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is only one rule for being a good talker

- learn to listen.

- Christopher Morley



훌륭한 연사에게 요구되는 유일한 규칙은

경청하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 크리스토퍼 몰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딕

감독/데이빗 토히 | 출연/빈 디젤, 케이티 색호프, 칼 어번

 

 

1. 줄거리    

 

     부하의 배신으로 사람이 살지 않는 불모의 행성에 버려진 리딕.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반드시 돌아갈 것이라고 믿으며 하루하루 생존을 시작해 나간다. 때가 되었다 싶자 자신을 노리는 현상금 사냥꾼들을 행성으로 불러들였고, 셔틀을 빼앗기 위한 대결이 시작된다. 하지만 더 무서운 게 남아 있었으니, 비가 오는 행성은 습지에 사는 괴수들의 판이라는 것.. 이젠 살기 위해 리딕과 현상금 사냥꾼들은 힘을 합칠 수밖에 없었다.

 

 

 

 

2. 감상평    

 

     말 그대로 아무 것도 없는 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하루하루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고군분투 하는 근육질 원시인(?)의 생존기랄까. 찾아보니 전편들도 있다는, 제법 ‘뼈대 있는’ 영화였다.

 

     하지만 시종일관 주인공의 근육 이외에 특별한 것은 보이지 않았고, 우리 부모님 나이 뻘인 주인공의 액션 역시 화려하다기 보다는 육중하게(= 굼뜨게?) 느껴졌다. 이걸 커버하기 위해서 잔뜩 등장하는 게 저글링처럼 보이는 외계인들인데, CG 수준은 보통보다 아주 조금 나은 수준에 머물고 있으니 애초부터 감정연기나 탄탄한 스토리에 기반한 게 아닌 이 영화의 살 길이 막막하다.

 

 

 

 

     영화를 보면서 어딘가 익숙한 얼굴이다 싶은 배우가 있었는데, ‘디아즈’ 역의 바티스타였다. 한 때 미국 프로레슬링 방송에서 선수로 자주 봤었는데 이렇게 영화에도 출연하고 있었구나 싶었다. 어린 시절의 추억이 새록새록.

 

     분명 아주 엉망인 영화는 아닌데, 딱히 특별한 부분은 찾기 어렵다. 배경을 우주로 옮긴 ‘정글의 법칙’을 보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작은 집에 산다는 것

감독 : 크리스토퍼 스미스, 므렛 뮐러

 

 

 

1. 줄거리    

 

     집이란 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 자신만의 집을 짓고 싶다고 결심한 주인공은, 지나치게 작은 집을 짓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을 피하기 위해 자동차에 연결해 끌고 다닐 수 있는 트레일러 위에 집을 짓기로 한다. 처음에는 여름이 다 지나기 전 몇 개월 동안 완성하려던 계획은 크게 틀어졌고, 겨울을 지나고 새로운 봄을 맞이할 때까지 이어진다.

 

     영화는 주인공 커플의 집짓기 과정을 보여주면서, 물량주의의 사회에 사는 현대인들에게 ‘작은 집’이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감상평    

 

     땅 덩어리가 넓다보니(한 개 대륙을 빼앗았으니..) 미국의 땅값은 상대적으로 싼 편이다. 물론 대도시나 그 가까운 곳들은 좀 다르겠지만, 조금 벗어난 외곽 지역의 사정은 확실히 다르다. 덕분에 미국의 건축물들은 넓은 부지를 넉넉하게 이용해서 크게 짓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진다. 땅값 비싼 우리나라는 위로 치솟는 쇼핑몰도, 미국에서는 낮고 넓게 짓는 게 일반적(사실 이편이 싸게 먹히기도 한다. 지하로 깊게 들어가거나 고층건물을 올리는 것에 비하면 몇 분의 일 정도로).

 

     하지만 그렇게 ‘좀 더 크게’, ‘좀 더 넓게’만을 보고 달려온 생활은 수많은 문제들을 낳고 만다. 자연은 그렇게 빠른 변화를 수용할 수 없었고 결국 환경을 파괴하는, 오직 ‘인간들만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게 되었던 것. 어디 그뿐인가, 더 많이 갖는 것이 성공의 증거처럼 여겨지는 오늘날에는 사람들은 더 이상 쉴 수 없게 되어버렸다.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많은 도구들이 존재함에도, 사람들은 더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

 

     작은 집짓기 운동은 이렇게 ‘큰 규모’라는 신기루를 쫓아 무리를 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조금 덜 소유하고 조금 덜 힘을 주고 사는 방식을 제안한다. 그것은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기도 하고.

 

 

 

 

 

     물론 단지 작은 집을 짓고 살아가는 것 자체가 해결책은 아닐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전기 없이는 평범한 삶을 사는 것조차 어려워진 세상 속에 있고, 친환경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태양전지패널을 만드는 데도 환경파괴가 동반되기도 한다니까. 그리고 작은 집을 짓고 산다는 것 자체가 그리 ‘저렴’해 보이지 않는 것도 문제다.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단지 특정한 한 가지 ‘행동방식’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큰 ‘세계관’이 교정될 때 가능한 게 아닐까 싶다.

 

     한 시간이 안 되는 짧은 영화인데, 내용의 흐름 상 조금 더 자르고, 밀도 있게 만들었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효용함수의 치명적 유혹 소설로 읽는 경제학 2
마샬 제번스 지음, 형선호 옮김 / 북앤월드(EYE)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 줄거리    

 

     소설은 하버드 대학교의 신임 정교수를 채용하기 위한 평가위원회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다. 평가위원으로 선정된 여섯 명의 교수들은 후보자들의 모든 글과 추천서 등을 읽으며 회의의 날을 준비한다. 경제학과 정교수 후보로 추천된 데니스 고센의 임용건은 부결되었고, 얼마 후 그는 죽은 채로 발견된다. 그리고 곧 고센의 임용에 반대의견을 냈던 교수들이 살해당하는 일이 발생하고, 경찰은 고센의 약혼자인 섀넌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한다.

 

     하버드의 경제학 교수인 헨리 스피어맨은 이 사건의 한복판에 있었고, 그는 특유의 경제학적 감각으로 사건의 진범이 누구인지를 결국 유추해낸다. 그리고 이번 작품에서 그 추론의 핵심은 ‘효용함수’였다.

 

 

2. 감상평    

 

     1권과 마찬가지로 ‘소설로 읽는 경제학’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책인 만큼, 책 곳곳에 경제학에서 나올 법한 (일상생활이 아니라!) 일화들, 설명들이 잔뜩 등장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주 전문적이고 어려운 수식까지 등장하는 정도는 아니고, 딱 일반인들이 교양수준에서 알면 좋을 만한 내용들이다.

 

 

     전편에 이어서 이번 작품 역시 주인공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건 아니다. 그저 하버드 교수로서의 일상을 이어가면서, 좀처럼 자신의 위치나 생각은 바꾸지 않으려는 보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주인공은, 앞장서서 문제 해결에 나서지도 않는다. 사람이 죽어도, 딱히 경제학적으로 설명할 만한 꺼리가 없으면 그다지 관심을 두지도 않을 정도니까. 그의 관심을 끄는 유일한 일은 누군가 경제학 원리와 관련된 주제를 꺼냈을 때일 뿐이고.

 

     그러다보니 자연히 소설 속에서도 그의 역할은 그닥 중요하지 않고, 그저 우연히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게 된 것처럼 느껴진다. 소설로서의 재미만을 생각한다면 좀 더 적극적인 성격을 부여했더라면 어땠을까 싶지만..

 

 

     소설 자체가 지루한 건 아니다. 분명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하니까. 경제학과에서 참고 도서로 추천하는 것도 이해할 만하다.(아마도 신입생들을 위한 것일 듯) 다만 확실히 이 정도로 수동적이고 보수적인 인물을 흥미롭게 설명하는 건, 여느 작가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사람이 4열로 서서 악대의 연주에 맞춰 행진하는 데서

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 사람은 충분히 혐오스럽다.

그 사람에겐 큰 뇌가 실수로 주어진 것임에 틀림없다.

그에게 필요한 것은 꼿꼿이 세울 척추뿐이니까.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의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