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 링
소피아 코폴라 감독, 엠마 왓슨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1. 줄거리 。。。。。。。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미국 LA의 한 낙제자 전문 학교에 전학을 가게 된 마크는 그곳에서 만난 레베카 등과 함께 유명 연예인들의 빈집에 들어가 물건을 훔치기 시작한다. 니키, 샘 등이 끼어들면서 점점 판이 커져가는 도둑질.. 처음부터 누구 하나 생각 따위는 없는 한심한 양아치들이었던 일명 블링 링일당은 자신들이 훔쳐낸 것들을 자랑스럽게 떠벌리고 페이스북에 올리며 자랑하다가 결국 경찰에 체포돼 재판에 넘겨진다.

 

 

 

 

2. 감상평 。。。。。。。   

    ‘로마 위드 러브라는 영화가 있다. 로마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몇 개의 에피소드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한 영화인데, 그 중 한 에피소드가 어느 날 평범한 회사원이 갑자기 인기인이 된다는 설정을 담고 있었다. 출근하는 그의 집 앞에 엄청난 기자들이 몰려들어 갑자기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뉴스로 만들어 보도하기 시작하더니, 나중엔 그가 삼각팬티를 입는지 사각팬티를 입는지를 특종으로 만들 지경에까지 이른다. 굉장히 과장된 예이지만, 이게 아주 허구만도 아니라는 게 더 큰 문제다. 바로 오늘날 헐리우드에서(그리고 그 아류인 우니나라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한심한 일들이 그것.

 

     영화 속 블링 링의 일당들은 남의 빈집에 들어가 명품들과 현금을 훔쳐내 흥청망청 써버린 범죄자들이다. 그런데 진짜 놀라운 건 그 다음이다. 그들이 전국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범죄자가 됐든 뭐가 됐든 그저 화려하고 이채로운 것이면 뭐든 흥미꺼리로 삼고 경배를 바치는 현대의 우상숭배를 잘 보여준다.(아마 우리나라의 전사모나 일베 같은 것들도 이런 의식을 집단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삐뚤어진 예일 것이고)

 

 

 

 

     그렇다고 감독이 이런 행태를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것 같지도 않다. 오히려 경쾌한 배경음악까지 깔아주면서 이 도둑질이 뭔가 대단히 신나는 무엇이나 되는 양 그녀내기 급급하고 있다. 별다른 고민도, 의식도 보이지 않는 연출방식은, 영화 속 비키의 어머니가 딸들에게 하고 있는 한심한 홈스쿨링 - ‘시크릿에서 영감을 받은, ‘나는 괜찮고, 모든 일은 잘 될 것이다라는 식의 낙관주의적 세계관 교육 -을 감독이야말로 받고 자란 건 아닌지 의심스러울 정도.

 

     이름 있는 감독 아버지(‘대부시리즈를 제작한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가 아버지)를 두고 취미삼아 영화를 만드는 것 같은데, 계속 이런 수준이라면 언제까지 이 취미를 즐길 수 있을지 모르겠다.

 

 

     어느 부분 하나 인상적인 게 없었던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정이나 매력을 사랑으로 착각하지 마라.

세상에는 첫눈에 반하는 사랑 따위는 없다.

사랑은 건강한 관계에서 나오는 것이다.

- 수잔 피보디, 사랑중독』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소한 여가 시간이라도 자녀에게 할애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사회적 가치가 있는 일을 하고 문화 활동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보람 있는 일로 자아를 표현하며 창조적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

자녀에게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식으로 여자들을 설득하는

파괴적이고 위선적인 말을 중단해야 한다.

 

자녀를 가르치고 보살피는 일은 전적으로 여자의 몫이며,

아버지는 자녀 교육에 거의 관계가 없다는 기상천외한 이론도 파기하자.

 

특히, 자녀를 낳고 기르는 의무가 돈을 벌고 쓰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보람 있는 일이라는 사실을

무지한 미국인들에게 깨우쳐 주어야 한다.

 

- 조이 데이비드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줄거리 。。。。。。。  

 

    문화혁명이 한창이던 시기의 중국. 대학교수로 일하다 끌려갔던 루옌스(진도명)는 몰래 빠져 나와 집에 남아 있던 아내(공리)와 함께 도망치려고 했지만, 무용수로 성공하고 싶었던 딸 단단(장혜문)은 세 살 때 떠나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아빠보다는 다가올 공연의 주연을 맡는 것이 더욱 중요해보였다.

 

    결국 다시 잡혀가게 된 루옌스. 하지만 고작 몇 년 후 시대가 바뀌고 광기가 잦아들면서 그는 무죄로 고향에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아내는 마음의 병을 얻어 돌아온 남편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한 채, 5일에 돌아오겠다는 편지만을 붙들고 매월 5일이 되면 역으로 나간다. 아내의 기억을 돌리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지만, 좀처럼 돌아오지 않는 기억. 루옌스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아내 옆에 앉아 자신이 오래 전 보냈던 편지를 읽어주는 것 뿐.

 

 

 

 

 

2. 감상평 。。。。。。。  

 

    걸작이다. 젊은이들의 투덕거림만 지겹도록 그려내는 요즘의 가벼운 영화와는 차원이 다른, 이 나이 지긋한 중년의 사랑은 그 폭이 훨씬 넓고 깊이 또한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다. 물론 여기에 두 명 배우의 호연도 톡톡히 한몫했고, 장예모라는 거장 감독의 카메라 프레임도 탁월했으니 빠져들지 않을 수가 없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혼란의 시대로 인해 망가져버린 가족 이야기를 다룬다. ‘가족 보다 당이라는 비윤리적인 체제라는 강력한 도전에도 가족에 대한 사랑이라는 인간성은 결코 말살될 수 없었다. 아버지는 자신을 고발한 딸을 진작 용서했고, 남편은 자신을 기억하지 못하는 아내를 그저 곁에서 헌신적으로 돌봐주는 것만으로 만족할 뿐이었다. 이 애타는 사랑에 간만에 극장에서 눈물이 줄줄..

 

 

 

​소녀시대 서현과 이미지가 비슷했던 장혜문. 딸 '단단' 역을 맡았다.

 

    자연스럽게 우리는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떠오른다. 상대가 나에게 충분한 보답을 해주지 않는데도 지속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사랑, 어쩌면 이런 종류의 사랑이 우리 사회를 지탱시켜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런 것들을 돈으로, 사상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만들어보려는 일체의 시도들은 다행히도 지금까지 모두 실패해버렸다. 아니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뭐 그런 걸 주창하고 통제하려는 인간들일수록 자기들은 그 위에서 더 많이 소유하고 그러더라)

 

 

    올해 봤던 100편이 넘는 영화 중에 단연 가장 감동적이었던 작품. 이런 영화를 보고 나오면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올바른 결혼생활의 척도는 기쁨이다.

 

의무와 기쁨은 상충되는 것이 아니다.

 

부부는 자신들의 행동이 서로에게 기쁨을 주는지를 보면서

 

그것이 올바른 행동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 부부는 하나님의 율법을 불순종하는 데서 만족을 얻을 수 없다.

 

 

- C. S. 루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