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들이여, 우리는 전문직업인이 아닙니다 - 존 파이퍼의 목회서신
존 파이퍼 지음, 전의우 옮김 / 좋은씨앗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복음에 충실한 목회자로 살아가기 위해 애쓰고 있는 존 파이퍼 목사가 자신처럼 목회자로 사역하고 있는 동료들에게 보내는 서른 개의 편지들이다. 편지에는 다원주의 조류 안에서 바른 신학을 고수하는 목회자로 살아가는 법으로부터, 실질적인 목회 상황에서 만날 수 있는 여러 난제들에 관한 대답, 신자들에게 강조해야할 점들, 그리고 교회가 사회 속에서 감당해야 할 역할들에 관한 내용들이 차분한 어조로 담겨 있다.

 

2. 감상평 。。。。。。。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오늘날 목사가 되기는 참 쉬워졌다. 전국에 있는 이름도 알 수 없는 수많은 신학교들과 교들, 심지어 방송통신과정으로 신학을 가르치고 목사가 될 수 있는 길도 열렸으니 잘 알려진 대형 교단의 직영 신학과정이 아니라면, 원하면 누구나 목사가 될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전자라고 하더라도 일단 어떻게든 입학을 하기만 하면 결국 본인이 직접 학업을 중단하지 않는 이상 결국 목사가 되고 만다. 하지만 이렇게 목사가 되기 쉬워진 반면, 제대로 된 목사로 살아가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역시나 그 가장 큰 이유는 교회의 세속화다. 어느 순간부터 교회는 세상과 경쟁하기 시작해버렸다. 세상과 같은 조건(더 좋은 예배실 환경과 교통입지, 흥미를 끌만한 프로그램)을 내세우기 시작했고, 세상과 같은 목표(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 모으고, 더 이름이 알려지기 원했으며, 목사들은 유능한 CEO로 인정받고자 했다)를 향해 달려 나가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 방법 역시 세상과 같아지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그런데 그렇게 달려가며 간과했던 중요한 점은, 그렇게 따라가기만 해서는 언제까지 2류, 3류가 될 뿐이라는 점이었다. 어떻게 교회가 수 백 억을 들인 영화와 경쟁할 것이며, 각종 자극적 소재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텔레비전과 대결을 펼칠 것인가.

 

     이 책에서 존 파이퍼 목사가 주장하는 것은 1류가 될 수 있는 진짜 방법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1류는 세상과 다른 목표를 바라보며, 세상과 다른 조건과 방식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었다. 역시나 교회와 목회자들은 하늘을 바라보며 일을 해 나가는 사람들이어야 한다. 그들은 세상의 인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정을 기대하며, 그분의 상주심을 바라며 나아갈 때 진짜 교회, 진짜 목회자로 설 수 있다는 너무나 당연하지만 자주 잊곤 하는 진리를 이 책에 담아내고 있다. 책의 제목처럼 목회자는 전문직업인이 아니라 소명자로서 그의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

 

 

     물론 책의 주 독자는 저자처럼 목회를 하고 있는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꼭 목회자가 아니라도 하나님 안에서 하나 된 형제, 자매들이라면 충분히 공감하며 유익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는
인내심이 있었기에
방주에 오를 수 있었다.
- 스펄젼

By perseverance
the snail reached the ark.
- Spurge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스토예프스키 등이 반복해서 지적한 바와 같이

형이상학이나 신학은 오래 전에 버림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낙태를 비롯한 다른 형태의 부당한 살생과

착취에 대한 관대한 태도가 생기는 것이다.

 

- 존 리스트(前 토론토 대학교 고전학과 및 철학과 교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위의 상황이
완벽하게 자신의 일에 유리하게 되도록 기다리는 사람은
어떤 것도 완성할 수 없다.
- 마틴 루터

He who waits
until circumstances completely favor his undertaking
will never accomplish anything.
- Martin Luth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랙 스완 - Black Swa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뉴욕 발레단 소속으로 착실하게 연습하고 배운 대로 연기할 수 있지만, 격정적인 연기를 표현하는 데는 늘 부족함을 지적받는 모범생인 니나. 하지만 새 시즌 첫 번째 작품인 백조의 호수에서 주인공을 맡게 되면서 그녀는 순전한 백조와 매혹적인 흑조를 동시에 연기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된다. 좀처럼 자기 자신의 틀을 깨뜨리기 어려웠던 니나는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능숙하게 표현해 내는 릴리의 등장에 미묘한 질투심을 느낀다. 여기에 그녀에게 모든 것을 걸고 늘 주변을 맴도는 엄마의 간섭도 점점 그녀를 압박해왔다.

      점차 자신의 배역에 몰입하면서 이전과는 달라져가는 니나. 드디어 그녀의 무대가 막을 올린다. 

  

 

2. 감상평 。。。。。。。        

     인간은 가족과 사회의 규범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런 것들의 영향 아래 있는 자기 자신에 의해 억압당하고 있고, 그 억압을 떨쳐내고 자기 안의 충동을 가감 없이 드러내라는 메시지가 영화 전체에 가득하다. 비록 연기라는 영역에 관한 이야기지만, 자신의 안에 있는 ‘어두움’을 굳이 억압하지 말라는 강한 권유는 파울로 코엘료와 같은 뉴에이지 작가들의 그것과 많이 닮아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자아의 충동을 마음껏 풀어준 대가가 아름다웠는지는 모르겠다. 물론 영화가 철저히 니나의 시선으로 본 주변 인물들을 그리고 있으니 객관적인 묘사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내면의 충동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그녀는 그저 목적 없는 일탈만을 경험할 뿐이었다. 그 결과 연기력의 발전을 이루었을지는 모르지만, 그것도 자기파괴적인 진화였을 뿐이다. 과거 어느 때보다 즉흥적으로 살아갈 것을 권장 받는 세상이지만, 그만큼 세상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 백조 여왕처럼 스스로 자살을 선택하고 있는 건 아닐까. 

 

 

       그래도 영상을 만들어 내는 감독의 역량과 그에 부응하는 배우들의 연기력은 수준급이다. 이야기는 꽤나 흥미진진하게 풀려나가고, 상영시간이 지루할 틈은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