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줄거리 。。。。。。。
한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를 옹립하고 천하를 제압해 나가고 있는 조조. 역사에 기록된 것만 해도 여러 차례 암살 위협을 넘겼던 그였기에, 매일 밤 두통과 악몽에 시달린다. 그런 조조를 향한 새로운 암살 계획이 시작되었고, 영저는 조조의 후궁으로, 그녀의 연인 목순은 환관이 되어 이 계획에 참여한다. 과연 그들이 계획은 성공할 것인가.
2. 감상평 。。。。。。。
삼국지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이 매년 이렇게 쏟아져 나오는 건 삼국지를 즐겨 읽었던 사람이라면 참 반가운 일이다. 전통적으로 인기 있는 주인공인 유․관․장의 이야기는 물론, 조운이나 적벽대전까지. 그 중에서도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조조다. 그만큼 중국 삼국시대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라는 걸 보여주는 반증일 것이다.
앞서 ‘명장 관우’에서도 언뜻 그려졌던 것처럼, 이번 영화에서도 조조는 난세를 평정하며 백성들에게 먹을 것과 입을 것, 안정을 가져다주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황제를 겁박하고 전횡을 휘두르는 조조를 암살하는 것을 백성들이 원하지 않는 것임을 깨달은 영저의 당혹감은 조조의 주변을 지키는 수백의 군사들보다 더 강한 장벽이었다. 전쟁은 악인데, 일단 전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면 서둘러 끝내는 것이 차악(次惡), 혹은 선이라는 논리로, 역시나 다분히 상황에 기댄 설득이다. 충분히 조조에 대한 미화 논란이 있을 수도 있는 설정인데, 영화의 작품성에 대한 문제제기보다는 이야깃거리의 생산 쪽으로 이어질 것 같다.

영화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중국영화 특유의 엄청난 인원 동원과 디테일이 돋보이는 복색들, 그리고 화려한 영상이다. 여기에 조조역의 주윤발의 무게감과 볼 때마다 신세경을 떠올리게 하는 유역비의 비주얼도 눈을 즐겁게 만든다.
탄탄한 원전을 토대로 만든 영화이니만큼 원래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쉽게 어필할 수 있지만, 반대로 원작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역효과, 즉 일종의 영화를 즐기는 데 진입장벽이 될 수도 있다. 그런 부분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삽입된 요소로는 역시 남녀 간의 로맨스만한 게 없는데, 이 영화에서는 환관 목순과 영저의 사랑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뭐 이 정도의 픽션이야 충분히 영화적 상상력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니까.

이런 영화들을 볼 때마다, 확실히 중국의 문화적 영향력도 올라오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다만 한국에선 그닥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게 아쉽. 대진이 안 좋았던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