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 중독 - 너무 지나치게 사랑하는 병
수잔 피보디 지음, 류가미 옮김 / 북북서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1. 요약 。。。。。。。
저자는 사랑도 중독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모든 중독이
그렇듯, 사랑중독에 빠진 사람들도 결국
자신을 파괴할 때까지도 그것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채 고통을 받는다. 책은 어떤 사람들이 사랑에
중독되는지, 중독된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하면 중독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2. 감상평 。。。。。。。
실제로 이 파괴적인 감정의 지배 아래 있는 사람들을 치유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저자답게 책에는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만한 다양한 자가진단표와 실제 사례들, 그리고 조언들이 가득 담겨
있다. 책 어디를 펴도 당장 자신을
점검해 볼 수 있는 질문과 문장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좀 비슷비슷한 내용들이
반복되는 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책은 크게
전반부(문제의 진단)와 후반부(문제의 해결)로 나뉘는데, 전반부에 해당하는
1-5장은 지속적으로
‘사랑중독은
문제다’라는 주제만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느낌이랄까. 물론 책 자체의 구성이 여러
항목들을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해 놓은 부분이 제법 된다는 것도 이런 느낌을 주는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역시 중요한 건 중독에 대한
치유 과정인데, 전체적으로는 심리학적 전제를
가지고 ‘상처받은 자아’나 ‘내면의 아이’, ‘긍정적인
자아상’ 같은 개념들이 사용되고
있다. 흥미로운 부분은 중독을 치유하는
열쇠 가운데 하나로 ‘영성’이라는 개념을 가져오고 있다는
부분인데, 아마도 책에도 등장하는
AA(alcoholics anonymous, 알콜중독자모임)의 영향인
듯하다. 사실상 기독교에 기반을 두고
시작한 치유프로그램인지라, 이 틀을 그대로 사용하려다보니
영성이라는 개념도 소개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하지만 여기에서 사용하는
‘영성’이라는 개념은 그 용어나 틀이
기독교의 그것과 비슷하기는 하나 사실상 범신론에 더 가까운 뉴에이지적 개념이라는 것도 기억해야 할 듯)
내키는 대로 하며 살라고
권하는 시대, 감정을 충족시키는 것이 제일의
가치가 되어버린 시대의 부작용 중 하나가 바로 사랑중독이 아닐까. 강남 나가면 애인 하나 없는
유부남, 유부녀가 없다는 농담이 꽤나
진지하게 들리는 상황이 되어버린 건 분명 웃고 넘어갈 일은 아닐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합리성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는 이 아이러니한 상황은, 처음부터 인간의 능력 중 하나인
이성을 지나치게 떠받들며 신성시해왔기 때문은 아닌가도 싶다. 흥미롭게도 이 책에 실린
치유과정의 시작도 자신의 무력함을 인정하는 것부터인데, 이미 자신을 너무나도 믿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 작업이 생각만큼 쉬울 것 같지 않다는 게 문제.
책을 덮으며 곰곰이 생각을
해 봤는데, 아직까지 난 사랑중독은 아닌
듯?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