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 원인을 파헤친다!
박은봉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1월
평점 :
일본이나 중국의 역사왜곡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분개하면서
일본과 중국의 역사교육에 대한 비난과 우려를 표하곤 했다.
그럴 때마다 한편으론 우리의 역사교육은 과연 제대로 있나 하는 걱정이 되기도 했다.
특히 최근 보수와 진보의 이념대립하에 서로 정반대의 역사관에서 같은 사실을 다르게 바라보고 있어
어떤 것이 제대로 된 사실인지가 모호할 정도의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어원, 인물, 유물, 유적, 책, 문헌, 사진, 정치, 사회, 생활에 관한 잘못된 한국사 상식을 망라하고 있는
이 책은 '정말이야?'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존의 잘못된 상식을 뒤엎고 있는 내용이 많았다.
고조선에 '고'자가 붙은 것은 흔히 아는 것처럼 이성계의 조선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위만조선과 그 이전의 단군조선과 기자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것이고
왕건의 성이 처음부터 왕씨가 아니라 왕건이 성공한 후에 왕이란 성을 붙였다.
백정이란 말도 처음에는 일반 백성을 의미하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 도살업자란 의미로 변질된 것이고,
내시도 고려시대엔 왕의 측근인 엘리트 집단을 의미하다가 고려 말기부터 지금과 같이
거세된 남자 환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일제에 의해 왜곡된 부분들도 꽤 많이 있었다.
설화 속의 얘기인 고려장이 고려시대의 장례풍습이라고 왜곡된 것과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때문에 대원군에 의해 옥사당했다는 근거 없는 얘기,
명성황후를 한미한 집안의 고아로 만들거나 흥선대원군과의 갈등을 부각시키는 것,
고인돌을 북방식과 남방식으로 구분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었다.
신사임당으로 상징되는 현모양처는 일제와 독재정권이 만들어낸 잘못된 여성상이라 할 수 있었다.
거북선을 철갑선으로 만든 것도 군사정권의 이순신 장군 우상화에서 비롯된 근거 없는 사실이다.
베트남 파병은 미국 정부의 요구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박정희 정권이
먼저 적극적으로 원했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제대로 알게 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유엔에 의해 인정받은 한반도내 유일한 합법정부라 알고 있던 사실이
남한 내에서만 그렇다는 점은 좀 충격적이라 할 수 있었다.
그동안 우리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던 정통성(?)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이 책은 우리가 사실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한국사 상식 44가지에 대해
제대로 된 사실이 뭔지를 가르쳐주고 있다.
잘못된 사실이 상식이 되기까지엔 일제나 독재정권 등의 역사왜곡, 고려나 조선의 정권을 잡은
세력이 반대세력의 인물들을 비하시키고 자기편 사람들을 미화하기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의도적인 왜곡이 있는가 하면 근거 없는 잘못된 '카더라' 설(?)이 널리 퍼져
정설처럼 굳어진 것들도 있었다.
이 책에 나와 있는 내용들이 전부 진실이라면 우리의 역사교육도 상당 부분도 수정이 불가피할 것 같다.
그나마 일본이나 중국처럼 자신들의 부끄러운 과거를 숨기고 미화하기 위한 왜곡은
그다지 없었다는 점이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었다.
문제는 이런 책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을 수 있어야 하는 점과
당장 학교 교과서의 잘못된 부분들이 수정되어야 한다는 점인데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의 잘못된 부분들이 제대로 수정되었는지 걱정이 된다.
이 책을 읽으며 그동안 우리가 잘못된 사실을 진실인 것처럼 알고 있었던 사실에 다소 충격을 받았다.
역사란 것이 아무리 승자의 역사고 왜곡될 수 있는 것이라지만
제대로 검증도 안 하고 교과서에 싣는 정부나 역사학계도 분명 반성을 해야 할 것 같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늦었지만 기존의 잘못된 상식들을 하나하나 바로 잡아주는
이런 책의 가치야 말로 두말 하면 잔소리라 할 것이다.