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말해주는 신화의 진실
박영목 지음 / 북스힐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동서양에서 전해져오는 신화들 중 일부를 소개한 후, 각각의 신화에 등장하는 신비로운 요소들을 현대의 과학적 발견과 연결해 설명해본 책이다. 1장에서는 동서양의 신화들의 배경에 간략히 살핀 후, 2장부터 6장까지는 각 주제(부활 모티브, 천체가 등장하는 것들, 죽음과 관련된 내용들 등)를 나누고 그 안에 여러 신화들에 관한 설명을 담고 있다.

 

 

 

 

2. 감상평    

 

     책의 기획 의도나 내용은 좋다. 아마도 청소년들과 일반 대중들을 목표로 해 쓰인 것으로 보이는 이 책은,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과학적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소재들을 뽑아내고, 그것을 도표와 그림들까지 사용하며 친절하게 소개해준다.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홍수에 관한 설화에서는 빙하기에 관한 설명을 이끌어내고, 인도의 전통경전 중 하나인 ‘바가바트기타’에 등장하는 크리슈나의 가공할 힘에서는 핵무기의 위력을 소개하는 식이다. 내용이 지나치게 어려운 데까지 내려가지는 않으니, 딱 교양 수준의 과학책을 읽고 싶은 사람들이 편하게 읽기에는 좋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책이 전제하고 있는 입장이 약간 마음에 걸린다고 할까.. 현대의 발전된 과학지식으로 과거의 미개한 수준의 지식들을 설명해준다는, 보기에 따라선 꽤나 교만해 보일 수 있는 (이 책의 저자의 어투나 태도가 그렇다는 건 아니다) 논리가 기본이 되니, 각각의 신화에 대한 좀 신화 자체로의 연구나 그에 담긴 좀 더 깊은 형이상학적 탐구 따위는 감상적인 것, 나아가 쓸 데 없는 것으로 전락해 버린다. 이 책의 제목부터가 진실은 ‘과학의 영역’인 게 당연하다는 투니까.

 

     이런 의미에서 철저하게 근대성에 입각해 쓰인 책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자연과학이 진리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 과학적 근본주의자가 인문학을 읽어내면 이렇게 재미가 없어지는 걸까 싶기도..

 

     물론 이건 그저 재미의 영역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과학은 인간과 세상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적인 성분이 무엇인지를 보여줄 수 있을지는 모르나, 그것이 측정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전혀 아무런 말도 해 줄 수가 없다. 예컨대 다같이 붉은 색 셔츠를 입고 월드컵 경기에 나서는 우리나라의 축구선수들의 경기를 함께 응원하는 이유는, 심지어 직접 보지도 못한 채 멀리서 작은 텔레비전으로 보면서도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하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최근에는 진화심리학이니 뭐니 하는 좀 엉뚱한 설명을 하는 사람들이 자기네들이 ‘과학적 설명’을 하는 척 꾸며대기도 하지만, 솔직히 그들이 하는 말은 다 그냥 추측일 뿐 아닌가. 붉은악마의 응원에서 수만 년 전 고대의 부족단위 생활을 유추해내는 건 오버라고 밖엔..)

 

 

     책의 전체적인 내용이 어느 정도 수준을 갖추고 있는 괜찮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고 난 뒷맛이 썩 개운하지 못하다. 물론 과학자가 쓴 과학교양서적이니 그런 것이겠지만, 책에 등장하는 신화들의 내용들은 그냥 데코레이션에 불과했던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무엇보다 신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내부적 논의들이나 성격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man who keeps busy helping the man below him

won't have time to envy the man above him.

- Henrietta Mears

 


자기보다 낮은 사람들을 돕기에 바쁜 사람은

자기의 위에 있는 사람을 부러워할 시간이 없을 것입니다.

- 헨리에타 미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입] Stand Up Guys (멋진 녀석들) (한글무자막)(Blu-ray) (2013)
Lions Gate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조폭 두목의 아들을 죽였다는 죄목으로 23년간의 수감생활을 마치고 나온 발렌타인(알 파치노). 석방되는 날 그를 마중 나온 것은 오랜 친구인 독(크리스토퍼 월켄)이었다. 요양원에 머물고 있던 허쉬(알란 아킨)까지 합류하니 오래 전 전성기 때의 친구들이 다시 모이게 됐다. 하지만 아들을 잃은 조폭 두목은 독을 시켜 친구인 발렌타인을 살해하도록 협박을 했고, 결국 독은 권총을 들고 나왔던 것.

 

     하지만 어디 친구라는 게 그리 쉽게 끊어질 수 있는 관계일까. 세 명의 친구들은 하룻밤 동안 동네 양아치들의 차를 훔쳐내고, 곤경에 빠진 여자를 대신해 나쁜 놈들을 혼내주는 등 다시 젊은 시절로 돌아간 듯 한바탕 놀아보지만, 정해진 시간은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2. 감상평 。。。。。。。   

 

     이젠 일선에서 은퇴할 나이가 한참 지난 것 같은 세 명의 노인들이 다시 만난다. 또 다른 (좀 더 젊은) 주인공들이 있는가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었다. 영화는 그렇게 세 명의 친구들이 다시 만나 (그다지 건전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옛날의 향수를 떠올리며 하룻밤 동안 벌이는 소동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들은 물론 분위기나 진행까지도 그렇게 올드(old)하게 흘러간다. 그들이 노는 방식, 좀 다른 유머 코드들도 그렇게 하나같이 오래된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모습들이다. 썩 건전해보이기만 한 것도 아니지만, 또 그렇다고 아주 분노가 느껴지게 만들 정도로 막장까지는 가지 않는, 미묘해 보이는 ‘악당들’의 이야기라고 할까.

 

     감독은 정해진 시간(그러니까 조폭 두목이 친구 발렌타인을 죽이라고 지시한)이 점점 가까워지면서 고조되어 가는 위기감과, 그에 따라 주요 인물들 사이의 복잡한 심경에 초점을 맞추면서 영화 속에 일정한 리듬을 부여한다. 영화가 종반으로 치닫고 있을 때는 어떻게 결말이 그려질까 궁금해지는 걸 보면 꽤나 괜찮은 구성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다. 자신과 손녀를 위해 친구를 죽여야 되는 상황. 하지만 그렇게까지 살아야 할 만큼 젊지 않았던 그들은, 마지막으로 한 번 더 같이 모험을 하기로 한다. 그들의 모험이 성공을 했는지, 그렇지 못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렇게 마지막까지 함께 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게 중요한 거였으니까.

 

     흥행을 위한 코드들은 별로 보이지 않지만, 여운이 길게 남는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죄와 싸우는 신자가 힘든 것은

외부에서 밀려오는 죄의 유혹의 강함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죄와 결별하지 못하는

신자 자신의 죄에 대한 사랑 때문입니다.

- 김남준, 『죄와 은혜의 지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중하라 - 존중받는 직원이 일을 즐긴다
폴 마르시아노 지음, 이세현 옮김 / 처음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1. 요약

 

     저자는 회사에서 직원들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성과보상제도가 큰 효과가 없다고 지적한다. 대신 직원들이 일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훨씬 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존중모델’이라는 관리방식을 주창하는데, 여기에는 인정(Recognition), 역량 강화(Empowerment), 긍정적 피드백(Supportive Feedback), 파트너십 형성(Partnering), 기대(Expectation), 배려(Consideration), 신뢰(Trust)라는 일곱 가지 핵심 요소가 있고, 각각의 머리글자를 합치면 RESPECT, 즉 존중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2. 감상평

  

    구성원들이 일 자체에 흥미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참여는 기업운용 모델은 관리자나 리더라면 누구나 꿈꾸는 이상적인 모습일 것이다. 하지만 어디 일을 즐기면서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인가. 이제까지의 대부분의 해결책은 이런 상황 - 즉, 일은 하기 싫은 것 -을 전제하고 보상체계를 통해 그것을 상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인간은 단순히 보상을 위해서만 일을 하는 존재가 아니니까.. 성과보상체계로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은 너무나 제한적이었다.

  

     이 책의 강점은 인간을 인간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장 기본적으로 깔려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A를 투입하면 B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계적 모델이 아니라, 각자가 모두 존중을 받고자 하고 자기계발과 인간관계를 통한 정서적 만족 같은 것들을 원하는 인간다움을 인정하는 모델이다. 노동을 단지 돈벌이의 수단이나 사주(社主)에게 돈을 벌어다 주는 도구 정도로 여기는 쓰레기 경영자들이 많은 오늘날 꽤나 ‘특이한’ 시각이긴 하지만, 결국 인간을 도구가 아니라 목적 그 자체로 삼는 것이 바른 방향이 아닐까 싶다.

 

 

 

     책은 기업을 경영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그들의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관해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 하지만 조금만 응용한다면 다양한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마음을 모으고,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벌써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은 사람들의 얼굴이 몇 명 떠오른다. 물론, 당장 나에게도 몇 번 더 읽어봐야 할 책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