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가진 대단히 중요한 미덕은

 

자신이 멈춰야 할 때를 안다는 것이다.

 

과학은 다만 자신이 증거에 기초하여

 

대답할 수 있음을 아는 문제들에만 대답한다.

 

 

- 알리스터 맥그래스, 『우주의 의미를 찾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줄거리    

  

     배경은 70년대 말쯤 됐을까.. 충청도의 한 시골 고등학교에서 벌어지는 고등학생들의 난투극(?). 홍성농고 카사노바 중길(이종석)을 짝사랑 하는 여자 일진 영숙(박보영). 그리고 그런 영숙을 좋아하는 홍성공고 일진 광식(김영광). 이 엇갈린 삼각관계는 서울에서 전학 온 소희(이세영)에게 중길이 관심을 갖게 되면서 더욱 꼬이게 된다.

 

 

 

 

2. 감상평    

 

 

 

     약간 중구난방으로 흘러간다 싶은 느낌을 주는 영화. 영화 제목처럼 끓어오르는 힘을 어찌할 줄 모르고 여기 저기 쏟아놓는 청춘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들의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재미있게 그려내겠다는 의도는 충분히 보여주었다. 그동안 분위기 잡고, 고상한 이미지로 자주 나왔던 이종석은 싼티 나는 중길이라는 인물로 괜찮게 변신했지만, 영숙 역의 박보영 역시 비슷한 변신을 꾀했지만 대사에 욕이 잔뜩 실린 것을 빼면 그닥 크게 달라진 것 같지는 않다.(이미지의 한계랄까.. 워낙에 작고 귀염성 있는 얼굴이라)

 

     젊은 배우들은 전면에 내세워 눈을 끄는 데는 성공했지만, 역시 중요한 건 영화의 스토리. 천방지축 바람둥이 중길이 결국엔 자신을 진짜로 생각해 주는 사람을 선택하러 간다는 기본 얼개야 나쁘지 않았지만, 그 과정이 그다지 설득력 있게 그려지고 있지는 못하다. 대부분의 에피소드들이 연결 없이 단편적으로 돌아다니는 느낌이랄까.

 

 

 

 

     영화 속 등장하는 7, 80년대 소품, 배경들을 관찰하는 맛이 또 있다. 중길이 자주 가는 중국집 짜장면 그릇은 요새 것들보다 확실히 가볍고 싸 보이는 그 옛날 녹색 그릇이고, 통학열차의 모습, 그리고 이세영이 밤늦게 올라탄 버스 안에는 확실히 차장까지 배치해 두는 센스를 보여주기도 한다.

 

     깊이가 부족한 스토리지만, 그냥 가볍게 즐기는 데는 나쁘지 않은 수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ople ask the difference between a leader and a boss.

The leader leads, and the boss drives.

- Theodore Roosevelt


사람들은 리더와 보스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해 합니다.

리더는 이끄는 반면, 보스는 지배하려고 합니다.

- 데오도르 루스벨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경의 탄생 - 성경은 어떻게 인류 문명을 지배했는가?
존 드레인 지음, 서희연 옮김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1. 요약     

 

     성경이란 그냥 하늘에서 뚝 떨어진 책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성경은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을 경험하고 주변 문명들과의 교류를 해왔던 이들에 의해 수천 년의 기간 동안 천천히 쓰여 온 책이다. 당연히 성경이 쓰일 당시의 상황에 대해 알지 못하면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까지는 아니라도, 지나치게 현대적인 관점을 갖는 데서 나오는 잘못된 읽기가 초래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 책은 이 분야에 관한 좋은 책을 쓰기로 유명한 저자가 성경이 기록될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 정치적 상황, 국제 정세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책이다.

 

2. 감상평   

 

     책 제목이나 출판사 보다는 저자의 이름을 보고 먼저 골라든 책이다. 그만큼 이 분야에 있어서 존 드레인이라는 이름은 어느 정도의 수준을 보장해 주는 상표와 같다고 할까 뭐 그런 느낌. 그리고 역시 그 기대는 배신당하지 않았다.

 

     책은 기원전 수천 년 전부터 기원 후 몇 백 년까지, 성경이 기록되었던 배경이 되는 시대들을 역사적 순서에 따라, 그리고 성경의 주요 무대를 좇아가며 풀어내고 있다. 두 강 사이에서 시작한 고대 문명부터, 이집트, 아시리아와 바벨론, 로마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한 권의 책으로 볼 수 있다는 건 분명 좋은 기회다.

 

     이 책의 특징은 성경 역사를 따라가고 있지만, 일단 기본적으론 인문학적,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서술하면서 이와 관련이 있는 성경구절들을 언급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성경의 역사성을 드러내는 데는 오히려 이런 접근 방식이 더욱 유효할 터.

 

     성경의 배경이 되는 세계를 이해하는 것과 성경의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일테지만, 성경이 만들어진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영적 맥락을 살펴볼 때 그 본질적인 메시지를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에필로그의 문장이 이 책의 가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성경을 더 깊게 읽고 싶은 사람에게 좋은 기초서적이 될 듯.

 

     참, 책의 내용 중 몇 부분에 오류가 있다. (저자의 오류인지 번역, 편집 할 때 들어간 건지는 확실치 않다) 94페이지와 100페이지에 나온 ‘기원전 3세기’, ‘기원전 2세기’라는 부분은 문맥 상 ‘기원전 30세기’와 ‘기원전 20세기’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또 411페이지 두 번째 줄의 ‘누가복음’은 ‘사도행전’으로 바뀌는 게 맞고(각주에는 옳게 표기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치 분야를 보면 리더들이 부족한 데서 그치지 않고

시민들의 정신적 독립과 정의감마저도 크게 쇠퇴했다.

시민들의 정신적 독립을 바탕으로 한 민주적인 의회제도가

많은 곳에서 흔들리고 있으며,

독재정권이 탄생해 묵인을 받고 있다.

이는 독재를 용납하지 않을 만큼

인간의 존엄과 개인의 권리가 더 이상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의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