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쿠데타에 가담해 호위호식하고

대통령 경호실장을 하며 수천 억의 비자금 조성에 관여했던

안현태 씨가 죽자 지난 6일 국립묘지에 안장한 정부.

이건 뭐.. 뿌리가 그쪽이란 걸 인정하는 건지.

 

무슨 짓을 하든 성공만하면 죽어서도 대접받는다는 걸

국가가 나서서 교육하고 있다.

불법과 반칙이 난무하는 아름다운 사회는

이렇게 만들어지는 법이다. 

 

 

곧 전두환, 노태우도 같은 명목으로 국립묘지 안장한다고 할 듯. 

아마 이게 사전 정지작업으로 보인다. 

아프리카 독재정부 수준이 이와 비슷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1-08-09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 정말 대단한 법이에요. 성공만 하면 장땡이라니.
그 법을 만들어 내는 정부는 두 말하면 입 아프지요.

페이퍼 제목 보고 따라 들어왔는데 눈살이 찌푸려지네요...
이래서 더 책을 읽게 되는 걸까요.

노란가방님 소개글, 정말 공감이에요 :)

노란가방 2011-08-09 12:58   좋아요 0 | URL
자기들이 만든 법으로 '합법적인 반칙'을 저질러 호가호위 하는 게
권력자들의 속성이지요...

찾아 주셔서 고맙습니다.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합본 메피스토(Mephisto) 13
더글러스 애덤스 지음, 김선형 외 옮김 / 책세상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어느 날 시(市)의 외곽순환도로 건설을 위해 자신의 집이 철거될 위기에 처한 아서. 친구였던 포드는 굴삭기 앞을 막기 위해 누워있던 그를 데리고 급히 어딘가로 가더니 곧 둘은 어떤 우주선 안으로 이동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알게 된 사실 하나. 지구가 우주 통행로를 만들기 위해 방금 철거되었다.

 

     그 때부터 아서는 포드와 함께 은하계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가 되어 온갖 말도 안 되는 행성에서 어이없는 인물들을 만나고 황당무계한 사건들을 겪는다.  

 

 

 

2. 감상평 。。。。。。。                

 

     시작은 좋았다. 왜 아서가 이 어이없는 은하계를 히치하이킹 하는 여행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 적당한 유머를 섞어 재미있게 제시했다. 하지만 일단 아서가 우주로 여행을 떠나는 순간부터 거기에는 어떤 논리적인 전개나 인과율이 배제된, 순수하게 우연과 농담으로 가득한 이야기들이 시작된다. 혹시 누군가 이 책을 한참 읽다가, 의도치 않은 심부름이나 급한 용무(이를 테면 화장실을 다녀오거나 식사를 하는 것 같은)를 보고 돌아와서 어디까지 읽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면, 굳이 이전에 읽었던 곳을 찾기 위해 이야기를 앞으로 넘겨서 몇 분 동안 찾을 필요 없이 그냥 아무 데나 펴서 읽어도 괜찮다. 어차피 앞에 읽은 내용들이 정확히 기억도 나지 않을뿐더러, 다 비슷비슷한 이야기라 딱히 구별되지도 않을 테니까.

 

     이야기 전체는 말 그대로 ‘산으로 간다’는 말이 무엇인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판타지 문학이란 게 일단 상상에 기반하고, 당연히 어느 정도는 논리적 비약이나 우연과 같은 특별한 요소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는 건 인정하지만, 일단 그렇게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 낸 다음이라면 적어도 내적 논리에 따라 모순 없이 이야기가 흘러가야 한다는 게 기본적인 원칙 아닌가. 하지만 이 이야기는 그런 기본적 합의를 가볍게 휴지통에 던져버린다. 그리고 그 결과는 지긋지긋하게 반복되는 농담 따먹기와 우연의 연속뿐이었다. 초반부 몇 백 페이지 정도까지는 그런대로 참고 읽을 만했지만(종종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다), 시종일관 가벼운 말장난만 반복하는 1,236페이지 짜리 이야기를 며칠에 걸쳐 읽는 건 고문 아닐까.

 

     영국식 유머도 좋고, 하이 코미디도 좋다. 하지만 적어도 이 정도의 이야기를 담아내려면 제대로 된 스토리 하나는 넣을 만도 한데, 이건 김치전을 한다면서 정작 밀가루는 넣지 않고 김치만 들입다 팬 위에 올려놓은 꼴이다. 볶은 김치의 맛을 좋아한다면 그런대로 반찬으로 쓸 수는 있지만, 출출한 속을 달래기 위한 포만감을 주는 간식꺼리를 만들려고 했다면 실패작이다.

 

 

     요샌 어지간히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면 자신도 그 ‘많은 사람들’ 속에 속해야 한다는 강한 소속감에 자신도 모르게, ‘철학적’이니 ‘심오한’이니 하는 수식어를 붙이기도 하나보지만(이 책에 대해 호평을 쓴 다른 리뷰어들을 향한 말은 아니다. 책에 대한 감상은 다를 수 있는 거니까.), 이 범 우주적인 농담 따먹기에는 굳이 작가도 그런 철학적 해석이 붙는 것을 원하진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아한다는 것은 소유하는 최선의 방법일 거요.

소유한다는 것은 좋아하는 최악의 방법일 테지만.

 

- 주제 사라마구, 『미지의 섬』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7광구 - Sector 7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제주도 남단 제7광구에 위치한 석유시추기지. 1년이 다 되도록 여기저기를 뚫어보았지만 바라던 석유는 좀처럼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결국 본사에서는 철수를 지시하지만, 베테랑 선장인 안정만이 오면서 몇 달 더 작업을 계속하기로 한다. 하지만 얼마 후 의문의 사고가 일어나 사람들이 죽기 시작하면서 뭔가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나타난 바다괴물. 살아남은 사람들은 괴물과 싸워나가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시작한 지 50분 가까이 되어서야 그놈의 바다괴물이 모습을 드러내는 지지부진한 스토리 전개. 중간에 뚝뚝 끊기는 어설픈 음향과 영상 편집. 과도한 밝기 보정으로 너무 환한 한밤중의 배경. 캐릭터들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 하지원의 탄탄하다는 허벅지(개봉을 앞두고 영화를 홍보하는 기사들에 나온 표현이다)와 몸을 사리지 않는 열연도 이 모든 것들을 만회하기엔 힘겨워 보였다.

 

     주연을 맡은 하지원의 좀 과장되고 들떠 있는 듯한 모습은 거슬리긴 했지만, 그게 가장 큰 문제는 아니었다. 진짜 심각한 건 그녀가 맡고 있는 캐릭터인데, 말 그대로 민폐 캐릭이라고나 할까. 시종일관 나서서 설쳐대는데(가장 먼저 대사, 가장 먼저 행동, 모든 일에 다 빠지지 않고 끼는), 그렇다고 해서 치밀한 상황판단과 그 근거, 계획 따위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한 사람씩 동료들이 죽어가는 건데, 주인공은 살려야겠고, 결과적으로 모든 동료를 하지원이 맡은 차해준이 죽게 만든 것은 아니지만, 그런 꼴이 되어버렸다. 확실히 연기력이 나아지고는 있는데, 이건 그걸로 어찌할 수 없는 난국이다.




 

     장르적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괴수 영화 자체가 비난받을 만한 일은 아니다. 그 괴수가 물로도, 불로도 좀처럼 죽지 않는 끝판왕의 면모를 보이는 것도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 수도 있겠다. 다만 아무리 상상에 기초한 이야기로도 최소한 ‘말은 되게’ 만들어 놓아야 할 텐데, 영화 속 인물들은 좀처럼 제대로 된 판단조차 하지 못하고 그저 사방으로 도망치고, 쫓기고, 대들다가 차례로 죽어간다. 아무런 감동도, 인간애도, 그것도 아니면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같은 작은 메시지조차도 던져주지 않는다. 등장인물들 사이에는 좀처럼 어떤 행동을 이끌어 내는 특별한 ‘관계의식’도 보이지 않고.

     종합하자면, 엉성한 대본과 엉성한 연출, 미처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 CG효과가 만들어낸 괴물(과도 같은) 영화라고나 할까. 일단 뭐 CJ라는 탄탄한 배급사를 배경으로 했으니 한동안 영화관에 지긋지긋하게 오르고 몇 백만이 본 영화니(혹 천 만 까지?) 하며 만들어진 흥행을 이어갈지도 모르겠다. 장기적으로 한국 영화계에 도움이 될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