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 물대포는 사람들이 쓰레기인 것처럼 싹 쓸어버렸다.
이제 거리는 반들거리고 깨끗해졌다.
그리고 동시에 텅 비어 있었다.
- 나오미 클라인, 『쇼크 독트린』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세대가 반드시 회개해야만 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악인들의 신랄한 말과 폭력적인 행동만이 아니라
주위에 앉아 때를 기다리라고 말하는
선인들의 무시무시한 침묵과 무관심을 회개해야 합니다.
- 마틴 루터 킹, 『한 밤의 노크소리』中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땅 위의 길과 같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 루쉰, 『희망은 길이다』中
신이 맺어준 커플
감독 아딧야 쇼프라
출연 샤루 칸, 비네이 파탁
내별점 (8점/10점)
한줄평 인도식 순정남의 사랑표현법
1. 줄거리 。。。。。。。
존경하는 교수의 딸인 타니의 결혼을 축하하러 간 수린더. 하지만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타니의 약혼자가 죽게 되고, 이에 충격을 받은 교수 역시 위태로운 지경에 이른다. 죽기 전에 아버지의 뜻에 따라 수린더와 혼인하기로 승낙하지만 타니의 마음 속에는 그의 자리가 없었다. 그녀와는 달리 첫눈에 반해버린 수린더는 타니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애를 쓰지만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았다. 타니가 댄스 강습소에 나가고 싶어 한다는 걸 알게 된 수린더는 라지로 변장해 그녀와 함께 춤을 배우기 시작한다. 수린더는 과연 타니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까.
2. 감상평 。。。。。。。
일반적인 인도 영화들처럼 중간에 잠시 화장실을 다녀올 수 있는 휴지기까지 있는, 무려 160분이 넘는 긴 상영시간. 하지만 영화는 그다지 지루하지 않았다. 역시나 인도 영화 특유의 강렬한 색채들과 춤, 음악이 한데 어우러지는 공연이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이런 점을 인도영화의 단점으로 꼽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건 우리가 너무나 헐리우드 식의 영화들에만 익숙해져서가 아닐까. 영화란 이래야만 한다는 식의 고정관념을 잠시 내려놓고 즐긴다면 꽤나 재미있는 영화다.
전에 봤던 인도 영화보다 확실히 내용이 밝고 가벼운 로맨스물이라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다. 내용이 비현실적이고 어설프게 착한 캐릭터들만 나온다는 평도 있지만, 사랑까지 꼭 그렇게 냉철하게 계산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우리의 심보 또한 뭔가 뒤틀려있기 때문일지도. 조금은 어리숙해 보이고, 비현실적일 정도로 착한 인물들이 좀 더 많아지면 세상이 좀 더 밝아지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그런 순진한 사랑 이야기라 더 마음에 든다. 당신 안에서 신을 보았기 때문에 당신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대사는 압권.
필리핀에 몇 달 살아보니 같은 아시아권이라도 삶을 대하는 기본 태도가 참 다르구나 하는 걸 알게 되었다. 개인적인 성취와 관계적인 안정감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 그르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좀 더 인간적인 면에 무게를 더 주는 게 내겐 맞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영화가 이렇게 마음에 드는 것 같고..
카이퍼가 칼뱅을 뛰어넘는 부분은,
당시의 사회적 불행의 근원을 분석한 점과
자선 사업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 점이다.
그는 자신이 목격하는 사회적 불행
- 그 가운데 빈곤은 가장 비극적인 증상에 속한다 -은
계몽주의에서 나온 자유방임적 정치 체제와
이윤 추구에 의해 생긴 경제 체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