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포켓
마이클 코렌트 감독, 마이클 매드슨 외 출연 / 캔들미디어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말쑥한 양복 차림으로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는 바비. 겉만 보면 여느 직장인과 다를 바 없는 그였지만, 실은 전문 소매치기였다. 며칠 전 경찰의 지갑을 훔치다가 경찰배지까지 훔쳐내는 바람에 단숨에 뉴욕경찰들의 목표가 되어버린 그였지만 잘도 도망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 얼마 전 만나 함께 잠자리를 가졌던 루시가 우연히 그의 앞에 나타났고, 그녀는 자신이 바비의 아이를 임신했다고 고백한다.

 

     당장 빚에 쪼들려 소매치기로 근근이 먹고 사는 바비로서는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상황. 그래도 천성이 아주 악하지는 않은 지라(자시는 결코 가난한 사람들의 것은 훔치지 않는다고 자부하는 장면이 한 번 등장하기도..) 어쩔 줄 몰라 하며 고민을 시작한다. 과연 그의 선택은?

 

 

 

 

2. 감상평    

 

     미국적 분위기를 배경으로 젊은 남녀 간의 사랑을 그려내는 영화다. 소매치기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는데도 꽤나 가볍다. 우리나라였다면 당장 일이 끝나고 돌아가서는 험악하게 생긴 놈들한테 위협을 당하거나 얻어맞는 신으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더구나 여주인공은 바비가 빈털터리 소매치기란 걸 알면서도 그와 함께 살려고 한다. 역시 잘 생기면 모든 게 용서 되는 건지도..

 

     언뜻 영화 속 주인공들은 그다지 심각한 위기를 겪지 않는다. 물론 소매치기인 바비가 경찰들에게 쫓기기도 하고, 루시는 하룻밤을 같이 보낸 남자의 아이를 가지기도 하지만, 영화 속에서 이런 일들은 그냥 작은 에피소드 정도로만 여겨질 뿐 주인공들의 인생을 뒤흔들 정도의 무엇은 분명 아닌 것처럼 그려진다. 그러면서도 영화가 90분 가까이 이어지니, 약간 싱거운 맛이 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사실.

 

 

 

 

     그래도 가벼운 느낌 덕분인지 영화는 시종일관 경쾌하게 진행된다. 심지어 바비가 소매치기 기술을 시전(?) 하는 장면들은 무슨 현대무용을 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다. 결국 바비는 자신이 원해서 소매치기를 시작한 것도 아니었고, 루시를 위해서 손을 씻기로 하기까지 하니, 범죄 미화라고 비난하기도 그렇고.(물론 그동안 한 짓을 어떻게 처벌받느냐는 남겠지만)

 

     그냥 좀 덜 진지하게, 가볍게 볼 수 있는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줄거리      

 

     청나라 말기 중국은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신식 서양문물이 함께 어울리며 새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었다. 대대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엽문(양조위)은 어려서부터 무술연마에 정진해 일가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시대는 혼란스러웠고, 일본은 시시각각 중국 대륙을 군사력으로 짓밟기 시작한다. 격동의 시기를 지나며 엽문과 그의 가족(특히 아내인 장영성 - 송혜교가 맡았다), 그리고 그의 주변을 맴돌며 교류를 했던 궁이(장쯔이) 등의 이야기가 서사적으로 펼쳐진다.

 

 

 

 

2. 감상평   

 

     단순한 무협영화를 생각하고 본다면 좀 당황할 수도 있을 것 같은 영화다. 이 영화의 주인공이기도 한 엽문이라는 캐릭터는 다른 영화들에서도 몇 번인가 다뤄졌던 인물이었고(특히 ‘엽문’ 시리즈), 그 중에서도 견자단이 주연을 맡았던 게 가장 유명하기도 하다. 그런데 이 영화 ‘일대종사’는 그런 앞선 영화들과는 사뭇 느낌이 다르다.

 

     견자단의 영화에서 주인공 엽문은 일제의 악랄한 수탈과 공작에 맞서 중국인들의 자존심을 지키는 민족적 영웅이라는 대중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인물이었다면, 양조위가 연기한 이 영화 속 엽문은 ‘민족’이라는 무거운 짐은 내려놓고 한 개인으로서의 모습이 좀 더 부각된다.

 

     영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왕가위 감독 특유의 예술적인 화면이다. 대결장면에서 자주 등장하는 흩날리는 빗방울과 눈송이들과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은 동작들도 두드러지지만, 그 외에도 고심하며 고른 장소와 배치한 소품들과 같은 배경 부분도 놓칠 수 없다. 영화 전체가 강렬하고, 때로는 단정한 색감의 그림들을 이어 붙인 것 같은 느낌이랄까.

 

 

     영화의 진행은 엽문만이 아니라 궁이라는 인물을 또 하나의 중심으로 삼고 진행된다. 문제는 두 인물의 관계가 뚜렷하게 그려지지 않아 주의가 분산되는 느낌을 준다는 것. 확실히 몇몇 인물들(엽문의 아내 장영성이나 궁이와 뭔가 관계가 있을 것 같았던 일선천 같은)의 이야기는 지나치게 많이 잘려나간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어느 블로그를 보니까 양조위는 자신의 비중도 너무 줄었다고 다시는 양가위 감독의 영화에 출연하지 않겠다고 까지 했다니, 너무 많은 걸 담으려고 했던 감독의 욕심이 낳은 결과라고나 할까.

 

 

     나름의 독특한 분위기가 있는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콜드리딩 - 개정증보판
이시이 히로유키 지음, 김윤희 옮김 / 엘도라도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기본적으로 책은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관한 책임을 표방한다. 저자는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 내용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놀라운 비밀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 실제 방식이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은 상대와 신뢰관계(라포)를 형성하고, 어디에도 걸릴 수 있는 넓은 주제(스톡스필)로 시작해 상대방의 문제를 탐색한 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의 문젯거리 - 돈, 인간관계, 건강, 꿈 - 중 어느 것인지를 확인해 가며 점차 상대방의 관심사를 특징지어 나간다는 것.

 

     상대방의 심리적 저항감이 적은 쪽으로 다가가기, 적절한 제스처로 말에 강조점을 두기, ‘그러나’라는 접속사를 통해 상대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거절하기, 이미 일이 된 것으로 전제하고 대화를 이끌어가기 등의 응용 대화 기법들도 함께 소개되어 재미를 더한다.

 

 

2. 감상평      

 

     상대방과의 대화를 늘 내가 원하는 대로 이끌어 가고, 그래서 내가 목적한 바에 도달할 수 있다면 얼마나 환상적인 일일까. 이 책은 그런 꿈같은 일이 실제로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한다. 당연히 구미가 당기는 소개였고, 단숨에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면 결론은 어떨까? 정말로 그런 기술이, 단 번에 상대의 마음을 빼앗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걸까?

 

     아쉽게도 그런 방법은 없다. 다만 확률을 높여줄 수 있는 기술에 관해 이 책은 말하고 있는 것이고, 그마저 첫 단계는 상대방과의 ‘라포 형성’이었다. 문제는 상담기술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이 라포를 형성하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 짧은 시간 만에 금방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건 서로가 대등한 입장, 혹은 호의적인 입장에 있을 때나 가능한 거고, 적대적인 입장에 있다면 몇 시간이 걸려도 쉽지만은 않은 게 이 라포 형성이다.(상담을 다룬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굿 윌 헌팅’이라는 영화를 한 번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책이 아주 쓸모가 없느냐, 그건 아니다. 저자는 착실하게 대화를 좋은 분위기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요령과 노하우를 적어가고 있고, 각각의 내용들은 충분히 실제 대화에 써먹을 수 있어 보인다. 물론 근본적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자세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는 건 기본.

 

     그리 길 지 않은 책이지만, 흥미와 유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잘 몰고 가고 있다. 그 토끼들을 잡아내는 건 현명한 독자의 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정과 비판 사이의 강력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직원을 많이 인정할수록 비판도 효과가 크다.

어떤 상사는 항상 내 약점과 단점만 지적하고 장점은 전혀 인정하지 않는 반면,

다른 상사는 내가 업무를 잘 처리할 때마다 항상 칭찬한다고 생각해 보자.

 

둘 중 누구의 비판이 더 효과적일까?

 

- 폴 마르시아노, 『존중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고난은 헛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결코 고통의 선물을 허비하지 않으십니다(빌 1:29).

고난의 선물은 하나님의 사역자들에게

그분이 가장 좋다고 아시는 대로 주어지며,

우리가 돌보는 양떼의 위로와 구원을 위한 것입니다.

 

- 존 파이퍼, 『형제들이여, 우리는 전문직업인이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