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주의 : 러브스토리
마이클 무어 감독 / 파라마운트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식코라는 영화로 미국의 의료보험 제도의 문제점을 파헤치며 결국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던 마이클 무어 감독이 이번에는 자본주의라는 경제 철학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감독 특유의 유머와 비꼬기 기법이 잔뜩 담겨 있는 다큐멘터리로, 집을 담보로 대출받아 하는 투자를 장려해 놓고는 개인투자자들이 파산을 당하자 집을 강제로 빼앗아 가는 은행들의 부도덕성으로 시작해, 직원들이 죽으면 고용주 앞으로 막대한 보험금이 배당되도록 해 놓은 ‘일명 죽은 일꾼(Dead peasant) 보험', 소년원마저 민영화 시킨 후 판사들을 매수해 수천 명의 아이들을 무조건 가둬놓고는 막대한 세금을 받아먹는 민간 기업, 수천 억 달러의 세금(공적자금)을 아무런 조건이나 규제도 없이 그저 은행들에게 쏟아 붓도록 만드는 대단한 로비력을 소유한 투기은행들의 만행 등을 차례로 그려낸다.
결국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얻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스스로 싸워야 한다는 메시지와 함께, ‘자본주의’라고 표기되는 금권주의, 혹은 귀족정체를 무너뜨리는 것만이 근본적인 해답일 것이라는 강렬한 주제를 던진다.

2. 감상평 。。。。。。。
툭하면 나오는 ‘자본주의’라는 용어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영화 초반에 등장하는 자본주의에 대한 정의는 상당히 단순하면서도 명쾌하다. 자본주의란 누가 무엇을 생산할지를 투표로 정하는 제도라고. 즉, 민주주의라는 정치제도를 경제 영역에 구현하기 위한 도구라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이 경제제도의 기본적인 법칙은 뭔가를 갖고 있는 사람이 다른 걸 얻기도 쉽다는 것. 때문에 이 제도의 맹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뭘 해도 돈을 벌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자본주의가 민주주의를 조정하는, 일종의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오늘날 전 세계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점이 바로 이것이다. 돈은 얼마든지 정치인들을 지배하는 유효한 도구가 되었고, 이건 법과 원칙까지도 얼마든지 돈을 위해 봉사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말이고, 다시 더 많은 돈을 벌게 된다는 것이다. 누구도 깨뜨릴 수 없는 악순환의 연속. 영화 속 시티그룹의 내부문서는 이런 현실을 잘 보여준다. 미국은 이미 상위 1%가 95%의 부를 독차지 하게 된, 금권주의 혹은 귀족정체로 전환 중이라는 것. 여기에는 딱 한 부분의 약점이 있는데 바로 투표권이라는 문제다. 여전히 99%의 표는 약자들이 가지고 있으니까. 자본주의를 탄생시킨 것이 민주주의였듯이,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힘도 민주주의에서 나온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위의 대다수들은 자신들도 언젠가는 부자가 될 수 있을 거라는 꿈을 꾸면서 이 상황을 유지시키고 있으니..
영화 말미에 등장하는 한 에피소드가 인상적이다. 1936년 미시건 주의 한 작은 도시에서 44일간의 공장점거가 있었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경찰과 ‘구사대’라고 불리는 용역 깡패들이 난입해 유혈사태가 발생했고, 주지사는 당시 대통령인 루즈벨트의 재가 아래 주 방위군을 출동시켰다. 어디선가 자주 봐왔던 장면인데, 놀라운 것은 그 다음의 상황. 출동한 주 방위군은 노동자들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들고 그 자리를 지켰다는 것. 자본주의는 결코 민주주의와 동등한 선에 설 수 없으며, 후자에 의해 적절하게 통제되어야 하고 통제 될 수도 있다는 좋은 예.

2009년에 만들어진 이 영화는 오바마의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에 뭔가 대단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주지만, 현실은 그동안 봐 온 것과 같이 막강한 로비력으로 무장한 돈의 힘이 이미 워싱턴 정가를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면적인 개혁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간 상황이다. 좀 더 많은 사람이 깨어서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분별하게 되고, 적절한 수단으로 돈의 지배에 저항할 때만이 문제 해결은 시작되겠지만, 허영심이 사라지지 않는 한 그게 쉬울 것 같지 않다.
식코와 함께 꼭 한 번 봐야할 영화. 대선을 앞둔 이즈음 우리나라에도 제대로 한 번 개봉했으면 하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