을 추적하면서 점차 중심을 잡아 나갈 수 있었다.


최영희는 어두웠던 80년대 군부 독재 시절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교대생이었지만그녀가 죽을 때 남긴 유서 말고는 별다른 민주화운동 행적이 발견되지 않아 열사라는 칭호를 받지는 못했다그녀는 다만 어두운 시국에도 별다른 행동을 하지 못한 자신에 대한 자책과 부끄러움을 깊이 느끼고 있었을 뿐이었고다른 표현으로 하면 그녀가 앞으로 가르치게 될 아이들 앞에서 스스로 떳떳하지 못하다는 걸 진심으로 의식하고 있었다는 의미였다.


하얀은 최영희에게서 그런 진실성을 발견하고그녀의 행적을 전시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주고픈 마음이 생겼다하지만 그보다 더 큰 영향은 자신이 하는 일을 진심으로 대하고 있던 최영희의 모습을 보면서 프리랜서로서의 자신의 일에 조금은 자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책 말미에 하얀이 자신이 기획한 전시회에 조용히 다녀오는 장면이 있다비록 그녀가 전시를 기획하고 글을 썼지만전시회 어디에서 그녀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는다어쩌면 서운할 수도 있는 부분이었지만하얀은 이를 담담하게 받아들인다비록 자신의 이름은 없어도그 일 자체가 자신에게 자부심을 갖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어쩌면 이게 프리랜서가 살아가는 법이 아닐까도 싶다자신의 이름을 스스로가 원하는 위치에 넣을 수는 없지만자신이 한 작업 그 자체에서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 책의 제목이 프리랜서의 자부심인 것도 이를 말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잔잔하게 읽어갈 수 있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