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비 사이언스
찰스 윈.아서 위긴스 지음, 김용완 옮김, 시드니 해리스 그림 / 이제이북스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과학적 가설의 타당성은 과학적 방법에 기초하는 것이지,
대중적인 지지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다.
1. 요약 。。。。。。。
두 명의 저자들은 이 세상의 옳고 그름을 책상 위에서 결정했다. 오직 ‘객관적인 과학적 정밀성’에 합당한 것들만이 진리이며, 이것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들은 모두 ‘사이비’일 뿐이라는 것이 이 책의 주제이다. 특별히 저자들에 의해 사이비로 치부된 것에는 외계인, 임사체험, 점성술, 기독교 창조론, 초능력이 있다.
저자들에 따르면 이것들 중 하나라도 ‘믿는’ 사람들은 ‘적절하게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이거나,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고(p. 72), ‘사기꾼으로서 사기성 있는 주장을 하는 것’이나 ‘감정에 호소’(p. 73)하는 것일 뿐일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저자들은 친절하게도 ‘적절한 훈련과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서 전혀 ‘사기적 의도나 감정에 치우치지 않은 객관적이면서도 합리적인 대답’을 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2. 감상평 。。。。。。。
상당히 날카로운 책이다. 저자들은 과학적 합리성이라는 예리한 칼날을 책에서 목표물로 지명한 다섯 가지 주제에 가져다 댄다. 그리고 그 결과는 저자들의 의도한 대로 성공적이었다.(그러니까 책까지 나왔을 테고)
나도 저자들의 주장에 상당부분 동의를 한다. 외계인이나 임사체험, 점성술, 초능력과 같은 것들에 대해서는 저자들과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물론 나머지 하나인 기독교 창조론에 대한 부분에서는 약간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굳이 반박이나 다른 설명을 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저자들은 그 예리한 칼날을 스스로에게는 가져다 대지 않고 있다. 이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딜레마이다.
쉽게 말해 저자들은 ‘과학적 객관성’이라는 신화에 지나치게 빠져있다. 결국 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사람’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얼마 전 출간된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이라는 책에는 이런 점이 잘 지적되어 있다. 특히 오늘날처럼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시대에 특정한 과학자가 어떤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고 해서 그것을 다른 모든 과학자들이 함께 검증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아니,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런 데에 관심도 없고, (전문분야가 아닌 이상) 검증을 할 능력도 없다. 또, 그들 대부분은 연구결과 하나하나에 당장의 생계나 명성이 달려 있기에, 혹시라도 가설과 다른 결과가 나왔다고 하더라도 좀처럼 처음의 가설을 믿고 수정하지 않는다. 그들 사이의 어두운 카르텔을 형성할 때도 있다.
또 저자들은 ‘오캄의 면도날’이라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설명을 관습적으로 옳은 것으로 가져다 사용하고, 그나마 비판할 때는 사용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과학적 진술들을 사용할 때는 무시해 버린다. 참 안전한 면도날이다.
‘반증 불가능 한 것은 과학적으로 탐구할 수 없다’는 주장은 정확히 말하면 ‘과학적 도구로 설명할 수 없다’는 의미지만 책에서는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한다.(전자의 경우 어떤 의미에서 과학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지만, 후자는 과학만이, 좀 더 정확히는 인간 이성만이 진리의 ‘기준’이라는 의미가 된다.) 말하자면 저자들의 서술을 보고 있노라면 ‘과학적 객관성’보다는 ‘과학적 독단성’이 좀 더 강하게 느껴진다.(종종 나오는 주변 글씨보다 크고 밑줄까지 쳐 있는 문장들은 마치 저자들이 소리를 지르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학적 진리의 타당성을 다수결이 아닌 가설의 실험적 증거에 기초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다가도(p. 176), 바로 아래에서는 ‘국제적 명성’을 가진 학자가 주창한, 그리고 ‘많은 학자들이 동의한’ 성명서는 ‘권위’가 있는 것처럼 제시하는 건 적어도 개인의 신념에 충실한 모습은 아닌 듯 싶은데 말이다.
저자들은 책의 서두에 사이비종교에 빠져 집단 자살을 했던 어떤 사람들의 이야기를 실어 놓았다. 사이비 종교가 종종 위험하다는 데에는 나도 동의를 한다. 하지만 인간을 순수한 물질로 환원시키고자 하는 일부 과학자들, 혹은 과학철학자들의 시도는 더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은 1, 2차 세계대전에서 ‘과학이 개발해 낸 무기’로 희생된 수백 만 명의 사람들이 잘 증명해 주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