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심은

삶을 비관하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긍정하기 위해서 해야 한다.


김화수, 『나는 고양이쌤입니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 남겨두고 가는 그 어떤 것보다

더 좋은 것들이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루이스는 삶의 마지막에 접어들면서 이런 신념을 갖게 된다.


- 데빈 브라운, 『C. S. 루이스의 생애』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판사의 언어, 판결의 속살 - 판사란 무엇이며, 판결이란 무엇인가
손호영 지음 / 동아시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직 판사가 다양한 판결문들을 보면서 그 안에 담겨 있는 의도와 의미들, 놓치기 쉬운 뉘앙스 같은 것들을 읽어내는 책이다. 판결문을 일종의 콘텐츠로 볼 수 있다는 저자의 시각이 신선하다. 보통 사람들에게 판결문은 대체로 무미건조하고, 한없이 길게 늘여 쓰는 나쁜 문장의 전형 정도로 느껴지곤 하는데, 그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눈에는 확실히 좀 다르게 보이기도 하나보다.


총 3부로 나뉜 책은 각각 진실, 설득, 이해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저자는 판결문을 쓰면서 판사가 집중했던 부분에 따라 판결문을 이렇게 분류한다. 판사도 사람인지라 한 사람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는 판결을 내리면서 어찌 별 생각이 없을 수 있을까. 우선은 진실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고, 그렇게 내린 판결이 당사자들에게 충분히 와 닿을 수 있도록 설득도 하고, 그 한계에 대해서도 충분히 인식하며 보충하기 위해 애를 쓸 것이다. 여기에 저자가 뽑아놓은 판결문들에는 그런 판사들의 고민이 엿보인다.






보통 때라면 이런 책을 보면서, 판사들의 인간적인 면을 살짝 엿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고 간단하게 평을 하고 말 것 같은데, 시국이 시국인지라 그렇게 우호적으로만 보이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나 최고재판소라고 하는 대법원의 대법관들이 이전에 선고해 왔던 얼토당토않은 판결들이 드러나면서 사실 한가하게 그들을 볼 수가 없게 되어 버렸다.


국회에도 자주 나와 입장을 표명하는 법원행정처장은 CCTV에 뻔히 보이는 접대 받고 있던 법무부 차관에게 무죄를 선고했고, 또 다른 대법관은 버스 기사가 800원을 횡령했다는 이유의 해고를 정당하다고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그리고 바로 얼마 전에는 대법원이 판결을 내릴 때는 사건 기록을 다 살펴볼 필요까지는 없다고 스스로 입장까지 발표했으니 뭐.


물론 판사집단이라는 것도 머리가 아홉 개 달린 거대한 키메라의 형태로 되어 있는 건 아니니까, 판사 각자의 생각이 있고 여기 인용되어 있는 것 같은 판결문을 쓴 독특한 판사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떤 조직에는 그 조직만의 문화라는 게 있는 것도 사실인지라, 일련의 막장 판결들이 드러나는데도 그저 입 꾹 닫고 모른 척 하는 모습들만 보여주는 걸 보면 그냥 넘어갈 일만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무엇보다 그들이 가진 권력은 엄청나게 큰데, 그들에게는 선거라는 민주적 정당성을 획득하지도 못한 존재다. 민주주주의 국가에서 선출되지 않은 직위에 너무 많은 권한이 주어지는 건 분명 잘못된 일이다. 언젠가 대법관을 역임하고 지금까지 남아 있는 청탁금지법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존재 의의는, 선거에서 다수를 점할 수 없어 대표를 내세울 수 없는 소수자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우리 사법부가 이런 통찰에 귀를 기울인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실 책 내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저자가 그리고 있는 이상적인 재판정의 모습과 우리가 뉴스로 마주하는 실제 재판정의 모습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얕은 이념으로 시작한 기후주의가

프리든의 의미로 두터운 이념,

전체론적 이념이 되려는 야망을 품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한 가지 이유는 기후주의가 과학이 제시하는

세계에 대한 일련의 인식론적 주장에 뿌리를 두며,

따라서 전 세계의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두터운 이념은 반대를 묵살하고 완전한 충성을 요구한다.

기후주의 이념은 기후 변화를 저지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가장 고귀한 정치적 도전이며,

그 외 모든 것은 이 한 가지 목표에 복종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마이크 흄, 『기후 변화가 전부는 아니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