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사의 회전 -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92
헨리 제임스 지음, 이승은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2월
평점 :
1.
줄거리 。。。。。。。
스무 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가정교사라는 일을 시작하게 된 ‘나’는
어린소년 마일스와 그의 여동생 플로라를 만나기 위해 시골에 위치한 오래된 저택으로 향한다. 너무나도
예의바르고 천사처럼 순수해 보이는 아이들의 모습에 안도감을 느끼지만, 얼마
후 저택에서 수상한 모습의 유령들을 만나게 되면서 불안감은 시작된다.
유령들이 순수한 아이들을 타락시키기 위해 나타났다고 확신하고 있는 ‘나’는
아이들을 그들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시도하지만 좀처럼 뜻대로 풀리지 않는다. 하지만
아이들은 너무나도 천진난만하게 아무 일도 없다는 듯 반응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독자는 자연스럽게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할지 혼란스러워지기까지 한다.
2.
감상평 。。。。。。。
블로그 이웃의 리뷰를 통해 알게 된 책이다. ‘세계문학전집에
실려 있는 유령 이야기’라는
설명이 흥미를 돋우었다. 도서관에서
찾아봤더니 열린책들 세계문학전집 중 한 권으로 꽂혀 있었다.
이야기 전체가 참 모호하다. 작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을 택해 끊임없이 자신의 심리묘사에 집중하고 있는데, 다시
이 이야기가 기록되어 다른 사람에게 읽혀진다는 설정까지 더하는 일종의 액자식 구성으로 객관성을 부여하려는 듯한 인상을 준다. 원래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는 게 주관성에 치우칠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여기서부터 작가의 의도적인 모호함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줄거리에서도 간단하게 언급했듯, 시간이
지나면서 과연 가정교사인 ‘나’가
보았던 ‘유령’은
정말 존재했던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가 만들어낸 허상인지, 아이들의
말은 진실인건지 아니면 정말로 ‘나’가
생각했던 것처럼 위장된 것인지 하는 모든 것들이 혼동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이
모든 것을 의도한 것이라면 대단한 필력이다.
이야기의 모호함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 해석에 있어서도 서로 전혀 다른 주장들이 나와 있다고 한다. 책
후반에 친절하게도 번역자가 그 해석들에 관해 간략하게 설명을 붙여 놓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심령연구학회’와도
관계가 있었던 이력이나 작품과 관련된 이후의 발언들을 종합해 볼 때 가정교사가 본 유령은 실재하는 무엇이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책 소개는 ‘공포’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었지만, 내가
읽기엔 그다지 공포스럽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다. 대신
심리묘사 쪽이 좀 더 인상적이었는데, 책
제목처럼 마치 나사가 점점 회전하며 깊이 박혀들 듯, 주인공의
내적확신이 점점 강해지는 모습이 압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