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우리스: 나쁜 영웅들
존 힐코트 감독, 가이 피어스 외 출연 / 부메랑모션픽쳐스 / 2013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1. 줄거리 。。。。。。。
1920년 대 미국에는 일체의 술을 제조하거나 유통하는 것을 금주하는 금주법이 시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법은 유명무실해진 지
오래고, 수많은 사람들이 밀주 제조와 유통에 뛰어들어 법 제정으로 인한 프리미엄(금지된 걸 거래하면 가격이 올라가기 마련)까지 누리며 성업을
하고 있었다. 포레스트(톰 하디) 하워드(제이슨 클락)도 그런 밀주업자 중 하나였고, 포레스트에게는 잭이라는 이름의 동생이
있었다.
잭은
형들의 모습을 보며 닮고 싶어 안달하는 애송이다. 자기도 기회만 있으면 언제든 형들처럼 될 수 있다고 생각하던 잭이었지만, 어디 이 세계가
객기를 부려 나선다고 척척 해결되던가. 잭이 나설 때마다 위기요, 실수지만, 정작 자신은 꽤나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문제.
어느
날 시카고로부터 새로 내려온 검사와 그가 고용한 찰리가 밀주업자들로부터 상납금을 받겠다고 나서면서 포레스트 등과 긴장감이 발생한다. 굽히기를
거부하는 포레스트와 자기도 그 가운데서 한 몫을 하고 싶어 설쳐대는 잭 등이 일으키는 작은 마을의 큰
소동.

2. 감상평 。。。。。。。
냉정하게
말하면 어떻게 소년이 불량한 동네 형들과 어울리다가 총질까지 하게 되었는지를 그려내는 영화. 물론 금주법이라는 법 자체가 처음부터 현실을 무시한
입법이었지만, 하여튼 밀주 제조와 유통은 불법이고, 또, 비록 뇌물을 받고 뒤를 봐주려는 행동이야 문제지만 밀주 유통을 막으려는 단속단의 활동을
주먹 쥐고 총 들고 막아서는 것도 딱히 ‘영웅적’으로 보이진 않는다. 그리고 실제로 밀주제조와 유통은 알 카포네와 같은 전국적 갱단들의
수익사업이었고.
그나마
영화를 살리는 건 매력적인 배우들과 캐릭터다. 누구에게도 굽히려 하지 않고, 당한 건 그대로 갚아주는 포레스트도 그렇고, 하는 일마다 실수와
어설픔의 연발이지만 그래도 어떻게 보면 순수한 맛이 있는 잭, 매력적인 매기 역의 제시카 차스테인까지.. 사건의 구조가 오늘날의 그것처럼 세련된
맛은 없지만, 나름 올드한 스타일로 이야기는 그럭저럭 꾸며가고
있다.

로우리스(Lawless),
즉 무법자들의 이야기를 이렇게 영웅적으로 떠들어 댈 수 있는 것도 역사 짧은 나라 미국의 특성이 아닌가 싶다. 부패한 관리에 대항하는 작은
영웅의 구도를 만들고 싶었던 것 같은데, 글쎄 이게 그렇게 이해가 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