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은 예로부터 고귀한 사람들의 귀족적 특징으로 간주되었으며,

그의 영혼이 높은 지위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해 왔다.

고독은 혼자라는 것과는 다르다. 

  

- 루돌프 K. 골트슈미트 옌트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뭉크 作, '사랑과 고통'

 

 


 

고통을 나눠 가지는 것 또한 사랑의 또 다른 결말인 것이다.

 

- 츠지 히토나리, 『냉정과 열정 사이 Blu』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기치 못한 기쁨 믿음의 글들 196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강유나 옮김 / 홍성사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철저한 무신론적 경험론자였던(영국의 그놈의 경험론적 분위기란..) C. S. 루이스가 기독교인이 되기까지 여정을 담은 자전적 성격의 책이다. 출생부터 시작해 어린 시절의 이야기, 학교를 다니면서 겪었던 이야기 등 일반적인 자서전의 순서를 따라가고 있지만, 책의 목적인 ‘회심’에 관한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에 저자에게 지적인 영향(루이스에게 있어서 회심은 지적인 영역에서의 작용이 가장 컸다)을 준 인물과 사건들 위주로 서술되어 있고, 결정적으로 그의 회심장면에서 이야기는 급격하게 마무리된다.

 

 

2. 감상평 。。。。。。。                  

 

     C. S. 루이스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이름으로 나온 책이라면 그가 직접 쓴 책이든, 다른 이가 그에 관해 쓴 책이든 가리지 않고 거의 사 보고 있으니 뭐 말 다했다. 이 책도 다른 무엇보다는 그저 루이스가 썼기 때문에 구입을 했다. 일부 신학적 차이는 있지만 그의 글에는 묘한 끌림이 있다. 신앙이라는 이름으로 지적인 영역을 소홀히 하지 않으려는 그의 건전한 의식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의 정신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기록해 놓았다.

 

     의도적으로 유신론을 피하며 자신의 정신세계를 지키려고 했던 완고한 루이스였지만, 그는 결코 자신의 내부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일상에서 문득문득 찾아오는 급작스러운 ‘기쁨’에 정직하게 반응하려고 했고, 결국 이는 그를 하나님께로 이끌었다. 루이스는 책의 말미에서 ‘정말이지 자기 믿음을 지키고자 하는 젊은 무신론자는 극히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도처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서 회심이란 현실과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한 자연스러운(모두가 그러하다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고의적 왜곡이 없다는 의미에서) 반응이었다는 말이다. ‘만물에 하나님을 알만한 것들로 가득하다’(롬 1:20)는 바울의 고백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오늘날의 문제는 이와 같은 도전에 진지하고도 정직한 반응을 보이려는 사람이 적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쉽게도 책은 생각만큼 잘 와 닿지 않았다. 가장 큰 이유는 저자가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들어가는 서양고전에 관한 사전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건 뭐 실용주의적 교육을 추구하고 있는 이 나라에서 어린 시절을 모두 보내버렸으니 어쩔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건 대단히 아쉬운 부분이라 책의 내용 이해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책이 담고 있는 흥미로운 전개의 상당부분을 놓쳐버리게 만든다. 마치 비싼 돈을 들여서 해외여행에 나서긴 했는데, 그 나라의 말과 문화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 그저 하루 종일 가이드의 꽁무니만 졸졸 따라다니는 꼴이라고나 할까.

 

     책은 저자의 다른 작품들과는 좀 다른 느낌이다. 여기 나오는 수많은 인물들과 특별히 서양의 문학들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딱히 재미없는 책으로 다가올 것이 분명하다. 이 책은 루이스가 말하는 생각과 지적 통찰보다는 루이스 자체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내용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권을 잡은 군인들이 만든 군사문화는

얌전히 복종하는 시민을 만들었고,

시민들은 상급자인 공무원의 명령이나 지시에 무조건 따르는

병사가 되어 갔다.

 

하승우, 『군대가 없으면 나라가 망할까』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도신경 - 진정한 기독교인 됨을 위한 사도신경의 이해와 해설
이승구 지음 / SFC출판부(학생신앙운동출판부)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오늘날 동방정교회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정통적인 교회에서 신앙고백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도신경’에 관한 해설집이다. 저자는 장별로 사도신경의 각각의 진술들을 제시하고 그것에 담긴 개혁주의적 해석을 풀어 놓고 있다. 각 장의 말미에는 소그룹 성경공부 시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생각해 볼 문제들도 실려 있다. 

 

 

2. 감상평 。。。。。。。                  

 

     사도신경 자체가 워낙에 널리 알려진 신조이기에 이와 관련된 책들도 제법 많이 출판되어 있다. 뭐 그렇다고 해서 그 많은 책들을 다 읽어봤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 책만이 가진 독특한 장점이 있다면, 역시나 저자가 가진 깊은 학문성에 근거할 것이다. 저자는 본문에 대한 학문적인 주석을 적절하게 섞으면서도 일반 독자들을 위해 충분히 쉽게 설명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

 

     이 책은 천주교나 성공회적 관점이 아닌 개신교적 관점을 유지하고 있고, 자유주의적이라기보다는 복음주의적이며, 그 중에서도 통상 ‘칼빈(칼뱅)주의’라고 불리기도 하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쓰였다. 때문에 다른 신학적, 교리적 배경을 가진 독자들에게는 일부분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 경우에는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매우 편하고 안심하며 읽어나갈 수 있었다.

 

     사도신경은 물론 어떤 전설처럼 열두 명의 사도들이 한 구절씩을 적어서 만들어진 ‘영감된 신조’는 아니다. 하지만 매우 초기부터 교회 공동체가 자신들이 무엇을 믿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었음을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신조이며, 나아가 성경이 말하고 있는 믿음의 내용에 대해 비교적 잘 요약해주고 있는 좋은 신앙고백문이다. 적어도 자신이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한다면, 다른 어떤 것보다도 일단 자신이 무엇을 믿고 있는지는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다. 사도신경으로 이 작업을 시작하는 것은 역사적으로도 교회의 전통으로도 매우 자연스러운 시작이다. 내가 무엇을 믿고 있는지에 대해 찬찬히 되짚어 보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은 그리 어렵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은 괜찮은 선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