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전설적인 타짜가 되었던 전편의 고니의 조카인 대길(최승현)은 어렸을 때부터 손재주로 도박
비스무리한 것에 능통했다. 사고로 고향을 떠난 그는 강남의
도박판을 전전하며 제법 돈을 벌지만, 조직의 보스를 치려는 녀석들의
계략에 말려 장동식(곽도원)에 의해 모든 것을
잃어버린다. 어린 시절 첫사랑이자 장동식에게
잡혀있던 미나(신세경)의 도움으로 간신히 도망을 치게 된
그는 삼촌 고니의 파트너였던 고광렬(유해진)을 따라다니며 기술을 연마하게
된다.
마침내 사람들을 모아 자신의
뒤통수를 쳤던 인물들을 찾아 복수를 시작한 대길. 착착 계획대로 진행되나 싶었지만
장동식은 그리 만만한 인물이 아니었고, 영화 말미 지겹게 등장하는 배신의
배신까지 겹쳐지면서 대길과 미나는 마지막 대결로 몰리게 된다. 모든 걸 걸고 벌이는 도박 한
판. 결과는 뭐
예상대로..

2.
감상평 。。。。。。。。
사실 신세경 때문에 봤다. 기대했던 것만큼 적지 않은
비중으로 출연하고 있었고, 캐릭터 자체가 가볍지는 않았지만
신세경만의 통통 튀는 느낌은 살아있었다. 주연을 받은 최승현은 이미 몇
편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한 바도 있어서 그런지 생각보다 괜찮은 연기를 보여주었는데(물론 유해진과의 콤비에서는 많이
부족해보였고, 짧은 등장이지만 임팩트를 보여주는
이경영 등과 비교하는 건 좀 가혹한 일일 테고), 이하늬 쪽은 여전히 주조연급
중에서는 가장 연기력이 부족해 보였다.
영화는 대체로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후반으로 갈수록 페이스를 잃어버린 채 급하게 에피소드들을 조합하려고 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다. 지겹게 등장하는 배신의 연속은
영화 포스터에 쓰여 있는 ‘그 누구도 믿지
마라’라는 문구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히 좀
지루했다. 뭐 처음부터 대길과 장동식의
대결이 피날레를 장식할 것이 분명해보였는데, 굳이 또 김윤식이 맡은
‘아귀’라는 캐릭터를 등장시킬 필요가
있었을까 싶기도 하고(전편과의 연결을 위한 코드였던
걸까), 지나치게 많은 등장인물을 다
언급하려니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늘어져버렸다.
물론 빠른 화면 전환과
다양한 인물들의 등장은 보는 맛을 더해주었지만, 이런 식의 화면전환이 이 영화만의
독특한 특성도 아니고 이미 다른 영화들에서도 자주 써 먹었던 부분이니까. 도박과 복수라는 소재도 화투장이
아닌 바둑판이 등장했다는 점만 빼면 얼마 전 개봉했던 ‘신의 한 수’ 쪽과도 별 차별성이 없어
보인다. 아무튼 덕분에 막판엔 좀
지치기까지 했다.

소재와 결말이 어느 정도
예상되는 영화라면 뭔가 흥미를 돋울만한 포인트가 필요했는데, 언론을 통해 자주 홍보되었던 노출
부분도 정작 극장에선 충격적이랄 것까지도 없었고.. 이 정도 속옷패션은 텔레비전
속옷 광고에서도 볼 수 있는 게 아니었던가.(더구나 이하늬의 경우는 실제 속옷
모델이기도 하고) 아, 신세경은 이 정도
선까지만..
큰 화제성을 가질만한 작품은 아니다. 러닝타임까지 길어서 가볍게 보고
나올만한 오락영화라고 하기에도 좀 뭐하다. 솔직히 이 정도 영화는 누가 돈을
내 줄테니 다시 보라고 해도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