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성에서 영성으로
이어령 지음 / 열림원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저명한 학자인 저자가 어떻게 기독교 신앙에 귀의하게 되었는지에 관해 자전적으로 풀어 낸 에세이집이다. 대체적으로 시간적, 또는 논리적 순서에 따라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각각의 글들은 또 나름대로 독립된 것들이기에 꼭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나가려고 하지는 않아도 된다.
2. 감상평 。。。。。。。
저자는 사랑하는 딸의 질병과 회복의 과정을 보면서 기독교 신앙을 가졌다고 고백하지만, 사실 저자 자신도 인정하듯 그것은 근인(近因)일 뿐이었다. 보다 멀리는 ‘무신론자의 기도’에 반영되어 있는 것처럼, 그가 신앙을 갖기 이전부터 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깊은 영적 공허감을 느꼈을 때부터 이미 그의 신앙으로의 여정은 시작되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어떤 이들은 인정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영혼의 빈자리는 영원히 비어있을 수는 없는 법이다. 그 자리를 무엇으로 채우느냐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책의 후반부에 실려 있는 저자의 따님이 쓴 간증문은 사족을 붙인 느낌이다. 물론 어떻게 저자가 극적인 회심을 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보조적 자료로 기능을 할 수도 있겠으나, 그건 저자 자신의 글에 살짝살짝 드러나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분의 신앙이나 신앙방식에 대해 이의가 있다는 건 아니지만, 간증이란 건 한 개인의 신앙 여정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줄지는 모르나, 그것을 그대로 다른 이들에게 적용을 하려고 하면 무리가 따르기 마련이다. 이 부분은 출판사의 욕심이 아니었을까 싶다.
저자의 이력답게 저자의 글은 때로는 문학적으로, 또 때로는 날카로운 비평가적 문체로, 호소력 짙은 강연자나 연설가로, 이웃집 할아버지와 같은 편안함으로 다가온다. 다양한 느낌의 글을 읽어가는 맛이 있다. 그래, 그래 하며 고개를 끄덕이며 읽다보면 어느새 정곡을 찌르고 있다. 맛이 살아 있는 글이다.
책 제목인 ‘지성에서 영성으로’라는 문구는 저자의 이력을 잘 설명해준다. 하지만 이 부분이 책 자체엔 충분히 설명되고 있지는 못하다. 내가 보기엔 저자는 이 책을 지성인으로서 썼다기보다는 신앙인으로서 쓰고 있다. 물론 그런 감상적이고 문학적인 글에도 언뜻 드러나는 저자의 통찰은 감탄을 자아내긴 하지만, 지성인들을 회심시키는 데 이 책이 직접적인 도구가 될 것이라고 하는 기대는 접는 게 낫다(사실 뭐 신앙이란 게 설득으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