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줄거리 。。。。。。。
사고로 네 살배기 아들을 잃은 베카와 호위. 모든 것이 그대로 남아 있지만, 그날 이후 모든 것이 달라져버렸다. 깊은 우울증을 앓게 된 베카는 다른 사람들과의 정서적인 교감을 스스로 차단하려고 발버둥을 치고, 남편인 호위는 그런 아내를 이해하려고 애쓰지만 좀처럼 쉽지가 않다.
어느 날 우연히 아들을 차로 친 소년을 만나게 된 베카. 증오는 아니었지만 왠지 모르게 그 소년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고, 결국 잠시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해 미안함을 감추지 못하는 소년은 베카에게 자신이 그리고 있는 평행우주에 관한 만화를 보여주었고, 베카는 우주 어딘가에 그의 만화처럼 정말로 웃고 있는 자신이 있었으면 하고 바라게 된다.
2. 감상평 。。。。。。。
어린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상당수가 결국 이혼을 하고 만다는 통계 조사가 있다. 인간이란 끊임없이 자신이 하는 일, 그리고 자신에게 일어난 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애쓰는 존재인데, 아무리 노력해도 쉽게 설명되지 않는 일을 겪다보니 결국 한계에 다달은 것이다. 치유되지 못한 상처는 가시가 되어서 주변 사람들, 다시 말해 상처받은 그/그녀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찌르게 되고, 결국 파경을 맞게 되는 것.
전통적으로 이런 악과 고통의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는 ‘하늘’, 혹은 ‘신’의 뜻으로 돌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선한 신이 왜 이런 악과 고통을 허용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또 아주 불가능한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점점 자신의 생각하는 힘 자체를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이상한 병에 걸린 인류는 이제 스스로의 이성 안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기에 이르렀다. 이 영화에도 등장하는 평행우주라는 것이 그 중 하나의 ‘교리’인데, 그 결과는 신통치 못한 것 같다.

언뜻 대단히 과학적인 설명처럼 보이지만, 사실 평행우주 가설 자체가 아직 정설로 인정받는 건 아니다. 게다가 애초부터 검증자체가 불가능하니(검증을 하려면 다른 평행우주로 가보는 수밖에 없는데 이게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영화 속 대사처럼 과학을 ‘믿는’ 사람에게만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 대단히 종교적인 대답이다. 또 다른 우주에 관한 물리학의 가설과 또 다른 세계에 관한 종교적인 대답이 뭐가 다를까. 사실 삶과 죽음, 고통의 문제를 과학적 공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착각 자체가 결국 오늘날과 같은 인간성 상실의 시대를 유발한 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아무튼 그렇게 신을 버리고 철저하게 이성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몸부림치는 베카의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간 듯하다. 그녀는 소년이 그려준 만화의 교리의 탄복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그녀를 기다려준 주변 사람들의 애정과 소년에 대한 용서를 통해 회복되고 있었으니까.
원숙한 연기력의 두 주연배우의 연기는 맡은 배역에 너무나 잘 녹아들어갔다. 주인공들의 복잡한 심리를 훌륭하게 그려냈다. 다만 영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주제나 메시지 부분은 좀 더 발전되지 못해 아쉽다. 치유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영화 자체가 치유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