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어베러월드 - In a Better World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주인공인 안톤은 덴마크 출신의 의사로 아프리카를 오고가며 의료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끊임없는 내전과 학살로 수많은 사람들이 병들고 상처를 입는 그곳에서, 악당까지도 치료해 주어야 하는가 하는 실존적인 문제로 괴로워하지만, 문제는 그곳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별거 상태인 아내와의 사이에 두 명의 아들을 두고 있는데, 큰 아들인 엘리아스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면서도 좀처럼 자신의 속내를 털어놓으려 하지 않는다. 새로 전학 온 크리스티앙은 그런 엘리아스에게 자신만의 ‘복수법’을 가르쳐주었고, 결국 둘은 안톤을 향해 폭력을 휘두른 사내의 차를 폭파시키기 위해 사제 폭탄을 만들기에 이른다.
크고 작은 싸움과 분쟁, 다툼 속에서 ‘비폭력’과 ‘평화’라는 자신의 소신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안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2. 감상평 。。。。。。。
그저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자신의 뺨을 때리는 상대를 향해 계속해서 두려워하지 않고 뺨을 가져다 댈 수 있는 안톤의 모습은 자연스럽게 성경 속 한 구절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가 다시 상대를 찾아간 것은 고소하거나 배상을 받아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의 잘못을 인정하도록 만들기 위해서였고, 이를 위해 그가 동원한 것은 (공적이든 사적이든) 힘이나 두려움이 아니라 옳고 그름에 대한 바른 분별과 복수는 옳지 않다는 확신이었다.
받은 대로 갚아주는 것이 지혜로운 것으로 여겨지는 오늘날, 더없이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유전자 속에 담긴 유일한 진리라는 과학을 가장한 철학적 명제가 유일한 진리로 여겨지는 이즈음에 분명 안톤의 모습은 어리석은 일로 보인다. 하지만 끝없는 복수의 복수로 이어지는 내전의 현장에서 일하는 그라면 충분히 복수의 비참함을 알았으리라. 대개의 경우 복수란 그것의 파괴적 결과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이나 하는 것이다.

감독은 아마도 이 분쟁과 다툼의 해답으로 ‘복수가 아닌 용서’라는 것을 제시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화를 진지하게 본 사람이라면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내 생각엔 영화 속의 이야기만 놓고 본다면 용서의 유익보다는 복수의 무익함이 좀 더 두드러져 보인다. 요컨대 주제의식이 좀 덜 드러난다는 말.
영화를 보는 우리 대부분이 크리스티앙과 비슷한 삶의 방식을 택하고 있을 것이다. 어디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지 모르면서 그저 빨리 달려가는 것만을 금과옥조로 여기는 우리들이기에, 영화를 보면서 한 번쯤 잠시 숨을 돌리는 것도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