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태치먼트
토니 케이 감독, 마샤 게이 하든 외 출연 / 미디어허브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아버지의 얼굴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어머니와 할머니가 그의 어린 시절
유일한 가족이었지만, 그가 일곱 살이던 무렵 결국
어머니가 약물로 목숨을 끊어버린 상처를 안고 있는 헨리(애드리언
브로디). 여러 학교를 전전하며 기간제
임시교사로 일하고 있는 그가 이번에 가게 된 학교는 그 지역에서 가장 문제학생이 많아 교육청에서도 거의 포기하다시피 한
곳이었고, 아니나 다를까 수업 첫날부터
학생들의 삐딱함이 장난 아니었다. 하지만 헨리의 진정성 있는 모습은
학생들의 반응을 조금씩 바꿔나갔고, 영화는 그렇게 아름다운 힐링영화로
끝이 나는 듯했다.
하지만 헨리가 안고 있었던
상처는 그리 쉽게 치료될 수 없었다. 버스에서 우연히 만난 소녀
에리카와 뚱뚱해서 늘 따돌림과 무시를 받던 메레디스는 그런 헨리의 심리에 미묘한 변화를 가져왔지만, 그는 좀처럼 그런 변화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2. 감상평 。。。。。。。。
영화가 단순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공식에 따르려면, 아이들은 두 달 남짓 되는
헨리와의 시간 동안 뭔가 변하기 시작해야 하고, 그가 떠날 즈음에는 모든 것이
회복되는 아름다운(?) 모습으로 거듭나 있어야
했다. 하지만 그게 어디 실제로 있을
법한 일일까. 물론 아이들은 헨리가 떠난다는
소식을 듣고 아쉬워할 정도로 ‘약간’ 달라지긴
했다. 하지만 그들 중 많은 아이들은
여전히 인생의 전환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었고, 불안한 심리상태와 왜곡된
자의식으로부터 벗어나지도 못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는 건 영화 말미의 한 학생의 자살이다.
다시 말해 이 영화는
헨리라는 이름의 엄청나게 좋은 교사가 불량한 학생들을 개과천선시키는 이야기가 아니다. 사실 그 학교의 다른 교사들도
자기 위치에서 엄청나게 애를 쓰며 일을 해 내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을 무시하고 모욕하는
학생들에 대항해 놀랄 만큼의 인내력을 발휘하며 그들을 좀 더 나은 상황으로 이끌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고작 두 달 있으면서 헨리가
그들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가정은 처음부터 비현실적이다.
오히려 영화에서 주목할
부분은 헨리 자신의 변화였다. 그는 교실을 통해 아이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역으로 아이들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한다. 어린 시절의 상처로 마음속에
분노와 좌절, 그리고 두려움을 담고 살아온 그는
좀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곁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또 그런 상처를 가지고
있었던 그였기에, 또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던
학생들을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이점이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한편 영화는 미국식 교육의
실패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실용주의에 기반 한 교육철학에
정복된 교실은 단지 기술만을 습득하는 학원으로 전락했고, 그 교육목표에 이르기 위해서
학생들은 일제고사 같은 시험을 통해 품질검사를 받고(실제로 영화 안에도 이런 시험이
등장한다), 공적 재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법의 대상이 되어야 했다. 그리고 이런 교육은 학생은 물론
교사까지 숨 막히게 만들어 모두를 망가뜨리고 있었다.
의미심장하게도 대한민국은
이런 미국식 실용주의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고, 그 부작용도 역시 함께 겪고
있다. 이전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았겠지만, 김대중 정부 말 교육부를
‘교육인적자원부’로 개칭하면서 교육에 대한
실용주의적 접근을 공식화해버린다.(이후 이 이름은 노무현 정부 내내
유지된다) 교육을 인적자원획득의 수단으로
생각하겠다는 결심을 보여주는 이 천박한 이름은 진보정권 내부의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교육철학을 여실히 보여준다. 물론 그렇다고 보수정권의 이명박
정부가 바꿔 놓은 ‘교육과학기술부’라는 이름 역시 그닥 나을 것은
없었고, 실제 그 정책에 있어선 이전 어떤
정부보다 더 강력한 실용주의적 교육정책으로 교육의 근간을 뒤흔들었다. 전국단위 일제고사 실시로 전국의
모든 학교와 학생을 줄 세우기 시작한 것도 이 때였다.
영화 전체가 굉장히
혼란스럽게 편집되어 있다. 사건의 전개 틈틈이 헨리 개인의
인터뷰처럼 보이는 장면들이 짧게 삽입되어 있고, 그 때마다 꽤나 복잡한 철학적
주제들, 사유들을 단편적으로
내뱉는다. 사실 이 부분은 지나치게 무게만
잡으면서 별로 의미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인다.(살짝 겉멋?) 하지만 이 부분은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잡는 데 큰 힘을 발휘하고 있기도... 강렬한
분위기, 나름 생각할 만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