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교 화가들은 당대 로마 예술의 주된 특징인

공간에 대한 사실주의적 표현을 포기한다.

원근감과 명암도 사라진다.

관객이 주체적인 참여 없이 그저 구경할 뿐인 그런 풍경(장면)을 그리는 대신,

이 예술은 형상의 일반적 의미 안에서

서로가 긴밀하게 연결될 인물들을 표현해 준다.

이 때, 이 인물들은 특별히 그것을 바라보는 신자들과 연결된다.

인물의 얼굴은 언제나 관객 쪽을 향해 있다.

그들은 관객에게 말을 걸어오고

관객에게 그들의 내적인 상태, 즉 기도의 상태를 제공해 준다.

고려되는 것은 표현된 어떤 행위가 아니라 관객과의 교제이다.


레오니드 우스펜스키, 『정교회의 이콘 신학』 중에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4-11-21 0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콘은 주로 러시아 정교회 교회에서 주로 그렸던 기독교 성화를 가르키는 것이 아닌지요.

노란가방 2024-11-21 01:04   좋아요 0 | URL
네 정교회의 독특한 예술 양식이지요. 참고로 러시아 정교회는 여러 정교회들 중 하나이지 어떤 대표성을 갖지는 않습니다 ^^

카스피 2024-11-21 12:55   좋아요 0 | URL
제가 알기로 이콘은 거의 대부분 러시아 정교회에서 많이 그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워낙 흔하다보니 소련해체후 혼란기에 액자 정도의 작은 이콘들은 해외로 많이 반출되었다고 하더군요.아마 지금은 반출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노란가방 2024-11-21 13:10   좋아요 0 | URL
실제 이콘은 동로마제국 시절부터 제작되었던 것이니 근본은 그 직계인 그리스 정교회 쪽이라고 봐야게지요. 그 이외에도 다양한 동방의 정교회들에서도 제작되었고요. 러시아 쪽에서 많이 제작되었다는 내용을 따로 책에서 확인하지는 못했습니다만, 인구도 많고 옛 동로마제국의 영토가 이슬람화 되면서 이콘 같은 걸 제작할 여력이 점점 떨어지면서 그렇게 되었을 수도 있겠다 싶네요.
 



혼자서 모든 일을 다 할 수는 없죠.
좋은 팀을 꾸리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로’라 하면 통상 장시간 노동을 말한다.

이는 시간의 길이 차원에서 말하는 과로다.

그런데 길이 차원의 장시간 노동뿐만 아니라

시간의 배치 차원의 야간노동도 과로에 해당한다.

또한 실적 압박이나 직장 내 괴롭힘도 과로 요인에 들어간다.

이렇게 업무 시간대를 비롯해, 

업무 특성, 성과 평가, 동료관계, 조직문화, 

역할과 책임 같은 질적 요인을 포함한다.


- 김영선, 『존버씨의 죽음』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