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붙이란 것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세상에 있는 모든 나무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나무들에게 이렇게 안심시켰다.

 

 "결코 걱정할 것이 없느니라.

시는 너희들이 자루를 제공하지 않는 한

너희들을 해칠 수 없느니라"

 

-『탈무드』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주를 하려면
먼저 악기의 음을 맞추어야 한다.
하루를 시작하려면
먼저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해야 한다.
하나님께 맞추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다.
- 허드슨 테일러

Do not have
your concert first, and then
tune your instrument afterwards.
Begin the day withthe Word of God and prayer,
and get first of all into harmony with Him.
- Hudson Taylo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본주의자들의 바이블 - 자본가들이 사실은 말하고 싶지 않은 리얼 자본주의
그레첸 모겐슨 지음, 이진 옮김 / 지식갤러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1. 요약 。。。。。。。                 

 

     자본주의라는 경제사조(물론 이 단어는 더 이상 경제적인 면과만 연관되었다기보다는 사회적이고, 제도적이며 정치적인 문제까지 아우르기에 이르렀지만)에 관한 매우 일반적인 설명을 담고 있는 책이다. 자본주의라는 사회경제학적 틀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여기에 공헌했던 사람들과 그들의 사상, 나아가 대표적인 저작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일종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느낌으로 엮어 놓았다. 

 

 

 

2. 감상평 。。。。。。。               

 

     ‘자본가들이 사실은 말하고 싶지 않은 리얼 자본주의’라는 과장된 부제에 넘어가고 말았다. 무슨 내용이 담겨 있기에 자본가들이 감추려고 하는 걸까, 오늘날 ‘자본주의’라고 널리 퍼져있는 경제체제가 사실은 ‘원래의 제대로 된 자본주의’로부터 상당부분 일탈해있다는 증거와 날카로운 지적이 담겨 있는 걸까 싶었지만 내용은 전혀 달랐다. 전반적으로 고등학교 경제 시간이나 대학교 1학년 때 배울 만한 경제학 개론 교양 수업에서 다뤄질 만한 일반적인 내용들로 가득하다. 도대체 이 책의 어떤 부분을 자본가들이 말하고 싶지 않았을지 알 수가 없었다. 아마도 책 제목의 ‘바이블’은 ‘기본적인 수준의 교재’라는 의미였나 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책이 형편없다는 말은 아니다. 앞서 말한 수준의 경제학 입문자들을 위한 책으로서는 괜찮아 보인다. 다만 책 전면의 부제와 워낙에 차이가 심해 속았다는 느낌이 들 뿐. 저자는 자본주의에 대해 몇 가지 부작용이나 단점들도 눈에 띄지만 대체적으로 훌륭한 체제이며, 자본주의 실패로 보이는 일들도 사실은 일시적이고 정기적인 후퇴와 발전의 경기순환구조에서 나타나는 모습일 뿐이고 결국은 자본주의 자체가 그 어려운 상황에 적응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낭만적 기대를 표하고 있다.

 

     책값 18,000원은 지나치게 비싼 느낌이다. 삽화들이 제법 들어가서 그런 것 같은데, 사실 대부분은 그저 인물사진일 뿐이고 책 자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것도 아니다. 어느 대학교에서 교양과목 레포트로 요구해서 책을 사게 만든다면 학생들 부담이 꽤나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백 - Confessions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줄거리 。。。。。。。               

     봄방학을 앞둔 한 중학교 교실. 담임선생인 유코는 시끄럽게 떠들며 아무도 듣지 않는 학생들을 향해 존댓말로 또박또박 자신의 마지막 말을 전한다. 자신의 딸을 죽인 사람들이 이 반 안에 있다는 것. 그녀는 범인이 누군지 이름을 밝히지 않겠다고 하면서 그들이 누구인지를 지목한다. 하지만 현행 형법으로는 만 14세가 되지 않는 그들을 처벌할 수 없다면서, 자신만의 방법으로 그들에게 대가를 치르게 했다고 고백한다.

 

     이후 영화는 슈야, 나오키, 미즈키 등 주요 등장인물들의 입장에 서서 사건 당시의 상황과 그 이후의 심리를 내레이션으로 고백해 나간다.

  


 

 

2. 감상평 。。。。。。。               

 

     영화는 기본적으로 복수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법적, 도적적 문제가 아울러 제시된다. 기본적으로 현대 국가에서는 사적 구제(救濟)를 금지하고, 형벌권을 국가에게만 귀속시킨다. 쉽게 말해 억울한 일을 당했더라도 직접 그것을 갚아주려고 해서는 안 되고 국가기관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개인들 사이에 벌어지는 복수로 사회가 무척 혼란해질 테니 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끝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부당한 일을 당한 것은 나인데, 다른 누군가가 그 부당함을 어떻게 온전히 갚아줄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또, 피해자로서는 그렇게 갚아준 내용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도 있다. 누군가 네 왼뺨을 때리거든 오른 뺨도 돌려대라는 예수의 가르침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고,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원칙을 세우고 있는 것도, 이런 보복에 관한 인식을 반영한 것이리라.

 

     영화는 여기에서 시작한다. 누군가가 당신의 딸을 죽였다. 그런데 그 범인들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법적인 처벌과 제제를 받지 않는다. 이것은 과연 정당한 일인가? 영화에서는 이 문제를 좀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몇 가지 세부적 사항들이 더해진다. 가해자들은 자신들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 지 분명히 알고 있었고, 계획적으로 일을 꾸미고 저질렀으며, 자신들이 처벌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에 별다른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는 것만 같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보복을 선언한 피해자의 부모는 복수를 위한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고 그저 거짓말만을 했을 뿐이다. 과연 누가 옳고 누가 그른가, 또 누구에게 어떤 책임을 얼마만큼 물어야 하겠는가.

 

 


 

    관객은 쉽게 어느 쪽의 편을 들어야 할지 마음을 정하지 못한 채 조마조마하며 영화를 보게 된다. 시종일관 낮은 목소리로 읊조리듯 설명하는 인물들의 내레이션은 그 자체가 이 영화의 제목인 ‘고백’을 떠올리게 한다. 영화는 한 사람의 고백이 아니라 많은 인물들의 고백들의 모음이라는 형식을 띈다. 그리고 고백이라는 단어 자체가 함의하고 있는 내밀하고 개인적인 생각들까지 섞여 표현되면서 인물 한 사람, 한 사람의 처지에 공감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꽤나 흡입력 있게 잘 만들어진 심리 스릴러물이다.

 

    군데군데 일본영화 특유의 섬뜩한 장면들과 칼을 휘두르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슬래셔 무비라고 할 만한 정도는 아니지만 이 영화가 미성년자관람불가 등급인 이유는 금방 알 수 있을 정도다. 깜짝깜짝 억지로 놀라게 하는 영화는 아니지만, 보기 전에 충분히 고려하고 들어가자. 가볍게 즐길만한 영화는 아니지만, 보고 나면 아깝지는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뉴스

 

- 한나라당 의원들 뉴타운 지원 특혜법 추진 중

 지난 선거에서 대책없이 뉴타운을 만들겠다고 공약을 내걸고 당선된 의원들.. 수익성이 떨어지고 뉴타운을 조성하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이 부각되자, 법을 바꿔서 세금을 쏟아 부어 수익이 나도록 하겠다고..

 

- BBK 사건 담당 검사가 피의자를 회유했다는 보도 무죄 판결

 지난 대선 때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BBK를 설립했다고 주장했던 김경준 씨. 검찰 수사과정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유리한 증언을 하면 구형량을 낮춰주겠다고 검찰이 회유했다는 내용을 보도한 한 언론사를 상대로 검찰이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나 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

 

- 진수희, 이재오 선거 개입 논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과 이재오 특임장관이 한나라당 재보선 선거를 위한 모임에 참여. 정부각료이긴 하지만 한나라당 의원이니 문제될 것 없다고 변명했다는데.. 이 사람들이 예전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공직자 정치 중립을 어겼다고 탄핵했던 사람들이다.

 

 

 

그리고....

퇴근 시간 즈음 발표되어 이 모든 것을 덮어버린 뉴스..

서태지, 이지아 이혼소송 설.

전 포털 사이트에서 아주 열심히, 나머지 모든 기사를 덮고 있다.

별로 새로울 것도 없는 똑같은 내용의 기사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