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뱅뱅클럽
감독 스티븐 실버
출연 라이언 필립, 테일러 키쉬
내별점 (6점/10점)
한줄평 분쟁 현장에는 늘 그들이 있었다
1. 줄거리 。。。。。。。
흑백 인종 갈등으로 오랜 시간 동안 준 내전상태에 있었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곳에도 현장의 사진을 찍어 신문사에 넘기는 보도사진작가들이 있었다. 그렉과 케빈, 주앙과 켄은 자연스럽게 함께 어울려 다니며 우정을 나누게 된다. 딱히 무슨 그룹을 만든 것은 아니지만, 점점 명성이 쌓이면서 뱅뱅클럽이라는 별명까지 얻게 된다. 하지만 그들이 찍은 사진에 대한 윤리적인 논쟁이 더해지면서 심적인 부담은 늘어나기 시작했고, 매일 같이 살인과 폭행, 증오와 분노가 가득한 현장을 다니는 그들의 영혼도 건강하기만 할 수는 없었다.

2. 감상평 。。。。。。。
현장 보도 사진을 찍는 작가들의 존재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편으로는 그들의 사진 때문에 자칫 잊히거나 감춰질 수도 있었던 사건들이 공개됨으로써 역사의 기록을 남긴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또 그렇게 찍은 사진을 팔아 경제적인 이익을 취한다는 측면만 보면 일종의 장사꾼으로 치부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디 단지 그들만 이런 양면성을 지니고 있던가. 생각해 보면 모든 직업에는 그렇게 공공의 이익과 개인적인 이익 사이의 타협점에 서 있지 않은가.
영화는 증오와 복수, 폭력이 갖고 있는 파괴적인 면에 대해 집중한다. 언뜻 퓰리쳐 상을 수상하며 승승장구하는 그들인 것 같지만, 실제 삶은 칼과 총을 들고 상대를 죽이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 사람들 사이를 누벼야 하는 위기의 연속이다. 더구나 그들이 직접 살육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지속적인 폭력에의 노출은 그들의 정신을 황폐하게 만들었으니 참 못할 짓이다. 폭력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다. 노출되면 노출될수록 그에 무뎌지게 만드는.
내가 사는 이 나라 역시 그런 직접적인 살육까지는 아니라도 점점 더 상시적인 폭력과 적의에 노출되어가고 있으니 위기다. 급증하는 자살률과 극심한 사회갈등은 그 징조라고 해야 할 텐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갈등의 선을 분명하게 긋는 게 자신들에게 유리하다고 생각하는지 좀처럼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으니.
다만 영화 자체는 그리 인상적이지 못하다. 철저한 기자정신을 그려내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기자들이 느끼는 직업적인 고뇌를 파고들지도 않는다. 그러가하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갈등을 조명하고 있는 것도 아니니 두루뭉술했다고 밖에 할 수 없는 느낌. 차라리 하나에 좀 더 집중을 했다면 멋진 작품이 나올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