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남편의 합의를 위해 부지런히 뛰어다니는 수원. 그녀는 사실상의 가장으로, 간병인으로 일하는 동시에 환자들을 가톨릭에서 운영하는 요양소에 입원시켜주는 브로커 일에까지 손을 대고 있었다. 비록 생계를 위해 돈을 받고는 있지만 그렇게 하는 것이 가족이 돌보지 않는 환자들을 위한 일이기도 한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 불쌍한 사람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여린 마음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알콜중독으로 현역에서 물러나 고등학교 사격부의 계약직 코치로 일하고 있는 수원의 남편 동식. 해고될 위기에 몰려 이사장의 눈에 잘 보이기 위해 결국 피하던 술을 마시게 되었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자신의 학교 사격부 학생 한 명을 치는 사고를 내고 만다. 합의를 위해 이리저리 분주히 뛰어다니다가 결국 해서는 안 될 일에까지 손을 대고 만 수원. 여기에 두 사람의 딸인 주미는 웬 소년과 함께 갔다가 온 몸에 낙서가 된 채로 돌아오는 일까지 벌어진다.

2. 감상평 。。。。。。。
개봉 즈음 보려고 극장 예매를 하려다 우리 동네 롯데시네마에서는 상영을 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래도 꼭 보고 싶었던 터라 좀 떨어져 있는 극장에라도 가볼까 생각하던 차에 금새 극장에서 내려갔다는 소식이 들렸다. 불공정한 상영행태에 반발해 감독이 스스로 상영중지 조치를 결정했다는 것. 결국 영화를 보기 위해선 좀 기다려서 다운로드 받는 수밖에 없었다.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뭐라 한 마디로 정리하기가 좀 어렵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과 그들에 대한 손길(Touch)을 보여주는 주인공 수원의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었지만, 그렇다고 주제가 뭔지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 같지는 않았다. 스토리의 흐름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 같지 않고, 뭔가 뚝뚝 끊어지는 느낌이다. 나중에 관련 기사를 보면서 알게 된 건데, 영화 시간을 100분 안쪽으로 맞추기 위해 몇몇 장면들을 과감하게 삭제했다던데, 그 때문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주연을 맡은 김지영의 열연이 돋보인다. 배역을 위해 엄청난 감량까지 감행하는 프로 정신도 그렇고,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연기력만큼은 인정받아온 그녀니까. 누군가의 좀 따뜻한 손길이 필요한 세상을 살면서, 힘닿는 대로 그들을 어루만져 주려는 수원이라는 캐릭터를 잘 살려내지 않았나 싶다.

세상은 발전해가고 있다는데, 기술도, 시스템도 진보한다고 하는데,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이 외로워하고 있는 것 같다. 이웃에 대한 관심과 도움은 복지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손에 맡겨지고, 아이들은 직업적인 돌봄이들과 교사들에게 전적으로 위탁되어 있다. CCTV와 자동문, 늘 깨끗해 보이는 무균실과 금속성의 건물, 장치들에서는 온기를 느낄 수 없다. 어쩌면 우리에게 더 필요한 건 그 실체도 불분명한 경제성장률 몇 %나 GDP니 뭐니 하는 알아들을 수 없는 이니셜이 아니라, 정이 담긴 포옹 한 번, 따뜻한 말 한 마디와 함께 건네는 위로일 것이다.
끊임없이 더 많은 부와 물질을 쌓는 것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우리는 영원히 외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할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