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20026, 우리나라가 월드컵으로 한창 뜨겁게 달아올랐을 당시, 서해에서 북한의 도발로 시작된 해상충돌이 있었다. 이 교전으로 우리 군인 여섯 명이 전사하고 십 수 명이 부상을 당했고, 북한군 역시 그와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

 

     이 영화는 그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우리 해군 고속정 참수리 357호에 의무병으로 전출을 오게된 박동혁 상병(이현우), 조타장이었던 한상국 하사(진구), 그리고 배의 함장이었던 윤영하 대위(김무열) 등을 중심으로 그날 있었던 비극을 재구성해낸다.

 

 

 

 

2. 감상평 。。。。。。。  

 

     영화가 무지하게 길다. 공식 상영시간만 130분인데, 체감 상으로는 그보다 더 한 듯한 느낌이었다. 엔딩을 세 번 본 듯한 기분이 들 정도로, 끝날 듯 분위기를 잡다가 다시 사족을 붙이고, 그 사족이 끝날까 싶으면 다시 사족의 사족을 덧붙인다. 영화 초반부가 좀 길지 않았느냐는 일부 관객들의 평도 있다지만, 난 오히려 이 엔딩부가 더 문제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보기엔 감독이 작품을 어디서 끊고 줄일지 영 감을 못 잡았기 때문에 이렇게 되지 않았나 하는데.. 찾아보니 이 감독,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알 수가 없는 분이다.

 

     감독은 인물들 사이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것들을 거의 아무 것도 이끌어내지 못한다. 물론 영화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기에 아주 터무니없는 설정까지야 힘들었겠다 싶긴 하지만, 그래도 지나치게 전형적이고 안전한 공식만을 따라가고 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그래도 영화 속 전투 장면은 꽤나 공을 들였다는 느낌을 준다. 뛰어난 영상미를 보여주는 건 아니었지만, 숨 가쁘게 진행되는 전투의 전개 양상을 가능한 리얼하게 그려내려고 애썼던 것 같고, 덕분에 적어도 이 부분만큼은 꽤나 몰입감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이 부분에서도 절약과 절제의 미덕이 아쉬웠긴 했지만) 더구나 영화 속 주인공들은 실제로 살았던 누군가였고, 또 그들과 연결된 또 다른 사람들이 여전히 우리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점은 조금 더 감정적으로 이입되게 만드는 부분.

 

 

 

 

     영화는 확실히 정치적이다. 영화 내내 선제공격을 하지 말라는 명령이 위에서 (새롭게) 내려왔다는 식의 장면들이 반복되고 있고(실제로는 같은 규정이 김영삼 정부 때부터 이어져오고 있었다), 전체 흐름상 굳이 필요도 없었던, 월드컵 결승전에 김대중 대통령이 (서해에서 장병들이 죽었는데도) 참석했다는 뉴스를 억지로 우겨 넣기도 한다.(그냥 축구보러 놀러간 게 아니라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하기 위한 것이었고, 이 회담을 통해 대북 공동전선을 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북한에서는 최초로 사과까지 발표한다.)

 

     여기에 우리 장병들의 억울하고 장렬한 죽음을 강조하는 데 집중하다보니, 사건의 원인이라든지 저간의 배경 같은 부분은 생각할 여지를 거의 갖지 못했다. 그냥 보고, 어서 감정적으로 반응하라는 외침이랄까. 영화가 이렇게 감정적으로 흐르면, 더 이상 설명이 어려워져버린다.

 

 

 

 

     그래도 예상했던 것보다 재미는 있었다. 배우들은 열심히 했고, 국방부와 해군 등의 적극적인 지원 덕분인지 현실감도 있었고. 30분 정도 제대로 편집을 했다면 별 반개 정도는 더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 그리고 약간 뜬금 없지만, 이청아 참 예쁘게 나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15-07-03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긴 봐야겠는데 영화적으론 헛점이 다수 있나봐요. 이청아는 처음 봅니다. 예쁘네요.

노란가방 2015-07-03 23:42   좋아요 0 | URL
드라마에도 자주 출연했더랬죠.. ㅎㅎ
영화로만 보면 그리 특별할 게 없어 보이더군요.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입니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니라.

 

공자, <논어 옹야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날 하나님이 내게서 사라졌다 - 하나님의 침묵, 그 멈춤의 시간에 갇힌 당신에게
신소영 지음 / 국제제자훈련원(DMI.디엠출판유통)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성경 속 등장하는 세 명의 인물 노아, 요셉, 베드로 의 이야기를 통해, 불안과 초조, 패배감 속에서 다시 일어서는 신앙적 방법을 제시한다. 노아는 왕따였고, 요셉은 좀처럼 달라지지 않는 상황에 초조해하고 있었고, 베드로는 자신의 지난 배신에 대한 기억으로 괴로워하고 있었다. 좀처럼 하나님의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황 속에 있었던 주인공들은 어떻게 믿음을 지켰을까를 살펴보는 일은 흥미롭다.

 

     작가는 이 이야기를 동화 형식으로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이 좀 더 편안하게 이 이야기를 읽을 수 있도록 만든다. 일종의 어른들을 위한 동화인 셈.

 

 

2. 감상평 。。。。。。。

 

     믿기만 하면 만사형통이라는 식의 세속주의적 신학이 판을 치고 있는 교계에, 믿음의 사람들 역시 좌절과 불안, 슬픔과 두려움 속에서 살고 있었다는 내용은 의미가 있다. (물론 그 사람들은 결국 문제를 이겨내고 형통하게 되지 않았느냐는 식으로 나올지도 모르지만.) 시간이 갈수록, 믿음을 붙들고 살아간다는 것이 결코 그렇게 명쾌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사실 이건 뭐 세상 자체가 그렇다), 그럴수록 이런 종류의 실패자들의 이야기가 더 마음에 와 닿는다.

 

     그들은 초인이나 영웅이 아니었다. 기독교계 일각에선 그들을 사람과 하나님 사이의 넓은 공간을 메워줄 존재들로 만들어버리기도 했지만, 어디 그 거리가 그렇게 해서 메워질 수 있던가. 그들은 자신의 문제와 힘겹게 싸웠던 사람들이고, 그건 아마 지금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난 오히려 그들의 이런 불완전함 때문에 그들의 이야기가 더욱 의미가 있지 않나 싶다. 적어도 그 나라는 완전한 사람들만 들어가는 곳이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니까.

 

 

     전체적으로 흥미롭게 이야기를 썼다. 후기에서도 밝혔듯 이러 이야기에서 작가의 상상력은 어느 정도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다만 노아 이야기에서 굳이 천 년도 후에 세워진 성전이라는 소재를 등장시켜야 했었을까 하는 부분은 문학적 상상이라고 해도 좀 아쉽다. , 베드로가 갈릴리로 간 이유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그가 포기를 위해 예전의 삶으로 되돌아갔다는)을 무비판적으로 따르고 있는 부분은, 이야기 전체의 중심축이기도 해서 더더욱 문제가 느껴지고.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그들이 갈릴리로 간 이유는 분명 예수의 명령을 따른 것이었다.

 

     좀 더 신중하게 다듬어진 좋은 이야기들이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이것저것 복잡할 때, 힘 딱 빼고 읽어볼 만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월에 본 책과 영화.(아, 뮤지컬도 하나 추가)

 

점점 줄어든다.

 

이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좋음 2015-07-01 2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요즘 지.크.수. 노래를 종종 들어요. 겟세마네 기도. 그리고 유다가 했던 노래들. 천천히 읽고. 보세요. 여름이니 쉬엄쉬엄

노란가방 2015-07-02 07:35   좋아요 0 | URL
닉네임을 사정없이 바꾸시는..ㅋ

좋음 2015-07-02 0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아침입니다ㅋ
 

 

 

화학 농업을 확대하라는 압력은,

2차 세계대전 중 폭탄 제조용으로 쓰던 질소 생산물을

민간에서 필요한 무기질 비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그 결과 질소 고정용 작물인 콩과 가축 분뇨로 만든 거름이 무용지물이 되었다.

살충제 개발은 제1차 세계대전 때 쓰인 신경가스에서 비롯했고,

석유 정제와 유기 화학의 발전으로 촉진되었다.

 

- 필립 맥마이클, 거대한 역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