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기적으로 들리는 철제(鐵題)의 마찰음.
그것과 동시에 들려오는 인공색(人工色)이 진한 경적음.
웅성이는 소리.
플라스틱과 석재가 맞부딛히며 발생시키는 소리...
혹시라도 다른 사람이 듣지 못할까봐 걱정이 되어선지,
아니면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그런 방식으로 알리고 싶은 건지,
그것도 아니라면 지기 싫어하는 성격 때문인지,
너나 할 것 없이 자신만의 소리를 내는 곳이 있다.
매일 아침 타는 지하철이 바로 그 곳이다.
혹시나 조금 여유가 있을 때,
아니면 급작스럽게 여유를 가져야만 할 때(?)가 생긴다면,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의자에 잠시 앉아
내가 아침 저녁으로 이용하는 지하철이란 곳에서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소음이 들리는지 들어보는 것도 꽤나 흥미로운 일이 될 듯 싶다.
지하철과 "관계된(매일, 일정 시간에, 일정장소를 방문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장소와 뭔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군상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듣고 있자면,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너무 시끄러운 소리들로 가득차 있구나 하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의식을 하던, 그렇지 않던
우리들은 하루종일 너무나 복잡하면서도 미묘한,
그리고 다채로운 소음을 발생시킨다.
생각해 보면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자리에 들기까지
잠시도 쉬지 않고 각종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 같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그러한 소음들은 동료 인간들에게 불쾌함으로 다가온다.
한 번 이런 생각을 해 본다.
만약 이 지구상에서 모든 인간들이 사라지고,
그들이 만들어 낸 소음을 발생시키는 수많은 인공구조물들까지 없어진다면,
그래도 이 세상은 이렇게 시끄러울까 하는..
물론 인간 이외의 것들도 소리를 발생시킨다.
우리 인간들의 청력이 지금보다 조금만 더 좋았더라면,
자연이 쉴새없이 쏟아내는 그 수많은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어쩌면 매우 혼란스러울지도 모르겠다.
쉴 새 없이 바닥을 기어가는 개미들의 발자국 소리,
여름이면 연못을 점령해버리는 소금쟁이, 물방개들이
헤엄치는 소리들로 금새 귀가 가득차게 될테니 말이다.
어쩌면 우리를 괴롭히는 모기들의 날개짓 소리가
100배는 더 크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ㅡㅡ;
그런 소리들과 인간이 만들어 내는 소음이 다른 점이 하나 있다면,
그 모든 소리들은 적어도 자신의 동료들에게 불쾌감과 고통으로 다가오지는 않는 다는 점이다.
새 소리가 동료 새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까?
매미 소리가 다른 매미에게 고통으로 느껴질까?
(오히려 반대다. 매미들은 동료가 우는 소리에 용기를 얻는다.)
똑같이 지하로 다니더라도
지하철이 내는 소음과 두더지가 내는 소리는 천지차이다.
두더지의 그것을 지하철의 그 찢어지는 소음에 비교할 수나 있을까.
(옆에서 쉬고 있는 개미에게는 크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ㅡㅡ)
문제는 조화를 이루느냐 그렇지 못하느냐 하는 것이 아닐까?
인간은 유달리 조화에 익숙치 않은 것 같다.
조화를 이루려고 자신을 변화시키기 보다는,
외부의 사물을 변용시키고, 부수고, 깍아내고, 찢어놓는다.
물리적인 사물 뿐만 아니라, 소리의 영역에도 그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것이 우리가 말하는 "소음"인 것이다.
주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소리.
그 것이 바로 소음이다.
이렇게 세상이 시끄러운 걸 보면,
인간이란 존재는 어지간히 어울리지 못하는 존재인가 보다.
한 번쯤은 시끄러운 소리 내기를 그치고,
다른 사물들과 조화를 이뤄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보다 어렵지만은 않은 일이다.
조금만 천천히 걷고,
조금만 말 소리를 낮추고,
조금만 주위에 귀를 기울여보면 된다.
조금만 주위를 더 느껴보면 된다.
단지 그것으로 족한데 말이다.
들으려고 하는 사람보다,
뭔가를 말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
귀는 두 개고, 입은 하나인데..
이상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