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신교신학 입문
칼 바르트 지음, 신준호 옮김 / 복있는사람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20세기의
유명한 신학자 중 하나인 칼 바르트가 생의 마지막으로 했던 강의를 책으로 엮었다. 일종의
‘신학서론’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으로, 신학의
기초는 어디에 세워져 있는가(하나님의
말씀과 그 말씀을 들은 증인들, 그리고
그 증언들을 전수해 온 공동체, 이
모든 것을 이끄시는 성령!), 실제로
신학 작업을 할 때 신학자가 겪게 되는 상황들(놀람과
당황, 신학자의
의무,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믿음에 관하여), 신학이라는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것들(고독과
의심, 시험들, 하지만
그럼에도 갖게 되는 희망)에
관한 언급을 지나, 말
그대로 신학에
임하려는 후학들에게 하는 조언들(기도와
연구가 함께 가야하며, 봉사하는
자세로, 사랑
위에서 하라)을
담고 있다.
2. 감상평
。。。。。。。
이 책을 가지고 두 번의 모임을 하면서 가장 자주 했던 말이 ‘구조가
참 멋지다’는
것이었다. 말씀-증인-공동체-성령, 고독-의심-시험-희망
등으로 이어지는 서술의 구조는 멋지다는 말을 넘어 아름답기까지 하다. 단순히
실용적인 목적(서술의
논리성)을
따라 가는 것을 넘어 각각의 주제 전체를 감싸줄 수 있는 마무리로 각 장을 마무리하는 능력은 확실히 완숙미를 보여준다.
물론 이 책은 그가 연구해 온 신학의 본격적인 연구를 설명하기 위해 쓴 것이 아니라 신학을 공부하려는 젊은 학생들에게 하는
강의이기에, 겨우
이 책 한 권을 읽고 바르트 신학이 어떻다는 식으로 설명하는 건 무리다. 하지만
이 두껍지 않은 책을 읽고도 바르트라는 신학자의 겸손함(실제
성격이 어땠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학이라는 작업을 대하는 그의 태도는 확실히 겸손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과
자신이 하고 있는 작업을 거의 예술적인 경지에까지 올려놓는 깊은 통찰을 살짝이나마 엿볼 수 있었다.
바르트의 작업은 익히 알려진 대로 자유주의, 혹은
현대주의에 의해 왜곡된 기독교의 정통적인 신학을 다시 세우기 위해 애썼던 인물이다. 이
책 안에도 현대주의자들이 거의 완전히 폐기하거나 원래 형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변형시켜버린 개념인 믿음, 성령, 소망
등을 되살려낸다. 이런
차원에서 정통적인 신앙을 따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꽤나 친숙해야 할 것 같은데, 또
그렇지만은 않다. 일단은
그의 글은 지독히도 어렵고(!), 특히
오랫동안 지적되어 온 것처럼 그의 성경관에 있어서 약간 다른 부분이 발견되기 때문인데, 이
부분은 이 책을 통해서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한편 바르트는 독일 교회 대부분이(그리고
이 중에는 그의 스승들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히틀러를
지지하는 상황에서 결국 일하고 있던 독일의 대학에서 쫓겨나 고국인 스위스에서 일할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인지 ‘교회’에
대한 그의 관점은 상당히 부정적인 뉘앙스를 지고 있는데, 이를
텐면 ‘교회라는
어둡고 짐이 되는 단어(44)’와
같은 표현들이 그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싶기도 하다.
책에 실린 내용이 좋긴 하지만, 꼭
이 책을 읽어보라고 추천하기에는 서술 방식이 지나치게 어렵지 않나 싶은 생각도 든다. 이
책에 실린 강의가 이루어졌을 당시에는 확실히 획기적인 내용이었겠지만, 벌써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은 이 책에 실린 내용을 훨씬 쉽고 보다 논지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책들도 많이 나왔으니까. 물론
고전급에 해당하는 책들의 가치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 거긴 하지만, 우리가
읽어야 할 책들은 너무나 많지 않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