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에 “양심”이라는 두 글자가 짙은 붉은 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그렇다고 오구마 겐지가 무슨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사회운동가나 반전운동가였던 것은 아니었다. 어린 나이에 전쟁에 끌려갔으니 변변한 기술 하나 제대로 배울 새가 없었고, 포로수용소에서 돌아온 후에도 밥벌이를 위해 십수 번의 직장을 옮겨가며 고군분투해야만 했다. 다행이 전후 복구 붐에 올라타 나름의 사업체도 만들어 말년에는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그 또한 무슨 대단한 비전을 위해 했다기보다는 그저 먹고살기 위한 한 일에 불과했다.
하지만 전쟁에 참여했다는 기억은 그의 마음에 깊은 자국을 남겼던 것 같다. 전후 그는 꾸준히 전쟁의 책임을 승계하고 있는 자민당에는 단 한 번도 표를 준 적이 없다고 밝히고 있고, 은퇴 후에는 지역사회의 봉사화동, 환경운동에 (본인 스스로의 표현에 따르면) 자리라도 채워주려고 애썼고, 자신의 전쟁 경험을 기회가 되는 대로 알려서 반전의 신념을 전하려고 애썼다.
그리고 그 일환으로 조선인 출신으로 일본군에 징집되었다 마찬가지로 포로까지 되었지만, 일본정부로부터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던 오웅근씨의 소송에 공동원고로 참여하기로 결심한다. 재판은 대법원까지 3연속 패소였지만, 이런 결심을 한 것 자체만으로도 그에게는 아직 “양심”이 남아있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일제 강점기 일본 정부에 의해 자행된 위안부 문제나 강제징용에 관해 조금의 공식적인 책임도 지지 않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분노하곤 한다. 그런데 책 말미를 보면 일본정부의 이런 태도는 단지 외국인에게만이 아니라 자국민에게도 동일하게 취해지고 있는 입장임을 알 수 있다. “전쟁 피해는 국민이 다 같이 참고 견뎌야 한다”는 희대의 막장 논리로 정부의 공식적 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
결국 피해에 대한 배상이나 보상이 아니라 너무 시끄러우니 입을 좀 다물게 하겠다는 의도로 위로금(그것도 정부 공식 예산보다는 민간 차원의 “자발적” 후원금을 바탕으로 한)을 지급하는 것이 일본 정부의 단골 대처방식이다. 이게 일본 국민들에게야 정부 사정을 이해해 줄 것을 요구할 수도 있는 문제겠지만, 우리 같은 외국인에게는 잘 통하지 않는다는 게 문제. 돈 보다 사과가 우선이라는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한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