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든 바흐
로버트 슈나이더 지음, 강명순 옮김 / 북스토리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잘레 강변의 도시 나움부르크에서 바흐의 열렬한 숭배자로 음악연구가 등을 하던 야콥 켐퍼는
성 벤첼 교회 파이프오르간 보수에 참여하고 싶어 했지만 바흐 협회의 슈페어링 박사에게 거절당한다.
실의에 빠져 이복동생인 레오와 함께 성 벤첼 교회에 간 야콥은
레오가 오르간 속으로 들어갔다가 낡은 검정색 가죽 가방을 발견하자
그 안에 바흐의 것으로 추정되는 악보에 흥분하는데...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바흐의 미발표 작품을 발견하게 된 바흐의 열렬한 숭배자 야콥이 겪게 되는
우여곡절을 흥미진진하게 그린 이 작품은 음악에 대한 광적이라 할 정도의 사랑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야콥은 바흐를 신처럼 숭배하는 광적인 인물인데 음악에 대한 열정을 빼면 모든 것이 엉망인 사람이다.
음악가가 되고 싶었던 자신의 꿈도 고지식한 아버지의 반대 등으로 늘 좌절을 겪게 되어
겨우 마을에서나 음악가 행세를 하고 있고 첫사랑이던 에바를 아버지의 계모로 맞이하는
사랑의 실패자며이자 인생의 실패자라 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런 그에게 유일한 희망이자 행복은 바로 음악, 특히 바흐의 음악인데
그런 그에게 바흐의 미발표곡이자 바흐 최고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오라토리오 '요한계시록'의 악보는 그야말로 하늘이 준 선물이라 할 수 있었다.
바흐의 악보를 거의 품에 넣고 다닐 정도로 애지중지하면서 자신을 무시했던 바흐 협회 사람들에게
은근히 바흐의 미발표곡이 있음을 내비치지만 오히려 무안만 당하고 만다.
이 책에선 좀 모자라 보이지만 순수한 음악애호가 야콥과
권위적이고 오만한 슈페어링 교수 등의 대비가 돋보인다.
야콥이 정말 음악에 모든 걸 걸었을 정도로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인데 비해
슈페어링 교수 등은 비록 공부도 많이 하고 연구 업적도 상당한 전문가이지만
자신의 의견에 대한 고집이 강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폄하하는 인물들이다.
물론 대학교수 등의 공인된 권위자와 야콥처럼 아무런 증명된 것이 없는 사람을 같이 비교하는 것은
어폐가 있긴 하지만 슈페어링 교수 등은 최소한 학자로서의 기본이 안 된 느낌을 주었다.
특히 같은 바흐 협회 회원 고야타케 요시바의 겸손한 태도와 대조적이었다.
사실 바흐의 '요한계시록'이라는 곡이 존재하는진 잘 모르겠지만
이 책에 묘사된 그 곡은 당대는 물론 현재에 비춰도 상당히 파격적인 곡인 것 같았다.
게다가 야콥이 그 악보를 가지고 있는 동안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일들,
미래의 일을 미리 알게 된다거나 어릴 때 죽었던 형 칼의 존재 등은
바흐의 미발표 악보에 더욱 신비감을 부여하였다.
바흐의 곡 중엔 영화나 드라마에 많이 사용된 '현을 위한 아다지오'를 좋아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야콥이 그렇게 숭배했던 바흐의 곡들을 찾아듣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바흐라는 위대한 음악가와 그의 미발표 악보를 둘러싸고 야콥과 바흐 협회 회원 등이 벌이는
미스터리를 담은 이 책은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의 힘이
단순히 음악에 대해 많이 아는 것보다 위대함을 잘 보여주었다.
마지막에 바흐가 등장하는 부분이 없었으면 더 깔끔한 마무리가 되었을 것 같은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
음악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로서의 재미는 충분했던 작품이었다.
이 책과 같이 음악이 소재인 로버트 슈나이더의 대표작인 '오르가니스트'도 꼭 찾아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