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에 관해 믿고 보는 저자 후스토 곤잘레스의 새 책이다. 서문에 팬데믹 상황에 관한 언급으로 보아 정말로 최근에 쓴 책인가 보다. 제목에 나와 있듯, 이 책은 성경에 관한 책이다. 하지만 성경의 내용보다는 그것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되었는지, 초기 기독교 시기를 배경으로 탐색해 보는 쪽이다.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성경이 만들어졌는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1부가 가장 재미있었다. 구약은 대체로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일부 아람어 포함), 신약은 그리스어로 쓰였다. 하지만 포로기 이후 신약시대까지 유대인들이 사용했던 언어는 아람어였다. 신약은 처음부터 번역의 과정을 거쳐 쓰였던 것.
구약의 경우 유대인들이 오랫동안 거룩한 글로 사용해 온 책들과 대부분 겹친다. 하지만 여기에 외경이라고 불리는 주로 포로기 이후 쓰인 책들의 성격을 두고 이견이 생겼다. 70인 역에서는 이 외경도 중요하게 여겼기에, 전통을 따라 가톨릭교회에서는 외경도 제2의 경전으로 여긴다. 하지만 원문에 대한 연구를 중요시했던 종교개혁자들은 유대인들의 인정해 온 히브리 성경에 실려 있는 책들의 권위만을 인정하려 했다. 결국 구약의 목록에 차이가 생긴 이유다.
처음 성경은 가죽 위에 써서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보관했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은 ‘코덱스’라고 불리는, 오늘날의 책과 같은 형태를 일찌감치 널리 사용했다. 저자는 그 이유를 알기 어렵다고 하지만, 사실 성경과 같은 책을 쉽게 찾기 위해서는 코덱스 형태가 훨씬 편하다는 건 쉽게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다.
이 외에도 성경을 장과 절로 구분하는 관행이 어떻게 나왔는지, 성경의 필사본들이 어떤 식으로 전달되면서 오류 생겼고, 그것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인쇄술이 발명이 교회의 신앙생활 방식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등이 이어진다.
2부에서는 성경이 다양한 정황 가운데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3부에서는 성경의 내용에 대한 초기 교회의 해석법으로 시작해, 당대 중요하게 여겼던 성경 속 주제들 몇 가지를 검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