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이 자리지키기에 나섰다.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충환 씨는 현행 공직선거법이 너무 엄격해

매 선거마다 많은 당선무효자가 발생한다는 이유로

공직선거법의 당선무효 기준을 낮추려는 법안을 발의했다.

현행 법률은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으면 당선무효가 되는데

이 기준을 상향 조정하겠다는 것.

 

당선무효자들로 인한 재보궐 선거에

엄청난 세금이 소요된다는 건 동의하지만

그건 법이 엄격하기 때문이 아니라

불법을 저지르고라도 일단 당선되고 보자는 사람들 때문 아닌가?

 

이건 뭐 사람을 때리는 걸 폭력으로 규정하면 전과자가 많아지니

도구를 사용하지만 않으면 폭력으로 입건하지 말자는 말이랑

딱히 뭐가 다른가?

(폭력 범죄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도 적지 않다)

 

 

막장 민주주의의 한 징조라고 하겠는데..

아래는 4월 6일 현재 이번 법안을 공동발의한 사람들이다.

 

 

 

강석호 (한나라, 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
T. 02-788-2383 / F. 02-788-3314 / kangsh0331@yahoo.co.kr / www.kangsh.kr

고승덕 (한나라, 서울 서초구 을)
T. 02-788-2307 / F. 02-788-3835 / audfbs@korea.com / www.kohzzang.or.kr

김선동 (한나라, 서울 도봉구 을)
T. 02-788-2692 / F. 02-788-3442 / likecorea@naver.com / www.sundong.org

김옥이 (한나라, 비례대표)
T. 02-788-2874 / F. 02-788-3304 / gko47@na.go.kr / blog.naver.com/kim_oklee

김정권 (한나라, 경남 김해 갑)
T. 02-788-2645 / F. 02-788-3517 / jk38@hanmir.com / www.jk.or.kr

김충환 (한나라, 서울 강동구 갑) *대표발의
T. 02-788-2082 / F. 02-788-3316 / kimcw@assembly.go.kr / www.kimcw.com

박대해 (한나라, 부산 연제구)
T. 02-788-2873 / F. 02-788-3821 / pdh@assembly.go.kr / www.pdh.or.kr

박민식 (한나라, 부산 북구 강서구 갑)
T. 02-788-2877 / F. 02-788-3539 / jh0329ms@hanmail.net / www.minshik.kr

서상기 (한나라, 대구 북구 을)
T. 02-788-2362 / F.02-788-3638 / sks@assembly.go.kr / www.sks.or.kr

송광호 (한나라, 충북 제천단양)
T. 02-788-2113 / F. 02-788-3694 / skhh2008@hanmail.net / www.songkh.com

이종구 (한나라, 서울 강남구 갑)
T. 02-788-2305 / F. 02-788-3429 / jjongkoo@assembly.go.kr / www.jongkoo.com

이한성 (한나라, 경북 문경 예천)
T. 02-788-2952 / F. 02-788-3837 / hansung@na.go.kr / www.leehs.kr

이화수 (한나라, 경기 안산 상록구 갑)
T. 02-788-2758 / F. 02-788-3436 / lhs5301@assembly.go.kr / www.poweransan.kr

장윤석 (한나라, 경북 영주)
T. 02-788-2706 / F. 02-788-3825 / yschang49@assembly.go.kr / www.yschang49.or.kr

정의화 (한나라, 부산 중구 동구)
T. 02-788-2125 / F. 02-788-3312 / chung-u-h@hanmail.net / www.justice21.or.kr

김용구 (자유선진, 비례대표)
T. 02-788-2481 / F. 02-788-3306 / alllime@hanmail.net / www.ygkim.kr

김창수 (자유선진, 대전 대덕구)
T. 02-788-2152 / F. 02-788-3508 / csthink21@hanmail.net / www.csthink.co.kr

이진삼 (자유선진, 충남 부여청양)
T. 02-788-2181 / F. 02-788-3714 / ljs714@assembly.go.kr / http://www.ljs.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이 없어서 기도하지 않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다른 일을 할 시간은 충분히 있다.
잠자는 시간,
먹는 시간,
신문이나 소설을 보는 시간,
친구들을 만나는 시간,
해 아래서 모든 일을 하는 시간,


그런 시간들은 잘 내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본질적인 기도에는 시간을 내지 않는다.


- 오스왈드 J. 스미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주홍 마코앵무새의 마지막 비상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를 지키기 위한 한 여인의 투쟁
브루스 바콧 지음, 이진 옮김 / 살림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중앙 아메리카 지역에 위치한 부패한 국가인 벨리즈는 인구 25만의 작은 나라이다. 소수의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고 있기에 온갖 종류의 부정과 협잡이 통하는 이 나라에서 어느 날 작은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만들어진다. 이런 종류의 토목공사라는 게 늘 그렇듯 이 과정에는 은밀한 이권 거래가 벌어지는 것이 뻔히 보였는데, 문제는 그런 일상적인 부패만이 아니라 댐 건설로 인해 발생될 엄청난 환경재앙도 뒤따르게 되었다는 점이다.

 

     벨리즈에 귀화해서 버려진 동물들을 모아 동물원을 경영하고 있는 샤론은 이를 막기 위해 백방으로 돌아다녔고, 곧 사방에서 그녀를 향한 음모와 보복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이 꽉 막힌 문제를 어떻게 풀어내야 할까. 부패한 정부 관리들은 다국적 기업과 손을 잡고 자국의 이권을 팔아넘기고, 이 과정에서 뒷돈을 받아 챙긴다. 그렇게 시작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은 미심쩍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볼 때 환경적으로도, 또 국가 재정상에도 재앙을 일으킬 것이지만 아무도 이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국민들이 낸 세금으로 쌓아올린 공기업을 헐값에 개인에게 팔아넘기는 민영화는 선진화라는 명목으로 국민들의 눈과 귀를 가리고 이루어지고 있는데, 더 답이 안 나오는 것은 상황이 이런대도 국민들은 자기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그 과정에서 떨어지는 작은 이권에 혹해서 도리어 지지하는 어이없는 일도 벌어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일간지에서 찾아낸 기사들 같지만, 다행스럽게도(?) 이 일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들어보지도 못했을 ‘벨리즈’라는 작은 나라에서 일어난 일이다. 하지만 썩 다행스럽지 못한 것은 이런 일들이 벨리즈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지금도 매 시간 이루어지고 있는 4대강 삽질이 그렇고, 도대체 도시 전체를 새롭게 바꾸자는 것인지 몇 개인지도 알 수 없는 뉴타운 사업들이 그렇다. 근본적으로 자연과 함께 살아가기를 포기하고, 자연을 나에게 맞추려는 인간중심적 발상이 사라지지 않는 한, 이런 일들은 세계 어디라도 일어날 수 있다.

 

 

     작가는 이 무거운 주제를 한편의 소설로 잘 엮어 낸다. 아마도 실제 일어났던 일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더욱 실감이 났던 이 소설은, 환경운동은 자신과 딱히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좀 더 부드럽게 이 주제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 같다. 샤론의 투쟁은 힘들고 무모해보였다. 이는 환경운동이라는 게 대부분 강한 정부권력과 돈을 지배하는 기업을 상대로 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우석훈 선생이 쓴 책을 읽다가(그는 이 책의 추천사를 쓰기도 했다) 생태 경제학자로서 상황이 어렵더라도 계속 명랑하고 싶다는 말을 자주 볼 수 있었는데, 그 이유를 대충 알 것 같다. 이 무모한 싸움을 계속 해 나가려면 그렇게라도 자기암시를 계속하지 않으면 버텨내지 못할 테니 말이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소설을 읽어나가게 된다. 자꾸 이 나라의 현실이 오버랩 되어서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이 나라에서 벌어진 투쟁이 승리해 대리만족이라도 얻었으면 하는 생각으로 단숨에 책장을 넘겼다. 그리고 확실히 한 편의 법정 드라마를 보는 듯한 재미도 있다. 책 표지에 앉아 있는 한 마리의 새가 참 예쁘다. 이런 새들을 없애버려야만 직성이 풀리는 인간의 탐욕스러움이란.. 과연 이 탐욕이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노운 - Unknow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아내와 함께 베를린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가하기 위해 방문한 마틴 해리스 박사. 공항에 두고 온 짐을 찾으러 가던 중 일어난 사고로 사흘 만에 깨어난 그는, 주변 사람들 모두가(심지어 아내인 리즈까지도)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고 전혀 다른 사내가 자신으로 행세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얼마 후 자신을 미행하며 공격하는 남자까지 있음을 알게 된 그는 무엇인가 음모가 벌어지고 있음을 느끼고, 사고 당시 택시를 운전하던 지나와 함께 사라진 진실을 찾아 나선다. 

 

  

2. 감상평 。。。。。。。        

 

     어딘가 다녀오니 내가 사라지고 또 다른 누군가가 내 행세를 하고 있다. 사람들은 내가 나라는 것을 증명해내라고 성화지만, 신분증이야 얼마든지 위조가 가능한 것이고 주변 사람들의 증언이라는 것도 쉬이 믿을만한 것은 못되지 않는가. 사람들은 내가 나라는 것을 믿어주지 않고 점점 나를 미친 사람 취급을 하기 시작한다. 타블로 사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영화 ‘언노운’에 등장하는 이야기다.(이 나라는 영화 같은 일들이 너무 자주 일어나는 게 문제다)

 

     영화는 이런 딱 영화 같은 설정으로 흥미진진한 시작을 알린다. 당연히 이제는 이 ‘음모’의 배경을 추적해가며 밝혀내는 것이 영화의 나머지 부분이다. 영화는 이런 종류의 스릴러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럭저럭 볼만하게 만들어졌다. 스토리 전개도 딱히 느슨하다고 말하기 어렵고, 배우들의 연기력도 수준급이다. 차량추격신은 이런 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딱 ‘볼만한’ 수준에 맞춰졌다.

 

 

 

     감독은 여기에 한 가지 승부수를 더 한다. 영화 후반부의 반전이 그것. 자신이 마틴 해리스임을 증명하기 위해 애쓰던 주인공이 진실을 알게 되면서, 무난하게 마무리되어 가던 영화에 잠시 긴장감을 부여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진실을 알게 된 이후 주인공의 행동은 썩 개연성이 높지 않은 선택이었고, 영화 속에서 이 선택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그저 사고로 머리를 다쳤다는 것뿐이었다. 결국 반전이 완성도를 좀 더 떨어뜨린 감이 있다.

 

 

     영화는 우리가 믿고 의지하던 것이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비단 세계를 뒤흔들 음모가 아니라도, 우리는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는 것을 쉽게 증명할 수 없다. 마치 얇은 판으로 막혀있는 영화 속 지나의 방처럼, 우리가 단단하고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것들도 생각보다 쉽게 무너질 수 있다. 결국 우리가 믿을 수 있는 건 증명서나 기록 따위가 아니라 나를 아는 사람들이라는 진리를 영화는 보여준다. 우리는 참 쉽게 생각하고 때로 함부로 대하기도 하는 그들이 사실은 진짜 중요한 존재들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약역사
김의원 지음 / 개혁주의신행협회 / 1995년 8월
평점 :
품절


 

1. 요약 。。。。。。。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에서 구약성경의 내용을 역사적 순서에 따라 풀어 설명해내고 있는 책이다. 자유주의 신학자들과는 달리 성경의 역사성을 인정하며 본문을 읽어내려는 관점을 가지고 있고, 팔레스타인 인근 지역의 역사들을 간략하게나마 함께 살펴보고 있어서 이 한 권으로 구약 시대의 역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2. 감상평 。。。。。。。                 

 

     학부 시절 구입했지만, 이제야 채 전체를 차근차근 읽어낼 수 있었다. 구약 역사에 관해 그다지 두껍지 않은 한 권의 책으로도 이 정도의 정리를 해 낼 수 있다는 것이 대단하다. 비슷한 종류의 다른 책보다 그 학문성에 있어서도 뒤떨어지지 않으며, 우리나라 저자가 썼기 때문에 어색한 서양식의 표현들이나 단위들이 등장하지 않아 읽기에도 좋다. 어쭙잖게 비평적인 주석들을 읽으며 문서설이니 후기 전승이니 하는 식의 단어들을 주워섬기는 게 세련된 것인 양 착각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그런 ‘현대적 관점들’을 취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학문적인 가치가 있는 주장들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기본적인 텍스트인 성경 본문과 함께 이 책을 읽어나간다면, 구약 성경의 바탕에 깔려있는 역사의 흐름에 관해 건전한 지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소수 몇 개의 오타나 혼동만을 뺀다면 아주 훌륭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