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녀유혼 - A Chinese Fairy Tal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천년 묵은 나무 요괴에게 잡혀 요괴가 된 섭소천. 그런 요괴들을 없애는 것이 일이었지만 섭소천과 사랑에 빠지게 된 도사(퇴마사) 연적하. 연적하는 섭소천과의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임을 알고 그녀의 기억을 지운 후 떠나 요괴들과의 싸움을 계속한다.
몇 년의 시간이 지난 후, 나무 요괴가 사는 흑산 인근 마을에 물이 없어 고통을 당하게 되자, 관아에서 파견한 영채신이 물을 찾아 산으로 올라간다. 영채신은 그곳에서 만난 섭소천을 보고 사랑에 빠져버렸고, 기억을 잃어버린 섭소천도 순수한 영채신에게 마음을 주고 만다.
섭소천과 다시 만나게 된 연적하, 그리고 영채신의 눈에 보이지 않는 삼각관계를 중심에 두고 이야기가 펼쳐진다.

2. 감상평 。。。。。。。
60년대에 제작되었다는 ‘원작’은 딱히 본 사람이 별로 없어선지 다들 8, 90년대에 나왔던 몇 편의 ‘천녀유혼’과 이 영화를 비교하며 평가를 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어렸을 때 봤던 향수가 더해져서 그런지, 아니면 너무 커버린 때문인지 원작만큼의 감동은 주지 못했던 것 같다. 딱히 작품의 완성도도 더 높지 못해보인다.
우선 인물들의 캐릭터나 비중이 충분히 완성되지 못했다. 포스터에서도 볼 수 있듯 감독은 여주인공인 섭소천(유역비)을 전면에 내세우려고 했던 것 같은데, 우리 나라 배우 신세경을 연상시키는 청순한 외모는 나무랄 수 없겠지만 그녀가 연기했던 섭소천은 딱히 매력적인 인물은 아니다. 적극적으로 뭔가를 해보려는 모습은 전혀 없고(사실 그 이전에 현실에 대해 불편해하는 것 같지도 않다), 그저 잘생긴 남자 만나서 이리저리 따라다닌 것 밖에 한 일이 없다. 여기에 이 영화에서 가장 욕을 먹는 캐릭터인 영채신은 정말 답이 안 나오는 어리바리한 인물인데, 요괴든 아니든 그저 얼굴만 예쁘면 그만이라는 건지 순진한 척은 다 하면서 한 번 만난 섭소천에 빠져 앞뒤를 못 가리고 사고만 친다. 민폐 캐릭터의 전형. 그나마 시종일관 정인(情人)에 대한 의리를 지키면서 묵묵히 욕을 먹으면서도 조용히 섭소천을 지켜주려는 연적하 정도가 공감이 가는 인물인데 이 정도라면 영화 자체가 잘 될 리 없지 않은가. 영채신 대신 연적하가 주인공이 되는 거야 뭐가 문제냐 싶은 마음이지만, 그걸 좀 멋지게 그려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와이어 액션이나 특수효과가 눈이 휘둥그레 질만한 정도는 아니다. 역시나 영화라면 스토리와 인물성격이 탄탄해야 충분히 몰입해서 특수효과도 보이고 액션도 보이고 하는 건데, 이건..
곧 DVD 시장이나 케이블로 갈 것 같은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